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육 및 사회정책의 출산율 고양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System-GMM을 활용한 26개국 18년간의 패널 자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은석 ( Eun Su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 18년간의 OECD 26개국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출산율 고양에 효과적인 정책수단이 무엇인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어 온 사회정책 외에 정부의 교육책임성을 주요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각 프로그램의 전달 형태를 사회서비스와 현금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제도 수준의 변수들이 모델이 투입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생성의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전기 종속변수의 값을 도구 변수로 활용하는 System-GMM을 활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무교육 기간, 정부의 공교육비지출비중 등 정부의 교육책임성이 클수록 출산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보육(ECEC)은 출산율 고양에 항상 효과적이었으며, 사회적 속성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육아휴직지원 역시 효과성을 보였다. 셋째, 노령지출은 출산율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확정급여 형태의 연금제도 때문으로 추정된다. 넷째, 가족수당이나 주거지출, 여성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은 출산율과 유의미한 영향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출산 전후에 단기적으로 주어 지는 현금 형태의 수당이나 지원금보다는 영유아시기 및 청소년기까지의 장기적인 양육비용을 좌우하게 되는 보육과 교육서비스의 확대가 효과적일 것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what policy measures could be effective in raising fertility rates using 18 years of panel data on 26 OECD countries focusing on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and social policies through the System-GMM estimation, which is used to correct bias caused by the problem of endogeneity. To capture the precise policy effect, each social policy program is added to the estimate model at the program level and each programs are interpreted by type of expenditure: cash or service. The results shows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and ECEC program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ertility rate. The effect of cash benefits on maternity leave was also positive after controlling for social conditions. Old-age programs shows negative effect on fertility for presumed long-term effect of the defined benefit pension system. Finally, cash benefits for child-bearing or family allowance are not significant. In order to boost the low fertility rate,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social service programs including education and ECEC, which compensate child care cost in the long-term perspective rather than cash benefit programs whish compensate relatively short-term care cost.

      • KCI등재

        세대 차이인가, 계층 차이인가?

        은석(Suk Eun),안승재(Seung Jae An),함선유(Sunyu Ham),홍백의(Beag Eui Hong)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8 아시아리뷰 Vol.8 No.1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서 거론되는 사토리 세대, 88만원 세대와 같은 세대론이 실재하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는 한국과 일본에서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한 경험의 성층화 과정을 통해 실재 세대가 출현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세대 차이는 계층 간 불평등의 한 단면으로, 세대론이 계층 간 불평등을 과소평가한다는 비판도 있다. 본 연구는 두 상반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진의 〈가족 범위와 인식에 대한 국제 조사〉에 참여한 만 20~59세의 한국인 972명과 일본인 478명의 가족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 정부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관한 응답 데이터를 회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386세대와 일본의 사토리세대가 정부의 역할에 대해 낮은 신뢰수준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한국은 동질혼과 동성가족에 대한 인식 문항에서 저소득층의 유의미한 차이가 관측되었고, 일본의 경우 노부모 부양에 대해서 중위소득층, 정부의 아동 돌봄 책임 인식에 대해서 저소득층이 타 계층과 다른 인식을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test the generation theory which has attracted public attention in Korea and Japan as noted in such expressions as “880,000-KRW generation” and “Satori generation.” Preceding studies have argued that actual generations have been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stratification experiences caused by rapid social changes in Korea and Japan. On the contrary, there have been arguments that the generational gap is one aspect of the class inequality and that the generation theory is underestimating other social cleavages (i.e. social class). To examine these competing hypothesis, this study analysizes public perception of the roles and functions of families and the government. Using the data from 972 Koreans and 478 Japanese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Family Perception Survey,”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IMF generation, the 386 generation in Korea and the Satori generation in Japan,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generations.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in noting that both the 386 generation and the Satori generation show significantly low reliability on the role of government when their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are controlled. Results also show differences by respondents’ social class. In Korea, the lower class strongly disagreed with associative mating and were more open to same sex marriage than other social classes. In Japan, the middle class showed disagreement on the role of government in old-age pension and the lower class favored expanded governmental roles in childcare. This study also found that gender is a meaningful factor which explained perception gaps, and discussed about generation theory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

        생태주의와 복지국가는 결합할 수 있는가?

