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판화의 박물관교육 활용과 확장 : - 명주사 고판화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상길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0 박물관교육연구 Vol.- No.5

        이 논문에서는 고판화의 박물관 교육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는 것으로 고판화박물관 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소장품인 고판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박물관교육의 확장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고판화의 박물관교육의 확장 방안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교육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 유물의 수집으로부터 시작되 며, 사라져가는 문화재의 수집을 통해 박물관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뿌리를 찾을 수 있 는 민족정체성을 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지식전달 매체인 인쇄문화의 기초인 고판화는 태생적으로 교육적 활용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서책의 삽화를 활용하여 종교교육이나 윤리 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셋째, 고판화를 새기기 위해 서는 원화의 의도적인 생략과 디자인화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창의성 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민화판화의 자료 속에는 대중을 위한 교육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예술판화를 통해 인간의 심성을 순화하는 미술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문양판화(능화판, 시전지판 등)를 활용하여, 인간의 삶 속에서 아름다움을 실현할 수 있는 생활예술을 실천할 수 있는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여섯 번째는 고판화자료의 국 가별, 시대별, 장르별 분석을 통해 중국․한국․일본판화의 문화적 소통 사례를 발견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문화소통의 증거물인 자료를 통해 문화는 끊임없이 뒤섞이면 서 새롭게 변하고 학산 되는 다문화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과의 박물관 체험학습 연계를 위한 기초연구

        윤혜순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07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과에 반영된 박물관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중학교 사회과와 박물관의 기획전시를 통한 체험학습 연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제7차 교육과정 사회과는 통합교육과정에 따라 우리 국토와 민족의 역사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세계시민으로서 자질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 라 체험학습, 통합학습, 자기주도적학습 등의 교수방법이 중시되면서 박물관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 사회과와 박물관교육의 연계방안을 중시하면서도 현장 에서는 이를 구체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는 박물관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사회과 분석을 통한 박물관과의 연계방안 모색에 소홀히 하고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연계방안으로 사회과와 박물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박물관 관계자,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이 함께 연계방안을 모색한다. 교과 서나 교사용지도서 등에 박물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한다. 사회과 교사를 대 상으로 하는 연수, 교사용 자료 발간, 활동지 등을 마련한다. 중학생의 눈높이에 맞게 기획하고 설명해주는 박물관 교육전문가가 있어야 한다. 사회과 수업에 찾아가는 박 물관 즉 대여, 박물관 홈페이지 자료실 제공, 박물관 이동버스 등을 활용한다. 학생들 의 눈높이에 맞는 웹기반 사회과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박물관교육은 사 회과교육의 보조수단이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즉 파트너로서의 자리매김이 중요하다.

      • 유아 대상 박물관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서혜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7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8

        본 연구는 국내 박물관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특히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박물관에서의 유아 대상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목표, 내용, 방법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으로 확대되기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기관과 박물관에서의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정규 교육 과정과 박물관과 같은 사회 교육기관에서의 물 관련 교육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유아 대상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되는 3 개의 박물관, ‘서울특별시수도박물관’, ‘서울하수도과학관’, ‘청계천박물관’을 선정하여 각 박물관 홈페이지 조사, 현장방문, 프로그램 관찰 및 프로그램 진행 강사와의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으며 하인(Hein)의 학습 유형을 이용하여 3개의 박물관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 대상 박물관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유아대상 박물관 환경교육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approach, goals, contents, methods, and limitations of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in Korean museums to identify sustainable outreach programs. It examines and analyzes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particularly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between formal education programs in preschools or kindergartens and social education programs like those in museums. Second, three museum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terworks Museum , the Seoul Sewerage Science Museum , and the Cheong Gye Cheon Museum , were selected for the study because they offered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on a regular basis. The comparison was based on Hein s museum learning theory via websites, site visits, program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program lecturers. Through th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museum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ere drawn.

      • 영국 빅토리아 알버트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이기원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09 박물관교육연구 Vol.- No.3

        V&A 박물관 교육의 영역은 다양하고 넓다. 폭넓은 대상을 겨냥한 박물관 교육 프 로그램, 상설전의 핸즈온 체험 프로그램 및 전시 설명문 작성․전시 평가, 관람객 조 사, 디지털 디자인 교육, e-learning, 장애인들・이주민・LGBTQ(레즈비언・게이・양성 애자・성전환자・동성애자)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직원들을 위한 장애인 포 럼, 젊은 예술가 발굴 레지던스 프로그램, 런던시내 국립박물관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대학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대학원 과정 등 광범위한 내용을 다 루고 있다. V&A의 독자적인 교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립박물관이 함께 공동으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시너지 효과를 높이며,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누구나 함께 향유하는 공간으로, 사회적인 통합을 이룬다는 목적을 두고 있어 의미가 크다. 또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은 교육부, 연구과, 마케팅과에서 전략적으로 분 리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청소년, 가족, 장애인, 동성애자를, 마케팅과에 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비싼 참가비를 내는 교육, 연구과에서는 왕립예술대학과 함께 디자인역사․보존 과목의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과 예술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박물관 명성에 어울리는 특성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V&A에서는 대상별로 프로그램을 달리하여 디자인과 패 션 등 예술 분야의 교육 운영으로 청소년들이 예술적인 재능의 개발하고 향후에 전공 까지 할 수 있도록 박물관에서 도와준다. 제도교육에서 할 수 없는 전문분야를 박물관 에서 책임지는 교육공간으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 博物館 敎育에 대한 問題提起와 이를 위한 試論

