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又玄 高裕燮의 ‘朝鮮建築美術史草稿’에 대한 연구

        이강근(Lee Kangku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49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한국인으로서 유일하게 건축사 연구에 몰두했던 又玄 高裕燮의 遺稿 ‘朝鮮建築美術史草稿’(이하 문맥에 따라 『草稿』혹은 ‘草稿』’로 줄여서 표기함)의 연구사적 의의를 밝힐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일본인들의 독무대였던 유적 조사, 미술사, 건축사 분야에서 고군분투한 끝에 독보적인 업적을 이룩한 又玄의 업적 가운데에서 젊은 날의 초기 저작인 ‘草稿’가 차지하는 위상을 네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즉, 집필동기, 서술체재와 내용, 건축미술사의 지향점, 우현이 찾아낸 조선건축의 특색 등이 그것이다. 먼저 ‘草稿’의 집필동기가 關野 貞의 『朝鮮美術史』(1932)와 藤島亥治郞의 『朝鮮建築史論』 (1930)을 극복하고 조선인에 의한 조선건축사를 쓰기 위해서였음을 밝혔다. 이 가운데서도 식민지배 시기에 충실하게 제국주의 문화정책의 앞잡이 노릇을 한 關野 貞이야말로 又玄이 가장 먼저 說破하지 않으면 안 될 대상이었다. 둘째, ‘草稿’의 서술체재와 내용이 關野 貞의 『韓國建築調査報告』와 『朝鮮美術史』, 藤島亥治郞의 『朝鮮建築史論』 등을 의식하여 쓰여졌으며 목차도 그러했다. 又玄은 두 일본인 학자의 저서를 모두 읽고 전자에게서는 시기구분, 후자에게서는 총론을 쓰는 데 도움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又玄은 시기구분에서 樂浪時代를 빼고 大韓時代를 넣음으로써 植民史觀을 벗어났으며, 총론에서는 환경결정론적 논리를 벗어던졌다. 藤島亥治郞 ‘朝鮮建築史의 地位’를 ‘일본건축사 연구의 보조물’로 치부한 데 대항하여, ‘朝鮮建築의 地位’와 ‘朝鮮建築의 特徵’을 새롭게 편성하기도 하였다. 셋째, 又玄은 미술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건축만을 서술하되 건축 유물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라도 후대 건축의 계통과 관련해서는 간단하게 서술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집필에 임하였는데, 그의 건축미술사가 목표로 삼은 지향점은 ‘조선건축의 특색’을 찾아내는 일이었다. 넷째, 又玄은 조선건축의 미적 특색을 서술하기 위하여 건축을 ‘미적 대상’으로 삼고 ‘미적 가치’, ‘미적 효과’, ‘미적 관계’, ‘미적 구상’, ‘미적 생명’ 등을 읽어내려고 노력하였다. 작품의 미적 효과를 ‘맛’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는 점이 주목되는데, 맛깔을 묘사한 형용사를 일회적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특징을 다양하게 형용해 보려는 노력의 산물일 뿐 아직 조선건축의 미적 범주를 가리키는 말로 개념화된 것은 아니다. 이렇게 해서 찾아내고 규정한 朝鮮建築의 特色을 ‘朝鮮心’, ‘朝鮮趣味’, ‘朝鮮民族의 心理’에서 나온 ‘朝鮮色’이라고 말하고 있다. 건축미술의 연구를 통하여 조선미술의 특색을 찾아나간 又玄은 難攻不落의 城砦로 보였던 關野 貞과 藤島亥治郞의 저술을 어느 정도 격파하였다. ‘朝鮮建築美術史草稿’의 집필을 통하여 植民 史觀에 입각한 實證主義的 朝鮮建築史(又玄의 표현에 따르면 ‘古物調査臺帳’)를 극복할 ‘美學的 基礎’를 마련한 又玄은 훗날 塔婆硏究에서 보듯 樣式論으로도 그들을 극복하였다. 광복 60돌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한국건축사 연구자는 ‘日本人의 朝鮮建築史’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朝鮮建築美術史草稿’에서 싹을 티운 ‘韓國建築美術史’의 완성을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essay attempts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Draft of the Architectural History as Art History in Korea by Go Yuseop, the only Korean who devoted himself to research on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is essay, I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raft in terms of four aspects, including his motive to write the Draft, his style of writing and the contents of the Draft, the goal of the study on the Korean history of archite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tecture from Koh's point of view. The Draft is one of Go Yuseop's early works among many achievements he accomplished without peers as a result of hard work in areas that tended to be monopolized by japanese scholars. such as research on historical ruins. art history, and architectural history. Above all, an investigation into to the motive of the Draft shows that Go Yuseop intended to write a book on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as a Korean. rather than relying on writings by Japanese, such as Korean Art History by Sekino Tadashi (關野 貞) (1932) and A Theory on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by Fujishima Kaiziro (藤島亥治郞) (1930). Between the two japanese scholars, Sekino Tadashi was the very person who, as one of those who faithfully played a key role in implementing imperialistic cultural polic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as the first person he had to overcome. Go Yuseop was conscious of Report on an Investigation into Korean Architecture and Korean An History by Sekino Tadashi and A Theory on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by Fujishima Kaiziro while writing the Draft, which is manifest in the table of the contents of his work, Having read the writings by the two Japanese scholars, Go Yuseop apparently borrowed the periodization from Sekino Tadashi and the introduction from Fujishima Kaiziro However, he replaced the Nangnang period with the Daehan period, transcending me imperialistic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cast me theory of environmental determinism in me introduction, In resistance to Fujishima Kaiziro's dismissal of the status of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as a mere auxiliary to studies on Japanese architectural history. Go Yuseop reorganized the section on me "Status of Korean Architectur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tecture." Go Yuseop was determined to write, if briefly, about architectural pieces that were related to architecture of the later periods, even if the relics did not exist any more, while only selecting architectural pieces mat could be artistic enough to be treated as works of art. His aim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tecture" by writing the Draft. Finally, Go Yuseop regarded architecture as an "aesthetic object" and attempted to interpret it in terms of its "aesthetic value," "aesthetic effect," "aesthetic relationship," "aesthetic structure," and "aesthetic life." His expression of the "aesthetic effect" with me word "emotional taste (맛)" attracts the readers' attention, which, however, may be viewed as the outcome of his effort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tecturein various expressions, not as aconceptualized word included in the aesthetic category. He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tecture he thus found as "Korean color" that comes from "Korean mind," "Korean taste," 'Korean mentality." Through his research on Korean architecture and an and his endeavor to arti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tecture. Go Yuseop overcame Sekino Tadashi's and Fujishima Kaiziro's writings, to some degree, that acted as animpregnable fortress to Korean scholars at that time. Having established the "aesthetic foundation" of Korean architecture mat could replace the positivistic viewpoints of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the Survey of Worn-out Object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by Go) based on imperialistic perspectives, Go Yuseop attempted to overcome the imperialistic theory on style as well in his Draft, whi

