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 4박사의 여정과 성패의 해석―헨리 반 다이크, The Story of The Other Wise Man의 각색 희곡을 중심으로

        윤진현 한국극예술학회 2023 한국극예술연구 Vol.- No.80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목사 헨리 반 다이크(Henry van Dyke, 1852-1933)의 작품 The Story of The Other Wise Man을 이를 번역한 밀의두(E.H.Miller)와 김동극(金東極) 공술의 『제사박사』와 함께 이를 희곡으로 각색·번안한 한석원의 <아르다반의 여행>(『청년』, 1922.12.), 방인근의 <다른 박사>(『기독신보』, 1929.11.27.-12.4.)와 강승한의 <불멸의 미소>(『기독신보』, 1934.11.21.-12.19.)를 살펴보았다. 한석원, 방인근, 강승한은 모두 본격적인 의미의 주류 극작가는 아니지만 1920년대 이래로 희곡과 연극을 서구 작품의 번역과 번안과정, 자연주의적인 표현 형식에서 고양되는 민족해방의 투쟁의지에 접속된 작가들이었다. 한석원의 <아르다반의 여행>은 픽션에 불과한 ‘네 번째 동방박사’라는 상상이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수용될 것인가에 주의하고 있으며 방인근의 <다른 박사>는 주인공 알타반의 선택과정이 좀더 현실적인 설득력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강승한은 불과 16세의 나이로 해당 작품을 각색하였으며 교회 및 당대 사회를 향해 원작에 대한 확신에 찬 해석을 기반으로 열정적인 웅변의 장으로 삼고 있다. 이는 독립과 해방이란 목표가 지연되는 중에도 당장의 가시적 실패 너머에서 성공을 설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E.H.Miller and Kim Dong-geuk, who translated Henry van Dyke's (1852-1933) work The Story of The Other Wise Man Along with Han Seokwon's Artaban's Journey(『Cheongyeon』, 1922.12), which was adapted and adapted into a play, Bang Ingeun's The Other Wise Man(『Gidogsinbo』, 1929.11.27.-12.4.) and Kang Seunghan's I looked at Immortal Smile(『Gidogsinbo』, 1934.11.21.-12.19.). Han Seokwon, Bang Ingeun and Kang Seunghan are not all mainstream playwrights in the full sense. However, these were writers who, since the 1920s, were connected to the will to struggle for national liberation that was heighten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Western works and naturalistic forms of expression. Han Seokwon's Artaban's Journey pays attention to how the fantasy of the 'Fourth Magi', which is nothing more than fiction, will be accepted as a Christian, and Bang Ingeun's The Other Wise Man tries to make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 Altavan more realistic and persuasive. It is being composed. Kang Seunghan adapted the work at the age of only 16, and is using it as a venue for passionate eloquence based on his confident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work toward the church and contemporary society. This can be said to be persuading success beyond immediate visible failure even while the goals of independence and liberation are being delayed.

      • KCI등재

        박은희 연출 작품에 나타난 굿의 형태와 그 의미-<불>과 <오장군의 발톱>을 중심으로-

        윤진현 한국극예술학회 2003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17

        Exorcism' Form and Meaning in Park Eun-Hee's Presentations-focusing on <Fire> and <A toenail of Oh Jang-Goon>Youn, Jin-he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를 보는 이중의 시선 - 함세덕 <발리섬기행, バーリ島紀行> 연구 -

