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권강사 양성교육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윤혜순 한국법교육학회 2019 법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권강사양성교육 참여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지방자치단체의 인권강사양성교육에 참여했던 성인학습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권강사는 인권지식, 인권감수성, 실천, 강의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둘째, 인권은 나로부터 출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자신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셋째, 올바름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교육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으며, 법교육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성인기이기에 인권을 직업, 부부관계, 자녀교육, 강사역량과 연관 지어 적용하였다. 다섯째, 인권강사보다는 인권에 대해 알아가고 실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인권강사로서의 정체성, 자질 등을 기준으로 수강자를 선발했을 때 인권강사양성교육은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인권강사양성교육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essential meaning of participating in a training course for human rights lecturer. To do so,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adult learner who attended a training course for human rights lecturer provided by A local government and a phenomenological method derived from Giorgi is used to analyze students’ experienc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portant qualities for a human rights lecturer include knowledge on human rights, sensitivity, capacity for action, and competency in giving lectures. Second,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human rights start from themselves, and they focused on changing themselves. Third, the participants developed confidence that they can make judgments based on rightness and became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law education. Fourth, the participants learned to apply their knowledge of human rights to marital relationships, children’s education, and capabilities as a lecturer. Fifth, the participants felt that training of human rights lecturer could be more effective if participants are selected based on their identity and qualities as a human rights lecturer.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were developed on how to improve training of human rights lecturers.

      • KCI등재

        초등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어머니상과 아버지상 분석

        윤혜순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1

        This study analyzes images of mother and father as portray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grammar school student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a,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are portrayed as figures that are kind and provide a sense of security, but also become stern when they teach disciplines to children. Second, both mothers and fathers play the role of assisting their children to lead a worthy life, rather than directly teaching values to them. Third, both parents take care of children’s upbringing and house chores, and mother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s emphasized. Fourth, both parents take part in motivating their children with compliments, and share a responsibility of children’s education. Fifth, compared to fathers, mothers put more pressure on children and wield more control over them to ensure successful outcome of private education. Sixth, mothers and fathers sometimes give orders to children, and compromise with the world, but eventually overcome their weaknesses with love for their children. Seventh, fathers are sometimes portrayed as incompetent and shabby figures, and thus, an embarrassment to their children. These show that the dichotomous gender stereotype of parents has been substantially mitigated over time. However, description of parents in school textbook still has limitations in presenting their role as an emotional supporter and an educator for their children. More social discourse needs to be encouraged, led by parents, to discuss how to describe mothers and father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어머니상과 아버지상을 내용분석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는 다정하며 안정감을 주면서도 때로는 훈육을 위해 무서운 존재로 등장한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는 가치를 전달하기보다는 자녀 스스로 가치 있는 삶을 알아갈 수 있도록 조력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는 공동으로 육아와 가사를 담당하며 어머니는 경제활동 주체로 부각되고 있다. 넷째, 어머니와 아버지는 함께 칭찬 등을 통해 적절한 동기부여를 하며 자녀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다섯째, 어머니는 아버지에 비해 성공적인 사교육을 위해 자녀를 압박하고 통제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여섯째, 어머니와 아버지는 자녀에게 명령하기도 하고 세상과 나약하게 타협도 하는 측면이 있지만 결국 자녀에 대한 사랑으로 자녀에게 이끌려 이를 극복해내기도 한다. 일곱째, 아버지도 무능하고 초라하며 자녀에게 창피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이분법적 성역할분업이 상당히 완화되었으며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서적지지자, 교육자로서의 역할 등에서 한계를 갖고 있고 혼재된 모습도 나타난다. 따라서 국어교과서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상을 어떻게 담아내야 하는지에 대해 학부모가 주체인 다양한 사회적 논의의 장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학교안전 연구동향과 과제

