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학업수행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정현 ( Park Jeonghyeon ),이경님 ( Lee Kyungn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학업수행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패널연구의 10차년도 자료 중 578명의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과 학업수행능력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은 학업수행능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은 집행기능 곤란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집행기능 곤란과 학업수행능력의 이중 매개효과도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과 학업수행능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은 학교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학교적응 증진을 위하여 무엇보다 학업수행능력의 강화가 우선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집행기능의 함양 및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의 개선의 중요성을 함축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horitarian parenti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academic accomplishment on school adjustment. For this study, tenth(2017)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ere analys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cademic accomplishment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academic accomplishment. Third, mother’s authoritarian parenting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academic accomplishment. Additionally, academic accomplishment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ed improving academic accomplishment and reducing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other’s authoritarian parenting could help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협동적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및 소진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Yeoungmi Kim),이경님(Kyungnim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및 소진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보육교사 436명을 대상으로 협동적 조직문화, 보육효능감, 소진 및 조직시민행동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협동적 조직문화와 교사의 보육효능감 및 소진은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적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소진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협동적 조직문화는 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소진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이는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하여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하여 협동적 조직문화는 가장 큰 직접효과와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 증진을 위하여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교사의 보육효능감의 증진 및 소진의 감소가 필수적임을 확인한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culture on child-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civil behaviors mediating by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36 child-care scenter teachers, by using instruments that assess collaborative culture, teachers’ childcare efficacy,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vil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collaborative culture, teachers’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directly affected organizational civil behaviors. Second, collaborative culture indirectly affected organizational civil behaviors through teachers’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Third, teachers’ childcare efficacy indirectly affected organizational civil behaviors through burnout. Finally, collaborative culture was noted as the most crucial variable for predicting organizational civil behaviors.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interventions for improving collaborative culture and teachers’ childcare efficacy. Moreover, decreasing the burnou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can help organizational civil behavior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및 학교준비도가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정현 ( Park¸ Jeonghyeon ),이경님 ( Lee¸ Kyungn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및 학교준비도가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어떠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와 8차년도의 종단 자료 중 949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SEM)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는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학교준비도를 매개로 하여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의 순차적인 이중 매개효과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하여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을 위하여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와 예방이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학교준비도 증진을 위한 지도방안에 초점을 맞춘 교사교육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부모교육이나 사회적 지원이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arenting stress,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school readiness and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For this study, seventh(2014) and eighth(2015)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analys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readiness were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Second,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through school readiness.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through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readiness. Additionally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you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ducing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mproving school readiness could help you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 KCI등재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경력몰입 및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Kim, Bokyeong),이경님(Lee, Kyungn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경력몰입 및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 310명을 대상으로 근무환경, 경력몰입,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경력몰입은 놀이교수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은 경력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놀이교수효능감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놀이교수효능감의 강화가 우선되어야함을 강조하는 한편 교사의 경력몰입의 고양과 양질의 근무환경을 위한 개선과 구축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career commitment and play teaching-efficac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10 child care teachers, by using instruments that access working environment, career commitment, play teaching-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Data were analys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Results First, teacher’s play teaching-efficacy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teacher’s career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play teaching-efficacy. Third, the working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career comment and play teaching-efficacy. Finally, the play teaching-efficacy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s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lay teaching-efficacy, career commi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for child care teacher could help teacher-child interaction.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과 교직전문성 인식 및 셀프리더십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Bokyeong Kim),이경님(Kyungnim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과 교직전문성 인식 및 셀프리더십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영유아교사 747명을 대상으로 근무환경, 교직전문성 인식 및 셀프리더십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및 셀프리더십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은 셀프리더십을 매개로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은 교직전문성 인식을 매개로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근무환경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경로에서 교직전문성 인식과 셀프리더십의 이중 매개효과도 나타났다. 추가 하여 영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을 위하여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의 강화가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셀프리더십 함양의 중요성과 양질의 근무환경 구축이 필수적임을 확인한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self-leadership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context of teachers that work with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747 early childhood teachers by using instruments that assess working environment,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Results: First,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self-leadership in teachers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n teachers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self-leadership. Thir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eachers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self-leadership. Finally,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n teachers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Conclusion: Interventions for improving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working environment for teachers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could help teacher-child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