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7.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의 지질성분 비교

        최진호,임채환,배태진,변대석,윤태헌,CHOI Jin-Ho,RHIM Chae-Hwan,BAE Tae-Jin,BYUN Dae-Seok,YOON Tai-Heon 한국수산과학회 198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8 No.5

        양식 뱀장어의 품질을 지질성분면에서 평가하기위하여 천연 및 양식 뱀장어의 지질 조성 및 이들 지질의 구성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하였고, 붕장어의 지질성분과도 비교하였다. 또 양식 뱀장어의 지방산과 사료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지질 함량은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 보다는 약간 높은 반면 붕장어 보다 약 2배 정도 높았다. 부위별 지질 함량은 뱀장어는 가식부($27.16{\sim}29.70\%$)가 내장부($5.10{\wim}5.86\%$)보다 훨씬 높았으나 붕장어는 거의 비슷하였다. 2.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의 지질 조성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즉 중성지질이 가장 많고,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또 부위별 지질 조성은 중성지질은 가식부가 내장부보다. 많은 반면 인지질과 당지질은 내장부가 가식부보다 많았다. 또 중성지질은 TG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인지질은 PC와 PE가 가장 많았다. 3. 식용으로 이용되는 가식부의 중성지질은 $C_{14:0},\;C_{16:0},\;C_{18:1}$산은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보다 높은 반면 $C_{16:1},\;C_{18:2},\;C_{18:3},\;C_{20:4},\;C_{20:5},\;C_{22:5},\;C_{22:6}$ 산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았다. 붕장어의 경우는 $C_{18:0},\;C_{20:4},\;C_{22:6}$산이 천연 및 양식 뱀장어에 비해 훨씬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또 인지질의 경우는 $C_{18:0},\;C_{18:2}$산이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보다 높은 반면 $C_{16:0},\;C_{16:1},\;C_{18:1},\;C_{18:3},\;C_{20:4},\;C_{20:5},\;C_{22:5},\;C_{22:6}$산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았다. 4. 중성지질의 불포화도(TUFA/TSFA)는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 사이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인지질의 경우는 천연 뱀장어가 양식 뱀장어 및붕장어 보다 높았다. 가식부의 필수지방산 함량은 중성지질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3배이상 높았으며, 또 붕장어는 뱀장어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에는 필수지방산 함량에 큰 차이가 없었다. 5. 가식부의 W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중성지질은 천연 뱀장어가 양식 뱀장어 및 붕장어보다 $2.0{\sim}2.5$배 정도 높았으며 인지질의 경우도 천연 뱀장어가 양식뱀장어 및 붕장어보다 훨씬 높았다. 6. 사료 지방산(B)에 대한 양식 뱀장어의 지방산 (A)의 비(A/B)를 비교하여 보면 linoleic acid ($C_{18:2}\;w6$), linolenic acid ($C_{18:3}\;w3$) 등의 필수지방산과 eicosapentaenoic acid ($C_{20:5}\;w3$), docosahexaenoic acid ($C_{22:6}\;w3$)등의 w3 고도불포화지방산의 A/B비가 $0.23{\sim}0.48$로 아주 낮아, 이들 불포화지방산의 polyene 산의 생합성 및 체성장에 크게 관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lipid components among wild and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and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The lipid components of cultured eel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wild and conger eel. In the content of total lipid, the lipid content in cultured eel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wild one, but 2 times higher than that in conger eel. The lipid contents in edible portion of wild and cultured eel were 5 times higher than those in viscera, but the lipid content in edible portion of conger eel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in viscera.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lipid in edible portion, percentages of $C_{14:0},\;C_{16:0}\;and\;C_{18:1}$ in cultured eel were higher than those in wild one, while percentages of $C_{16:1},\;C_{18:2},\;C_{18:3},\;C_{20:4},\;C_{20:5},\;C_{22:5}\;and\;C_{22:6}$ lower, and percentages of $C_{18:0},\;C_{20:4}\;and\;C_{22:6}$ in conger eel were noticeably higher than those in wild and cultured eels. In the case of phospholipid in edible portion, percentages of $C_{18:0}\;and\;C_{18:2}$ in cultured eel were higher than those in wild one, while percentages of $C_{16:0},\;C_{16:1},\;C_{18:1},\;C_{18:3},\;C_{20:4},\;C_{20:5},\;C_{22:5}\;and\;C_{22:6}$ lower. The unsaturation (TUFA/TSFA) of neutral lipi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wild and cultured eel, and conger eel, but that of phospholipid in wild eel was higher than that in cultured eel and conger eel. The essential fatty acid content(TEFA) of neutral lipid in edible portion of wild eel was 3 times higher than that of cultured one. but the TEFA of phospholipid in edible por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wild and cultured eels, and conger eel. The w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3 HUFA) of neutral lipid in edible portion of wild eel was 2.0 to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cultured eel and conger eel, but the w3 HUFA of phospholipid in edible portion of wild eel was noticeably higher than that of cultured eel and conger eel. In the ratio (A/B) of fatty acid content (A) in cultured eel to that (B) in diet, the A/B ratios of $C_{18:2}\;w6,\;C_{18:3}\;w3,\;C_{20:5}\;w3\;and\;C_{22:6}\;w3$ were 0.23 to 0.48 much lower than the other fatty acid.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the ratios of w3 HUFA is related to the biosynthesis of polyenoic acid and growth rate of cultured eel.