        김종대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07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

        박물관 교육은 본질적으로 박물관의 정체성과 일치된 모습을 가져야만 한다. 박물 관이 학교교육과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지역문화를 토대로 한 지역 박물관들의 활성 적인 활동과 향토학을 근거로 삼은 교육적 요소 개발 등을 통한 학교교육과 박물관의 상호 공존 방식이 바람직하다. 박물관에는 박물관의 정체성을 강화시켜주거나, 시민사회에서 시민들이 요청하는 박물관 교육의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즉 박물관 특성에 맞는 전문지식을 갖춘 전 문인력이 필요하며, 이들 에듀케이터는 교육할 분야를 전공한 전문가와 밀접한 교류 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박물관 교육을 받고자 하는 대상은 계층이나 연령의 구분이 없는 모든 국민 이어야 하며, 이들을 교육시키는 것이야말로 박물관의 기능으로서 올바르게 수행하는 것이다.

      • 다문화시대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 - 참여와 소통, 변화를 위한 박물관교육 -

        이은미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1 박물관교육연구 Vol.- No.6

        이 논문에서는 국립민속박물관 다문화꾸러미 사업을 중심으로 다문화시대 박물관의 역할에 관해 살펴보았다. 다문화꾸러미는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사회의 갈등 을 문화정책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프로젝트이자, 그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문화다양 성을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사회의 변화를 자각하여 박물관의 활동으로 연결한 ‘다문화꾸러미’의 진행 과정은 ‘소통과 참여’로 요 약할 수 있다. 다문화꾸러미 사업을 진행하면서 부각된 박물관교육의 변화는 박물관의 미래지향적 모습에 다음과 같은 변화를 시사하고 있다. 첫째, 박물관은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기 관이라는 자각을 분명히 해야 한다. 둘째, 박물관에서의 다문화교육은 지식의 일방통 행식 전달교육에서 벗어나 쌍방향 소통의 상호문화교육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참여와 소통에 기반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유연하게 운영되는 ‘리좀형’ 박물관의 모습으 로의 변화가 요청된다. 넷째, 미래지향적 박물관은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공생하는 인 간 즉 호모 심비우스를 길러내는 공감의 체험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한국 박물관에서의 포용(inclusion)의 의미

        국성하(Kook, SungHa)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20 박물관교육연구 Vol.- No.24

        우리나라에서 박물관교육은 포용성 확대의 방법으로 기능했다. 누구를 교육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포용), 누가 교육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나(배제)의 관점에서 교육을 실행하기 시작한다. 소외계층교육, 다문화교육 등이 박물관·미술관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이는 우리나라의 포용성 또는 다문화성의 시초가 된다. 또한 법적, 제도적, 정책적 장치들에서 그 방법이 나타나 있다. 국내에서는 「문화기본법」,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등을 제정·시행하였고,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 계획」, 「박물관·미술관 진흥 중장기 계획」 등을 성안했으며, 「무지개다리 사업」 등 다양한 포용적 사업이 운영되었다. 박물관교육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박물관교육이 곧 포용으로 생각되었지만, 박물관교육이 보편화되면서는 박물관에서 배제되는 계층이 없는 것이 포용으로 생각되기에 이르렀다. Museum education was a way of increasing inclusion in Korea. Museum educator started museum education from these questions; who should be the education participants(inclusion), who were the left over(exclusion). Education for the neglected classes, multi-cultural education carried out from museums, and these are the bases of museum inclusion or multi-culturalism. The ways of inclusion are in the various laws, institutions, and policies, such as 「Framework Act on Cultur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etc. Before the generalization of museum education one regarded the museum education as inclusion, after the generalization inclusion regarded as no left over in museums.

      • 다문화시대의 외국인을 위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지승현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08 박물관교육연구 Vol.- No.2

        현 시대는 국가 간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있으며 각 지역의 민족과 다양한 문화가 혼재, 융합되면서 끊임없는 변화가 계속되고 있다. 즉 특정한 문화가 강조되기보다는 상호 융합하고 변화하며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내는 다문화시대이다. 2008년 현재 국 내 체류 외국인 인구가 약 100만 명을 넘어 섰으며 이는 한국 전체 인구수의 2%에 해당한다는 점은 우리나라가 이미 다문화 사회에 진입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문화사회로 이행한 한국사회에서 외국인을 위한 박물관의 역할은 중요하리라 여 기며, 제 Ⅱ장에서는 다문화사회에서의 박물관교육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이어서 제 Ⅲ장에서는 박물관 외국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을 대 표하는 국립중앙박물관, 외국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지방 국립박물관, 외국인 관광객 수가 많은 국립민속박물관 및 서울역사박물관을 선정하여 2007년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사․분석하였다. 맺음말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고찰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시대에 대비한 박물관 외국인 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법적 모색을 위해 박물관 교육의 대상인 외국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대상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관계 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의 세 가지 측면에 서 제언하였다.