        윤진현 한국극예술학회 2012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5

        Ham Seduck had continuously modified his published plays in accordance with situation changes in the era, performing process, his own internal desire etc. Chuchang Isabella was published in 「National literature」 in March 1942, which was performed at the “Sungbo music theater(성보악극대)”, yet, its edition version hasn't been known. Chuchang Isabella had been modified and published at 「National literature」 in May of 1945 as a Japanese drama play, balidokihang<バーリ島紀行>. In addition, even the advertisement was printed at the same magazine mentioning that this play would be performed as a foundation performance of the theater company “Hope constellation”. The foundation performance of the theater company “Hope constellation(희망좌)” was Evergreen island which had been staged for 7 days starting from Aug, 6th to 12th according to the ads in 「Mail Newspaper」. At the advertisement, it was written that it was published at 「National literature」 so it could be deduced that Sangrokdo was a modified version of balidokihang. Chuchang Isabella which was published in March 1942 at 「National literature」, ended when the Japanese troops' begun landing. But balidokihang which was written in 1945 when Japan had full control over all Indonesia, Japanese Military were presented directly as relief troops so that it expressively promoted the grandeur and role of the Japanese militar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of the colonization, who can't easily agree with Japanese, the Salvation Army and dominant Japanese colonial power was exposed directly in this work. Extreme exploitation of the colonies, brutal violence against the colonial civilians were symbolized directly on the stage, and it fully shows life-or-death's resistance and conflicts. At that time, the ability of Korean audiences' decoding Japanese was negligible. If so, it ha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it was roughly understood by the dramatic situation and action rather than the exact dramatic understanding. Even if it was not so, watching Balinese was unjustly being deprived, tortured and killed in the drama closely reminding the colonial reality itself in Korea. In addition, actors' bodies featuring as Balinese were very beautiful and gorgeous who also were performing lots of folk music and traditional dances. Beautiful figures of colonial people and their tradition also reminding us of Chosun's cultures and tradition. 함세덕은 발표한 희곡을 시대상황의 변화, 공연과정, 작가 자신의 내적 요구 등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정ㆍ개작하였다. 1942년 3월 「국민문학」에 발표된 <추장 이사베라> 또한 1944년 8월 성보악극대에서 공연되었으나 그 개작본은 알려진 바 없었다. <추장 이사베라>의 개작본은 1945년 5월 「국민문학」에 일본어 희곡 <バーリ島紀行(발리섬기행)>이다. 그리고 수록분 안에는 극단 희망좌의 창립공연으로 이 작품이 공연된다는 광고가 실려 있다. 극단 희망좌의 창립공연은 「매일신보」의 광고에 의하면 8월 6일부터 12일까지 7일간 상연된 <상록도>이다. 광고에 「국민문학」 소재 작품이라 부기되어 있어 <상록도>가 곧 <발리섬기행>의 개제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942년 3월 「국민문학」에 발표된 <추장 이사베라>는 일본군의 발리 상륙이 시작된 순간 끝난 데 비해 1945년 인도네시아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던 시기에 씌어지고 발표된 <발리섬기행>은 일본군이 구원군으로 등장하여 일본군의 위용과 역할을 가시적으로 선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는 구원자 일본군에 쉽게 동의하기 어려운 피압박식민지민과 지배식민권력의 관계가 노출되어 있다. 식민지에 대한 극단적인 수탈, 식민지민에 대한 가혹한 폭력행위를 무대 위에서 직접 형상화하고 이에 저항하는 식민지민의 목숨을 건 투쟁과 갈등을 전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당시 조선인 관객의 일본어 해득수준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렇다면 대사에 의해 정확한 극적 이해에 이르렀다기보다는 개략적인 극적 상황과 액션으로 접수되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고 이 경우, 극중 발리인이 부당한 약탈을 당하고 고문을 당하고 피살되는 것을 보면서 가까이 연상되는 것은 식민지 조선의 현실 그 자체이다. 또한 다량의 토속음악과 전통춤 등을 선보이는 발리인으로 분장한 배우의 몸은 대단히 아름답고 화려하다. 아름다운 식민지민의 몸과 그들의 전통이 환기하는바 또한 조선의 문화와 전통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식민지의 풍경, 신화적 공간의 해체와 현실적 생존법의 모색 - 『조선중앙일보』판 유치진 <버드나무 선 동리의 풍경>을 중심으로 -

        윤진현 한국극예술학회 2016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2

        The Landscape of the Willow Village, Part 2, of 'Rural Trilogy', Yoo Chijin's play was published in the Chosun Choong-Ang Ilbo from November 1, 1933 to November 15, 1993 and performed from November 28, 1933 to November 30, 1933. After then, it was neither performed nor included in any collection again, and was merely included in 'Yoo Chijin’s Collected Works' published by Sungmoongak in 1971. Therefor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work have been performed based on the Sungmoongak version, rather than the Chosun Choong-Ang Ilbo version that is difficult to obtain. But the original of the Chosun Choong-Ang Ilbo version differs from the adaption of the Sungmoongak version in quantity (the difference is more than double), event organization, and characterization (in terms of main characters) -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event organization and characterization.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look separately at the original created before the adaption was created. Hence this study went over the facts and meaning of the original, focusing on the original created by the Chosun Choong-Ang Ilbo. The work stands out as having pictorial composition, as the word 'landscape' in the title suggests, but produces a weak dramatic effect, in short, development and resolution of conflicts. But as for such composition, conversation topics are linked like a chain and dramatic coherence is redeemed. In addition, the home-leaving of Gyesun and the disappearance of Deokjo (this event subordinate to the event 'the home leaving of Gyesun') are an axis and the opposite lifestyles of Haksam and Seongchil conflict, which provides a centripetal force to the weak conflicts in the middle of the play. These two characters show two possibilities for surviving in the brutal colonial reality. The possibilities epitomize the changed society and Yoo Chijin`s cogitation around when the complete works were compiled from all the parts excluded from the adaption. as for the work, Hwang Tosu (Hwang Suljo) was in charge of the mise en scene of the performances; and when published serially, sketches of the stage and relevant illustrations were contained. Hwang To-su was a member of Mokilhoe (an art organization establish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closely banded together and interacted with Guinhoe (9 members of literary meeting persuited modemism) in terms of culture. Based on these facts, it is possible to confer the status of the work, that is a clue to an understanding of the broad solidarity and interaction in the cultural circle in the entire 1930s; and it can also be confirmed that Yoo Chijin was one of the members of Guinhoe, apart from his activeness. 유치진의 희곡 ‘농촌3부작’의 제 2편 <버드나무 선 동리의 풍경>은 1933년 11월 1일부터 15일까지 『조선중앙일보』에 게재되고 같은 해 11월 28일부터 30일까지 공연되었다. 이후 다시 공연되거나 작품집에 수록되지 않고 1971년 성문각에서 발간된 『유치진희곡전집』에 수록되었을 뿐이어서 그간 대부분 연구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조선중앙일보』판보다 성문각판에 기반하여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조선중앙일보』판의 원작은 성문각판 개작에 대비하여 2배 이상 분량의 차이가 있으며 사건과 주요인물의 구성이 상당히 다르다. 개작 이전의 원작을 별도로 살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중앙일보』의 원작을 중심으로 원작의 실상과 의미를 짚어보았다. 우선 ‘버드나무 선 동리’는 조선을 함축하는 신화적 공간이며 계순의 이향, 덕조의 실종이 종적인 사건으로 축을 이루면서 기억장치로서 연극의 제의적 속성이 발휘되고 있다. 현실적으로 학삼과 성칠의 상반된 생활방식이 충돌하며 극 중반의 중심을 이루니 학삼과 성칠, 두 인물은 엄혹한 식민지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한 두 가지 생존법을 보여준다. 이는 개작에서 모두 삭제된 부분으로 전집을 편찬할 무렵, 변화한 사회와 유치진의 사유를 집약하고 있다. 또한 <버드나무 선 동리의 풍경>은 당시 공연에서 무대장치를 황토수(황술조)가 맡았고 연재 시에도 무대 스케치와 관련 삽화가 포함되어 있었다. 황토수는 구인회와 긴밀하게 문화적으로 연대하고 교류하던 목일회 회원이었다. 이를 근거로 1930년대 전반의 문화계의 광범위한 연대와 교류를 이해하는 한 단초로서 이 작품의 위상을 제기할 수 있으며 유치진 또한 활동의 적극성과 별도로 구인회의 한 일원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조선중앙TV <사육신>의 인물 연구