        윤혜순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2

        근대 이후 청소년은 의무교육, 학교교육 보편화로 인해 대부분이 학교에 다니고 있다. 그러나 학교는 근대화, 산업화에 따른 양적성장으로 인해 학교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안전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안전에 대한 연구동향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안전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교안전 관련 연구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안전 관련 학술지 논문 136편을 대상으로 연구현황, 연구내용,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논문은 학교안전사고가 누적되고 사회적으로 심각성이 제기되었던 2003년 이후로 증가하였다. 둘째, 교육시설, 학교보건, 보건교육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으나 68개의 학술지에 발표될 정도로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단절적으로 발표되었다. 셋째, 초등학생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넷째,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와 문헌연구가 61.59%나 차지한다. 다섯째, 연구주제는 교육, 보건, 시설, 급식 분야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정서, 심리, 상담 측면의 접근은 미흡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안전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IEntering the modern era, most of youths go to school following the compulsory education and gener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Meanwhile, the school safety accidents are growing due to the quantitative growth of schools resulting from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a result, studies on the school safety also increased. Thu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research trend for the school safety so far and identifying research projects. For this, 136 theses on the school safety were selected from academic journals, and literature analysis was done thorough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sing on the research subjects, contents, and topics. First of all,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school safety accident increased since 2003 when its accumulation and seriousness began to receive attention. Secondly, research topics were concentrated on the fields of education facilities, school health, and health education, but the publications were spontaneous with very broad coverage, being published in as many as 68 academic journals. Thirdly, a large proportion of the research involved primary school students and disabled children. Fourthly, the methodologies of the papers were mainly survey study and literature study, occupying 61.59% of the total research papers. Asfortheresearchsubject,education,health,facility,andschool meal showed highest frequency, while few studies dealt with emotion, mentality and counseling. Based on the analysis, the future research of the school safety is suggested.

      •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과의 박물관 체험학습 연계를 위한 기초연구

        윤혜순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07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과에 반영된 박물관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중학교 사회과와 박물관의 기획전시를 통한 체험학습 연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제7차 교육과정 사회과는 통합교육과정에 따라 우리 국토와 민족의 역사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세계시민으로서 자질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 라 체험학습, 통합학습, 자기주도적학습 등의 교수방법이 중시되면서 박물관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 사회과와 박물관교육의 연계방안을 중시하면서도 현장 에서는 이를 구체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는 박물관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사회과 분석을 통한 박물관과의 연계방안 모색에 소홀히 하고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연계방안으로 사회과와 박물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박물관 관계자,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이 함께 연계방안을 모색한다. 교과 서나 교사용지도서 등에 박물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한다. 사회과 교사를 대 상으로 하는 연수, 교사용 자료 발간, 활동지 등을 마련한다. 중학생의 눈높이에 맞게 기획하고 설명해주는 박물관 교육전문가가 있어야 한다. 사회과 수업에 찾아가는 박 물관 즉 대여, 박물관 홈페이지 자료실 제공, 박물관 이동버스 등을 활용한다. 학생들 의 눈높이에 맞는 웹기반 사회과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박물관교육은 사 회과교육의 보조수단이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즉 파트너로서의 자리매김이 중요하다.

      • KCI등재

        탈북청소년 연구동향과 과제

        윤혜순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1

        In the 2000s, North Korean migrant youth entering Korean society have rapidly increased. Accordingly, studi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understand North Korean migrant youth, identify their present conditions, and support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However, research trend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 was not done properly. Thu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research trend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 so far and identifying research projects for social integration study. For this, 106 theses on the North Korean youth were selected from academic journals, and literature analysis was done thorough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sing on the research subjects, contents, and topics. The result sh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is increasing, and researches are mainly conducted in the fields of youth, education, society, social welfare, and psychology. They were announced in so many different areas such as published in 72 academic journals. Second, 75.78% of study methods is research study and qualitative research. Third, social, cultural, psychological adaptation at school was the most common topic of the research. There were topic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 in the areas of healing, trauma, consumer consciousness, identity, multiculturalism, learning disabilities, dropouts, and so on. There were lots of overlaps in studies about some topics such as adaptation, whereas there was lack of study about social integration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 Based on the analysis, the future research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 is suggested. 2000년대부터 한국사회에 입국하는 북한이탈주민이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탈북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실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그러나 탈북청소년에 대한 연구동향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제까지의 탈북청소년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사회통합을 위한 연구 과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탈북청소년 관련 학술지 논문 106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문헌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연구현황, 연구내용,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논문은 2002년 이후로 연구되었고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청소년, 교육, 사회, 사회복지, 심리분야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으나 72개의 학술지에 발표될 정도로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와 질적연구가 75.78%나 차지한다. 셋째, 연구주제는 사회, 문화, 학교, 심리적응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치료, 외상, 소비의식, 정체성, 다문화, 학습장애, 중도탈락 등 탈북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하는 주제가 많았다. 그러나 적응과 관련된 연구는 중복되는 연구가 많았고, 탈북청소년의 사회통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미흡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탈북청소년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