        은석(Eun, Su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3

        본 연구는 한계에 직면한 복지국가와 생태주의 이론 간의 결합을 타진하기 위한 담론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복지국가가 겪고 있는 생태적 위기에 대해 분석한 후, 생태주의의 주요 각 이념이 제시하는 생태 문제의 원인과 이에 대한 대안, 복지국가에 대한 함의를 살피고, 시사점을 둘로 압축하여 생태주의와 복지국가 간 화학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이념형을 도출하였다. ‘국가’는 자본의 하수인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상대적 자율성을 가진 집단이기도 하다. 생태 아나키스트나 사회생태주의의 주장처럼 국가를 폐기하고 공동체 위주의 사회로 전환한다는 것은 불확실성도 크고, 자본의 이해를 더욱 강화해주는 전환일 수도 있다. 그렇기에 생태주의 주요 이념으로부터 도출한 시사점을 정치구조적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통치구조의 녹색화’ 차원과 ‘임금노동시장으로부터의 종속을 완화하는 탈상품화’ 차원으로 압축하고, 이 두 차원을 통해 성찰적 공동체형 복지국가와 환경관리형 복지국가, 자본포섭형 복지국가, 세 가지의 이념형을 도출하였다. 현재의 복지국가는 계급 정치기반의 붕괴 및 대의제의 문제로 자본포섭형 복지국가에 가깝다. 성찰성을 일상화한 시민을 핵심 추동세력으로 하여 복지국가의 생태적 전환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The welfare state, as a capitalistic institution for social stability, was premised upon the hypothesis that achieving full-employment is possible by an active government. The existing theories of the welfare state have not accounted for the deterioration of ecological conditions or the unsustainability of the growth-driven capitalist system. The welfare state, with its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se conditions, was subsumed by a globalizing capital that tries to reach beyond the realm of the nation-state and constantly integrate world markets. We need to go beyond capital-embedded welfare with full of exploitation over human/non-human beings. As to this, the welfare state strongly needs a new ideological orientation and ecological ideas shades a guiding light to reach the goal. To archive this, rather than abolish the notion of stat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to maximize “relative autonomy” of the state by political reformation, Greening the governance structure.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way to give shape to an ecological welfare state. To achieve this, first, I examine discourses on the crisis of the welfare state crisis and its limitations. Second, I examine whether ecologism – which is wholly against the capitalist exploitation of humanity and nature – could be combined with the welfare state. The core principles are to greening the governance structure and expanding the range of the wage labour to civil activity. Compensation to those who work for the communities through citizen’s income could be alleviate exploitive capitalistic structure and dependency on wage labor. Those welfare programs will lead a new decommodification of new welfare state. Finally, I explore new and hypothetical ideal types of the welfare state based on the principles of ecologism, The Reflexive Communal Welfare State Model.

      • KCI등재

        서울시 청년수당 참여자가 공유하는 ‘6개월’의 의미: 낙인 없이 더 나은 일자리로 이행하기

        은석 ( Eun,Suk ),윤태영 ( Yun,Taeyo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복지연구 Vol.52 No.3

        청년들에게 조건 없이 현금을 지급하는 청년수당은 사실 낯선 복지정책이다. 본 연구는 청년수당 참여자들이 수급 이후 개선된 노동시장성과를 보인 것에 주목하여 참여자들이 ‘6개월’간의 수급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청년의 불안정성 및 청년정책의 흐름, 청년수당의 특징, 참여자들의 집단적인 인식형성 과정을 이론적으로 정리하였고, 이를 토대로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16명을 연령 및 교육수준에 따라 3개 집단으로 구성하여 초점집단면접(FGI)을 수행한 후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청년수당 참여자들은 수급 ‘6개월’의 전반부는 회복과 여유, 후반부는 성과의 데드라인(deadline)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오리엔테이션 및 홍보물의 영향으로 유사한 어휘를 사용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소득조사를 동반하는 타 급여 수급자들과 다르게 스티그마(stigma)나 수치심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청년수당이 조건 없는 현금급여라고 하더라도 노동시장진입을 강렬히 원하는 청년의 생애주기 특성과 맞물려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담보하는 충분한 유인책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Seoul Youth Allowance, a program in which cash is paid to youth without conditions, is an uncommon welfare polic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llowance recipients’ perceptions of their six months of receiving benefits. The study first theoretically summarized the state of the research on instability in early adulthood, youth policies, discussions about the Youth Allowance, and the process of forming collective cognition. Then, to understand the experienced of the allowance recipients,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16 interview participants, who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ge and education level.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first half of the six-month allowance period as a time for recovery and relaxations, while the second half as a deadline for entering the labor market. In addition, the group effect was observed during the interviews as participants shared similar words that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the orientation program and guidebooks. Unlike means-tested welfare benefits recipients, the allowance recipients did not exhibit stigmatization or shame. Thus, although the Youth Allowance is an unconditional cash benefit, it can be sufficient to facilitate young people’s transition to the next stage in line with the life-course characteristics of youth who have strong work motivations.

      • KCI등재

        동아시아의 가족가치 비교 척도 개발에 대한 연구

        안승재 ( An Seung Jae ),은석 ( Eun Suk ),홍백의 ( Hong Beag Eui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가족복지학 Vol.60 No.-

        본 연구는 다양한 가족가치를 포착하여 동아시아 국가 간 비교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다양한 가족가치를 포착할 수 있는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조사는 한국, 일본, 중국의 20∼59세 이상 남녀3,0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가족가치척도의 개발을 위하여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포스트모던 가족가치, 전통적 가족가치, 유교적 가족가치, 도구적 가족가치, 양성평등적 가족가치의 5개요인, 15개 문항이 최종적으로 가족가치척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족가치척도는 선행연구에서 다루는 모든 가족가치를 포괄하지는 못하였지만 가족가치들을 다면적으로 측정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추가적인 척도 적용 및 검증을 통해 가족가치 비교연구에 있어서 이론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to capture various components of the family value and apply for comparative study of the family value of East Asian countr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consults, 27 preliminary questions of the East Asian family value were developed. A total of 3,000 people of East Asia countries(Korea, China, Japan) aged 20∼59 wer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For validating the family scale developed, an explan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wo of the 27 questions were deleted because those questions were found to have high correlation with other question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5 factors composed of 15 items -post-modern family value, traditional family value, confucian family value, instrumental family value and gender equality family value- were extracted and confirmed the factors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amily value scale was appropriate for measuring various family values in East Asian countries and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sian family theory. However, this scale can not cover all the family values and further studies would be need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family value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