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ubetzky의 목록법 사상 연구

        이강산다정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 정보관리학회지 Vol.32 No.3

        This study came up a library thought and the theory of cataloging through analyzing the life and writings of Seymour Lubetzky who founded the principals of cataloging in the twentieth centu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social, ideological, and cultural context, using a literature survey and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Moreover, this study aimed a comprehens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domestic and foreign fragmentary studie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Lubetzky’s thought of cataloging. Thus, this study found Lubetzky’s library and cataloging thought. The theory of cataloging that analyzes the above findings is the design of cataloging rules and a bibliographical relationship establishment. First of all, the principles of descriptive cataloging should contain the necessity, simplicity, unity, consistency, fin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relations, and clarify the purpose of cataloging. The bibliographical relationship is built on dividing a work as an intellectual product into a book as a physical substance. Moreover, a basic entry is entered on the basis of author names for planning the concentration of works, and a corporate name and an anonym are contained in the author names for extending the concept of author. 본 논문은 현대목록법의 기초를 세운 Seymour Lubetzky의 생애 및 저술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사상 및 목록법 이론을 도출하였다. 문헌조사와 역사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시대적인 사회적, 사상적, 문화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국내․외 단편적인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연구를 지향하였으며, Lubetzky의 목록법 사상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Lubetzky의 도서관 및 목록법 사상을 도출하였다. Lubetzky의 목록법 이론은 목록원칙의 설계 및 서지적 관계 정립이다. 먼저 기술목록법의 원칙은 필요성, 단순성, 통일성, 일관성, 목적성, 상호연관성의 특성을 포함해야 하며, 목록의 목적을 명시해야 한다. 서지적 관계는 지적 생산물인 저작과 구체적인 실체인 저서로 구분하는 것을 토대로 형성되었다. 또한 기본저록을 저자명 기준으로 기입하여 저작의 집중을 도모하였고, 저자명에 단체명과 무저자명을 포함시켜 저자의 개념을 확장하였다.

      • KCI등재

        국가R&D보고서 기재항목에 관한 연구

        이강산다정,황혜경,Lee, Kangsan-Dajeong,Hwang, Hyekyo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4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로 발생한 최종보고서 기재항목 기준을 마련하여 데이터베이스 품질 향상과 관리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49개 산하기관에서 제출한 최종보고서를 수집하고 기관별 샘플을 선정하였다. 과학기술기본법 시행규칙의 최종보고서·요약서 서식과 대조하여 구성요소와 기재항목을 정립하고, 국가연구개발정보표준과 연계현황을 분석하여 최종보고서의 고유항목을 도출하였다. 기재항목은 중요도에 따라서 주요, 선택으로 구분하고 기재항목의 기입 위치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최종보고서 기재항목의 표준화가 진행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메타데이터 추출 자동화와 보고서 메타데이터의 품질 향상을 기대해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naging the database of the reports arising from the results of National R&D projects. To that end, the reports submitted by 49 agencies under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were collected, and samples were selected for each institution. The samples and form of the final report and summary of the Enforcement Rule of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compared, and the components and items to be entered were established. The final report's unique item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state of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R&D information standard. The items to be entered are classified into major and optional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nd the location of the entry to be entered is suggested. If standardization of the elements and items is advanced as planned, it is expected to automate metadata extrac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report metadata when building a database.

      • KCI등재

        국가R&D보고서 참고문헌 기술항목 구축 개선방안 연구

        이강산다정,이혜진,현미환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에서 구축한 국가R&D보고서 데이터베이스의 참고 문헌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시스템 상의 구축 기술항목의 보완점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KISTI DB에 등록된 국가R&D보고서의 참고문헌 기술 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구축과정 및 지침, 유형, 항목 등의 구분의 작성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DB로 구축한 참고문헌 유형의 구분 결과에 대하여 적절성 및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으로 구축한 항목의 문제점과 구축 지침의 수정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시스템 변경사항을 도출하여 데이터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술규정 표준화를 통하여 향후 제공할 수 있는 융합 서비스 방안에 대하여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ference data of the National R&D Report database built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KISTI) to derive problems and to find complementary points for the construction technical items in the system.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descriptions of references in the National R&D Report constructed in the KISTI DB and analyzed the construction process, guidelines, types, items, etc. Based on this, the appropriateness and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results of the reference types constructed with the DB were checked. As a result, the problems of the items built into the system and corrections to the construction guidelines were derived. Through this, database construction can proceed efficiently and data quality is expected to improve. In addition,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on the convergence service plan that can be provided in the future through standardization of technical regulations.

      • KCI등재

        Naud$\acute{e}$의 사서직에 관한 연구

        남태우,이강산다정,Nam, Tae-Woo,Lee, Kang-San-Dah-Jeo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Gabriel Naud$\acute{e}$(1600-1653)가 도서관과 인연을 맺게 된 동기와 사서직을 어떻게 수행하였는지 연구하였다. 그는 자신의 도서관 사상을 이론으로 정립하였고, 그 사상을 3개의 도서관에서 실천하였다. 특히 도서관의 목적을 세워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이러한 활동은 현대 사서직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또한 그의 사상이 Ranganathan의 5법칙과 유사한 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Naud$\acute{e}$가 도서관을 공개하여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한 보편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motivated Gabriel Naud$\acute{e}$(1600-1653) to become associated with the library and how he performed his librarianship. He formulated his ideas into a theory, and put the ideas into practice through three libraries. Particularly, he established the goals of the library, and provided services in keeping with the goals. Such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ost of a modern libraria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is ideas bear similarities to Ranganathan's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Therefore, this article carried out the study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from which Naud$\acute{e}$ had opened the library and provided user-centered services.