      • 박물관교육 및 전시 아카이브의 현황과 활용방안

        오선화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7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8

        박물관에서 생성된 아카이브는 빠른 시간동안 급속하게 성장해 온 박물관의 면면과 체제, 나아가 전시와 홍보적 기능까지 포함된 전반적 과정을 다루고 있다. 박물관교육 아카이브는 소장자료를 이용한 교육은 물론, 점차 늘어나고 있는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박물관교육과 어린이전시에서 생성된 아카이브자료는 그 규모가 더욱 커지고 활용가치가 높아질 것을 인지하고 체계적 단계를 밟아나가고 있는 과정 중에 있다. 본고의 목적은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사례로 아카이브구축 현황을 통해 기존 박물관 아카이빙의 개념과 비교한 박물관교육아카이브와, 어린이전시에서 생성된 아카이브의 현주소를 알아본다. 나아가 앞으로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운영하는 민속아카이브가 박물관교육의 자료까지 더해졌을 때, 박물관자원의 허브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아카이브자료를 활용함에 있어서 교육과 전시 아카이브가 수집된 현황과, 정확한 자료기록을 위해 아날로그자료로를 수집하고 정리했던 사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현재 수집․보관하고 있는 박물관교육과 어린이전시 아카이브는 앞으로 어떤 영역에서 교육적가치를 형성할 수 있을지를 사례를 들어 제시하였다. 박물관 교육 분야에서 수집하는 자료들의 주요 목적은 크게 ‘교육기록체계의 보존(long-term preservation)’과 ‘관리체제의 간결함’, 그리고 ‘지속적 활용을 통한 가치의 확산(enduring/ongoing values)’으로 종합해볼 수 있다. 아카이브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먼저 생각해 볼 것은 여러 자료 중 무엇을 아카이빙 해야 할지에 대한 우선순위와 정립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 아카이브자료의 지속적 축적이다. 현재 이관하고 있는 박물관교육 자료목록을 살펴보면 교육현장을 담은 디지털이미지가 대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에 생성된 자료는 부서 내에서 자체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다양한 활동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박물관교육 아카이브정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소장품․교육․전시간의 활용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어야 한다. 박물관교육 아카이브의 잠재된 활용가치를 인식하고, 지속적 가치 확산이 고려된 자료를 생성해 간다면 박물관은 교육장소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교육․문화 플랫폼으로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rchives created at museums encompass the overall processes including each and every aspect and systems, exhibitions, and the public relations function of museums which have made drastic growth in a short span of time. When it comes to the museum education archives, the troubles regarding the education using the collections and collecting and using the ever-increasing data are getting bigger. Therefore, the archive data formed at the children exhibitions by the museum education department are in the process of taking systematic stages after perceiving that the scale of use will become bigger over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s of the museum education archives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existing museum archiving and the archives created at children exhibitions through the current conditions of archive establishment based on the Children s Museum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Moreover, this study will discuss the roles of the Center of Folklore Activities run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s the hub of the museum resources when the data of museum education have been added. For the current status of the collection of museum education archives and exhibition archives and an accurate data record when it came to using the archive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cases which collected and organized analogue data.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in which domain the children exhibition by the museum education department archive, collecting and storing data, can form educational values by providing cases. The main objectives of the data being collected in the field of museum education can be summarized into long-term preservation, conciseness of management system , and enduring and ongoing values . The things to prioritize when it comes to pushing the usefulness of archives toward a positive direction are seeking the priority and the establishment methods regarding what to archive among a number of data and constantly accumulating archive data. When referring to the list of the museum education data which are being transferred, they are mostly consisted of the digital images containing education sites and other data are being used independently within respective departments. In order to secure various uses of digital archives, the museum education archive information should be recorded systematically and the use in collections, education, and exhibitions should be managed comprehensively. When the potential value of use of the museum education archives is recognized and the data that took into account continuous value expansion are accumulated, museums can not only play the role of the site of education but also improve professionalism as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platform.

      • 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 사례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성하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0 박물관교육연구 Vol.- No.5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들이 잘 자라날 수 있도록 ‘어린이’를 위한 체험 공간을 운영한다. 그래서 어린이박물관에서의 체험은 단순히 물건을 만들고 몸 을 움직이는 체험이 아니라 어린이박물관에 전시된 유물과 자료를 기반으로 한 체험 을 의미한다. 국립민속박물관도 이러한 생각에서 1988년 이후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을 운영해 왔으며, 2003년에는 어린이박물관을 설치하여 어린이를 위한 전문적인 프 로그램을 확대하였고, 2010년 현재에는 어린이박물관과에서 어린이를 위한 특화된 교육들을 운영하고 있다. 2010년의 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은 그 계획과 실행이 2009년부터 세밀하게 구상되어 2010년 현재 진행되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 별 기본적인 영역을 설정하고, 큰 주제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직하고, 그 세부교육을 만 들고 진행하는 것 전체가 조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