      • KCI등재

        조선시대의 궁궐 침전 용어에 대한 辨證

        이강근(Lee Kangkun)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0

        궁궐건축 연구에서 부닥치는 문제 가운데 난제는 ‘용어의 애매성’이다. 관찬 사서를 기록한 사관이 중국의 經史를 섭렵한 官人 학자들이었기에 그들의 문장 속에 儒家的 세계관이 배어 있다. 특히 寢殿 관련 용어에는 聖君으로서의 君主에 대한 견해가 반영되어 있다. 침전 앞쪽에 별도로 마련된 小寢殿은 朝會에서 물러 나온 뒤에도 寢殿에 들지 않고 소침전에서 올바른 정치를 펼 방도를 궁구하는 성군에게 필요한 시실로 이해되었다. 정도전이 燕寢인 康寧殿과 便殿인 思政殿 사이에 小寢인 延生殿과 慶成殿을 좌우에 마주 보도록 배치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또 강녕전은 王과 王妃의 침실을 갖춘 일상생활의 장소인 燕寢인 동시에, 王室儀禮를 거행하거나 승지와 대신들을 接見하고 政事를 의논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사전적으로 정의하면 六寢은 왕의 침전 영역, 六宮은 왕비의 침전 영역을 뜻하지만, 둘 다 路寢(正寢) 1채와 小寢(燕寢) 5채를 앞뒤로 배치한 구성으로 똑같이 설명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연침과 소침을 구별하여 경복궁 창건 설계에 반영한 것과 맞지 않기 때문에, 조선시대 전반기 경복궁 침전 사용방식을 이해하는 데 혼란을 일으킨다. 正寢이란 용어의 경우 사전적 정의와 실제 건물 사용 사이에 모순이 발견된다. 국가 의례서인 『오례의』에서 ‘正終의 장소로서의 정침’을 思政殿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실제로 사정전을 정침으로 삼은 예는 심지어 한 번도 없었다. 正終의 장소로서 경복궁 康寧殿을 정침으로 삼은 경우는 문종 사후가 유일하였고, 창덕궁 대조전은 성종, 인조, 효종, 철종, 순종 등 다섯 임금의 사후에만 정침으로 사용되었다. 史書와 번역서에서 말하는 연침과 소침, 육침과 육궁, 노침, 정침 등 조선왕조의 궁궐 침전을 서술하는 데 핵심적으로 사용된 용어들은 아이러니하게도 조선시대의 역사상 실재한 침전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뿐 아니라, 후대의 연구자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이제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re are difficulties that can not be solved easily in the study of palace architecture. One of them is the ambiguity of the terms quoted in Chinese classical texts or history books. Since the Confucian official historian who studied the history of China recorded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heir Confucian world view is also contained in the sentences dealing with the Chimjeon of the Joseon Dynasty’s palace. Especially, the life in the Chimjeon(寢殿) was required to live as an old saint-monarch in the Confucian position, Confucian officials’ idealist views were always learned and forced in dialogue with the king. Sochimjeon(小寢殿), the small residences were set up in front of the main residence on the basis of the idea that the king should not rest in the main residence even though he left the Main-hall(正殿) as saint-monarch. This is the reason why Jeong-dojeon(鄭道傳) have arranged small residences to face east and west between Gangnyeong-jeon(康寧殿) and Sajeong-jeon(思政殿). Although Gangnyeonjeon is a place of everyday life with a king room and a queen room, it was also used as a venue to conduct royal ceremonies, meet the ministers and discuss politics. This method of use does not even mean the 燕寢, the resting bedroom. By definition, Yugchim(六寢) is the settling area of the king, and Yuggung(六宮) means the settling area of the queen, both are equally described as consisting of one main residence 路寢(正寢) and five small residences五小寢(燕寢). However, this does not match the distinction between 燕寢 and 小寢 applied to Gyeongbokgung by Jeong-dojeon, and that is confusing and ambiguous. There is also a contradiction between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the historical reality in the use of the term Jeongchim(正寢). Ironically, the terms used in describing the residence of the Chosun dynasty did not properly reflect the reality of the actual settling in history. In this dialectical study, I focused on this problematic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