      • KCI등재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8. 천연 및 양식 잉어와 이스라엘 잉어의 지질성분 비교

        최진호,임채환,배태진,윤태헌,이강호,CHOI Jin-Ho,RHIM Chae-Hwan,BAE Tae-Jin,YOON Tai-Heon,LEE Kang-Ho 한국수산과학회 198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8 No.5

        양식 잉어의 품질을 지질성분면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천연 및 양식 잉어의 지질 조성 및 이들 지질의 구성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하였고, 이스라엘 잉어의 지질성분과도 비교하였다. 또 양식 잉어 및 이스라엘 잉어의 지방산과 사료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지질 함량은 양식 잉어가 천연 잉어보다는 약간 낮은 반면 이스라엘 잉어와는 거의 비슷하였다. 부위별로는 천연 및 양식 잉어는 내장부가 가식부보다 총지질이 2배 이상 높았으나, 이스라엘 잉어는 가식부와 내장부가 거의 비슷하였다. 2. 천연 및 양식 잉어와 이스라엘 잉어의 지질 조성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즉 중성지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당지질과 인지질은 아주 적었다. 또 부위별 지질 조성을 비교해 보면 중성지질의 함량은 천연 잉어의 경우는 내장부가 가식부보다 많은 반면 양식 잉어와 이스라엘 잉어는 그 반대였다. 가식부의 당지질과 인지질 함량은 양식 잉어의 경우는 당지질이 인지질보다 많은 반면 이스라엘 잉어는 인지질이 당지질보다 많았다. 또 중성지질은 TG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인지질은 PC와 PE가 가장 많았다. 3. 가식부의 중성지질의 중요 구성지방산 함량은 $C_{18:1},\;C_{18:2},\;C_{18:3},\;C_{22:5},\;C_{22:6}$산은 양식 잉어가 천연 잉어보다 높은 반면, $C_{16:0},\;C_{18:0},\;C_{16:1},\;C_{20:4},\;C_{20:5}$산은 천연 잉어가 양식 잉어보다 높았다. 이스라엘잉어의 경우에는 $C_{18:2}$산의 함량이 천연 및 양식 잉어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인지질의 경우는 $C_{18:0},\;C_{18:1},\;C_{18:2},\;C_{18:3},\;_C{22:6}$산은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많은 반면 $C_{16:0},\;C_{16:1},\;C_{20:4},\;C_{20:5},\;C_{22:5}$산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았다. 4. 중성지질의 불포화도(TUFA/TSFA)는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약간 높았으며, 또 이스라엘 잉어는 양식 잉어보다도 약간 더 높았다. 인지질의 경우도 이스라엘 잉어>양식 잉어>천연 잉어의 순이었다. 필수지방산 함량(TEFA)은 중성지질의 경우 가식부는 양식 잉어가 천연 잉어보다 높은 반면 내장부는 천연 잉어가 양식 잉어보다 높았다. 인지질의 경우는 가식부에서 이스라엘 잉어가 천연 및 양식 잉어보다 약간 더 높고, 또 천연 잉어가 양식 잉어보다 높았다. 5. w3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 (w3 HUFA)은 중성지질의 경우는 필수지방산 함량의 경향과 거의 비슷하였고 인지질의 경우는 이스라엘 잉어가 가장 높고, 양식 잉어, 천연 잉어의 순이었다. 6. 사료 지방산(C)에 대한 양식 잉어의 지방산(A)의 비(A/C) 및 이스라엘 잉어의 지방산(B)의 비(B/C)를 비교하여 보면 양식 잉어는 $C_{20:5}\;w3(0.12),\;C_{22:5}\;w6(0.53),\;C_{22:5}\;w3(0.68),\;C_{22:6}\;w3(0.26)$산이 아주 낮았고, 이스라엘 잉어는 $C_{18:3}\;w3(0.61),\;C_{20:5}\;w3(0.11),\;C_{22:4}\;w6(0.16),\;C_{22:5}\;w6(0.07),\;C_{22:6}\;w3(1.53)$산이 아주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주로 이들 w3고도불포화지방산들이 polyene산의 생합성 및 성장률에 깊이 관계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As a part of serial study for comparing lipid components in freshwater fishes, this work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lipid components among wild and cultured carp, Cyprinus carpio, and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nudus. The lipid components of cultured