      • KCI등재

        Naudé의 사서직에 관한 연구

        남태우,이강산다정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Gabriel Naudé(1600-1653)가 도서관과 인연을 맺게 된 동기와 사서직을 어떻게 수행하였는지 연구하였다. 그는 자신의 도서관 사상을 이론으로 정립하였고, 그 사상을 3개의 도서관에서 실천하였다. 특히 도서관의 목적을 세워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이러한 활동은 현대 사서직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또한 그의 사상이 Ranganathan의 5법칙과 유사한 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Naudé가 도서관을 공개하여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한 보편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motivated Gabriel Naudé(1600-1653) to become associated with the library and how he performed his librarianship. He formulated his ideas into a theory, and put the ideas into practice through three libraries. Particularly, he established the goals of the library, and provided services in keeping with the goals. Such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ost of a modern libraria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is ideas bear similarities to Ranganathan's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Therefore, this article carried out the study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from which Naudé had opened the library and provided user-centered services.

      • KCI우수등재

        데이터 기반 R&D 지원을 위한 연구자의 학술정보 및 데이터 요구 분석 연구

        이석형,이강산다정,김재훈,이혜진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1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데이터 기반 R&D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학술정보유형과 데이터셋을 발굴하고, 학술정보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연구자가 필요한 학술정보와 데이터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자 5인의 탐색적 사례 연구와 ScienceON 이용자의 온라인 설문을 통해 데이터 기반 R&D 행태 및 정보․데이터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기반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학술논문을 많이 활용하며 데이터셋이나 소프트웨어 정보 또한 학술논문이나 학술회의자료로부터 참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제 분야별로 활용하는 데이터 확보 방법, 획득 경로와 활용 데이터 유형이 차이가 있으며, 연구자들은 필요한 데이터셋이나 학습모델과 같은 소프트웨어가 어디에 있고 어떻게 확보해야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 연구를 수행하는데 애로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데이터 기반 R&D를 지원하기 위해 주제별로 데이터셋을 체계적으로 구축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학술논문과 연계하여 데이터셋과 관련 소프트웨어 정보를 별도로 추출․요약해서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as a preliminary research to effectively support data-driven R&D of researchers, we analyzed the academic information and data requirements for researchers to discover new types of academic information and datasets,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we conducted an exploratory case study involving five researchers and administered an online survey among ScienceON users to glean insights into data-driven R&D behaviors and information/data requirements. As a result, researchers relatively referred to academic papers, datasets and software information from academic papers or conference materials. Moreover, the methods and pathways for acquiring data, as well as the types of data, varied across different subject areas. Researchers often faced challenges in data-driven R&D due to difficulties in locating and accessing necessary datasets or software such as learning models. Therefore it has been analyzed that for future support of data-driven R&D,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construct datasets by subject. Additionally,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tract and summarize dataset and related software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academic papers.

      • KCI등재

        학술논문 통합 DB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비교 분석

        최원준,황혜경,김정환,이강산다정,임석종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국내외 학술논문을 서비스하는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가 분산적으로 수집, 구축 및 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된 학술논문 DB를 분석하여 논문데이터를 고부가가치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DB 스키마 도출을 위하여 현재 구축되고 관리되는 학술논문 DB 스키마 및 DB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구매하여 보유하고 있는 Web of Science와 SCOPUS 스키마를 활용하여 비교, 분석을 통한 최종 학술정보 데이터 항목을 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되고 서비스되는 학술정보 데이터 항목이 논문, 저자, 초록, 기관, 주제, 저널, 참고문헌 7가지로 요약 도출되었으며 구축중인 핵심콘텐츠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 DB 스키마가 만들어졌으며, 향후 이 연구 결과는 고품질의 학술논문 통합 DB 컬렉션 구성과 시스템 최적화 설계를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DSL) database, which provides academic papers at home and abroad, collects, builds, and manages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B paper schema and DB metadata that are currently constructed and managed to derive an integrated DB schema that can manage the high-value-added papers and manage them efficiently by analyzing distributed DB papers. Also, the final academic information data items were determined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using the Web of Science and SCOPUS schemas that are currently purchased and possessed. The academic information data items constructed and serviced through this study were summarized into seven papers, authors, abstracts, institutions, themes, journals, and references, and defined as core contents under construction. The integrated DB schema was creat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constructing the integrated DB collection of high quality academic papers and designing the integrated system.

      • KCI등재

        Changes in the Structure of Collaboration Network in Artificial Intelligence by National R&D Stage

        현미환,이혜진,임석종,이강산다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10 No.-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collaboration structure for each stage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R&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field through analysis of a co-author network for papers written under national R&D projects. For this, author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national R&D outcomes in AI from 2014 to 2019. For such R&D outcomes,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KISTI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Information) was utilized. In research collaboration in AI, power function structure, in which research efforts are led by someinfluential researchers, is found. In other words, less than 30 percent is linked to the largest cluster, and a segmented networkpattern in which small groups are primarily developed is observed. This means a large research group with high connectivity and asmall group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a sporadic link is found. However, the largest cluster grew larger and denser overtime, which means that as research became more intensified, new researchers joined a mainstream network, expanding a scope ofcollaboration. Such research intensification has expanded the scale of a collaborative researcher group and increased the numberof large studies. Instead of maintaining conventional collaborative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number of new researchers hasrisen, forming new relationships over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