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간규모에 따른 NDVI와 논벼 생산량과의 상관관계 검토

        나상일 ( Sangil Na ),박진기 ( Jinki Park ),백신철 ( Shinchul Baek ),오시영 ( Siyoung Oh ),박종화 ( Jonghwa Park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우리나라와 같이 벼를 주식으로 하는 나라에서 벼농사는 식량공급원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국토관리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의 유동적 변화는 식량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EU 등 선진국은 위성영상을 판독하여 경지면적조사, 재배면적조사, 작황 예측 및 생산량 예측 등 농업분야에 RS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원격탐사 기술을 벼의 생육상황 모니터링, 생산량 예측, 식량공급과 수급조절을 위한 종합적인 생산관리 방안 구축 등 농업 전반적인 분야로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아리랑 2호(KOMPSAT-2) 위성의 성공적인 발사로 저렴한 국산 위성영상의 활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한 농업생산량 예측에의 적용 가능성과 도입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원격탐사 기술의 실용화에는 다양한 제약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국내 농업여건에 기인한다. 첫째, 우리나라는 농지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고 산간부 등 지형이 복합하다. 특히, 소규모의 불규칙한 농지가 많아 격자형태의 위성영상에 적용할 때 공간적 왜곡이 심하다. 둘째, 좁은 공간에 다양한 피복형태가 혼재되어 있으며, 다품종 작황체계 중심의 농업여건이다. 이와 같은 제약조건 때문에 생산량 예측에 대한 원격탐사 기술의 적용에 앞서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NDVI와 생산량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적용 가능성 및 예측력을 사전에 파악하고, NDVI의 추가적인 보정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NDVI와 논벼의 생산량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공간규모에 따른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논벼 재배지의 공간규모는 전국단위, 도단위, 시군단위, 포구단위의 4단계로 분류하였으며, 2001년∼2010년까지 10년간의 MODIS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NDVI와 논벼 생산량 통계자료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국단위, 도단위, 시군단위 및 포구단위의 상관계수는 각각 0.603, 0.571, 0.472, 0.005로 나타났으며,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KOMPSAT-2를 3개 시군(경기 안성시, 충남 서천군, 경북 경산시)에 적용하여 포구단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각 0.4706, 0.3019, 0.6332의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 RS/GIS 기반의 쌀 생산량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한 논 분포도 작성 및 주요 인자 추출에 관한 연구

        나상일 ( Sangil Na ),박진기 ( Jinki Park ),백신철 ( Shinchul Baek ),박종화 ( Jonghwa Park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벼농사는 식량공급원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국토관리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상악화에 따른 농작물 생산량 감소와 각국의 식량안보용 재고량 확보, 투기세력의 활동 등으로 인하여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매우 유동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곡물가격 폭등의 영향으로 식료품에서부터 일반소비재 물가까지 줄줄이 인상되는 이른바 에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쌀의 경우, 80%의 곡물자급률을 보였던 1970년 이래로 단위생산량은 증가되었으나 1인당 소비량이 동기간 136㎏에서 74㎏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어 쌀 재고량은 적정치 72만톤보다 2배 이상 남아돌게 되었다. 이는 곧 쌀의 가격을 하락시켜 영농의욕을 떨어뜨려 식량자급의 선순환에 장애를 야기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하여 벼의 생육상황 모니터링, 생산량 예측, 식량공급과 수급조절을 위한 종합적인 생산관리 방안 구축 등 농업 전반적인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RS/GIS 기반의 쌀 생산량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논의 분포도를 작성하고, 벼의 생육기간에 따른 식생지수, 평균온도, 최고온도, 최저온도, 강우량 및 누적강우량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생산량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MODIS 위성영상 활용 가능 연도인 2002년~2010년으로 선정하였고, 벼의 생육기간을 고려하여 각 연도별 5월~10월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식생지수는 MODIS 10-day composite 자료를 보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기상 자료, 생산량 자료 및 토지이용도는 연도별 기상연보와 통계청의 연간 생산량 자료, 국립지리원의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7,580개의 250m 기준 논 필지 그리드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논 필지 그리드를 중첩하여 각 필지별 식생지수와 기상인자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각 인자들의 요인분석 결과, 8월 식생지수, 7월 최저온도, 9월 강우량 등이 쌀 생산량에 주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산량과의 회귀분석 결과, 유의하지 못한 수준으로 나타나 각 인자를 이용한 쌀 생산량 예측 모델 개발에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UAV 기반의 고랭지배추 주산단지 재배현황맵 활용방안

        나상일 ( Sangil Na ),박찬원 ( Chanwon Park ),이경도 ( Kyoungdo Lee ),민병걸 ( Byoungkeol Min ),백신철 ( Shinchul Baek ),한중곤 ( Junggon Han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배추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채소 중 하나로서 출하되는 시기에 따라 월동배추(3~4월), 봄배추(5~6월), 여름배추(8월~9월), 가을배추(10월~11월)로 구분된다. 그 중 여름배추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한 생리장해와 병해충으로 평지에서 재배하기 어려워 대부분 고랭지 지역 노지에서 재배되고 있어 고랭지배추라고도 한다. 고랭지는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점차 낮아지는 기후특성 때문에 포장재배 가능 기간이 짧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평난지에서 고온으로 재배가 어려운 각종 채소작물의 단경기 고품질 생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재배면적 감소와 기상이변으로 가격 변동이 커짐에 따라 고랭지배추 가격은 매년 사회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채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재배 면적 및 단수 예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 채소 작황과 관련된 연구에 무인비행체 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랭지배추 주산단지 중 하나인 강원도 강릉시 안반덕의 재배현황맵 작성 현황 및 활용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재배현황맵이란 무인항공기(UAV)로 촬영한 영상 분석 결과와 현장 표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필지별 정식시기, 작물 분포, 생육 상황 등을 지도에 표시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확시기 추정, 재배면적 산정, 생육 이상 평가 등이 가능하다. 특히, UAV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은 10cm 내외의 고공간해상도로 들녘 단위 재배단지의 필지별 생육상황 파악이 가능하고 기상이변 등에 따른 작황변화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산지별로 정보가 축척되면 생산량 변동을 신속·정확하게 추정하여 채소 가격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