carp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wild and Israeli carp. In the content of total lipid, the lipid content in cultured carp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in wild one, but similar to that in Israeli carp. The lipid contents in viscera of wild and cultured carp were 2 times higher than those in edible portion, but the lipid content in viscera of Israeli carp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in edible portion.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lipid in edible portion, percentages of $C_{18:1},\;C_{18:2},\;C_{18:3},\;C_{22:5}\;and\;C_{22:6}$ in cultured carp wire higher than those in wild one, while percentages of $C_{16:0},\;C_{18:0},\;C_{16:1},\;C_{20:4}\;and\;C_{20:5}$ lower, and percentage of $C_{18:2}$ in Israeli carp was noticeably higher than that in wild and cultured carp. In the case of phospholipid in edible portion, percentages of $C_{18:0},\;C_{18:1},\;C_{18:2},\;C_{18:3}\;and\;_C{22:6}$ in cultured carp were higher than those in wild one, while percentages of $C_{16:0},\;C_{16:1},\;C_{20:4},\;C_{20:5}\;and\;C_{22:5}$ lower. The unsaturation (TUFA/TSFA) of neutral lipid in cultured carp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wild one, but slightly lower than that in Israeli carp. In the case of phospholipid, the unsaturation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of neutral lipid. The essential fatty acid content(TEFA) of neutral lipid in edible portion of cultured carp was higher than that of wild one, but that in viscera lower. In the case of phospholipid in edible portion, the essential fatty acid content in Israeli carp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wild and cultured carp, and that in wild one was higher than that in cultured one. The w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w3 HUFA) of neutral lipid almost showed a similar trend to the essential fatty acid contents in wild and cultured carp, and Israeli carp. In the case of phospholipid, the w3 HUFA in Israeli carp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cultured and wild carp. In the ratio (A/C) of fatty acid content(A) in cultured carp to that(C) in diet, the A/C ratios of $C_{20:5}\;w3(0.12),\;C_{22:5}\;w6(0.53),\;C_{22:5}\;w3(0.68)\;and\;C_{22:6}\;w3(0.26)$ were much lower and in the ratio (B/C) of fatty acid content (B) in Israeli carp, the B/C ratios of $C_{18:3}\;w3(0.61),\;C_{20:5}\;w3(0.11),\;C_{22:4}\;w6(0.16),\;C_{22:5}\;w6(0.07)\;and\;C_{22:6}\;w3(0.79)$ were also lower than the other fatty acid.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the ratios of w3 HUFA is related to the biosynthesis of polyenoic acid and growth rates of cultured and Israeli carp.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