        윤진현 한국극예술학회 201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2

        Drama <Sa'yuk-shin>, produced by Joseon Central TV of North Korea in 2007, and recently aired on KBS, is the first drama ever conceived under the joint effort of South and North Korean broadcast stations, and it also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North Korean history fictions. This drama was based upon Rim Jong Sang's <Sa'yuk-shin>(Originally titled as <Sak'pung>), and portrays the events that began with the birth of king Danjong, then unfolded with the Gye'yu-year purge and the Byeongja-year criminal case. Rim was awarded with the Kim Il Seong prize, the highest honor for literary figures in North Korea. In his novel, he presented Seong Sam Mun as the main character, and highlighted many things, such as his romance with a Gisaeng figure named Jo Jeong Shim, the love affair between his oldest daughter and Shin Suk Ju's son Shin Jeong, and his love for his five-year old youngest daughter. In short, he added a personal touch to the Seong Sam Mun character, and tried to highlight the character's own agony and sacrifice. Based on this novel, drama <Sa'yuk-shin>, scripted by Park In Seo and directed by Jang Yeong Bok, amplifies Rim's intentions, and portrays the Six Martyred Vassals' inner conflicts and pain with great detail. For example, Seong Sam Mun has a bad relationship with the cunning Han Myeong Hwe who also had an inferiority complex, yet such bad relationship takes a worse turn when they both come to share a relationship with Jeong So Yeon, the illegitimate grand daughter of Jeong Mong Ju. This whole situation is a bit exaggerated, yet it is designed to add a human aspect to Seong Sam Mun's 'honorable' decisions. This kind of method is usually employed in portraying protagonists in North Korean literature. Most interesting characters are Jeong So Yeon and her associates. After going through some difficulties she finally becomes a Gisaeng figure. She was the reinvention of the Jo Jeong Shim character in Rim's <Sa'yuk-shin>. Yet she also serves as a catalyst for setting off the triangular relationship among herself, Seong Sam Mun and Han Myeong Hwe. It is a stark departure from the novel version's Seong Sam Mun, as in that version he kept his feelings to himself, in a fashion similar to that of Shilla dynasty's Kim Yu Shin who had to bury his feelings toward a female named Cheon'gwan. Jeong was essentially a low-born character as she was established as the illegitimate grand daughter of Jeong Mong Ju, but her family members on her mother's side are described as components of a tightly knit family, and other characters like Na Gil Seok or Gob-dan'i, and their associates like Ha Cheon Mok or Mu'ih, all serve important roles of supporting the main character Seong Sam Mun with their own loyalty and kindness, while also keeping in touch with the Han Myeong Hwe party. They are not randomly created characters, and in fact were carefully crafted to serve the main theme of <Sa'yuk-shin>. As much as their support and assistance are highlighted, it becomes more possible for the readers to identify the six martyred vassals as honorable governmental officials who had support from the public. 2007년 북한의 조선중앙텔레비전에서 제작하고 KBS에서 방영된 <사육신>은 최초의 남북한 TV 드라마 교류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역사적 의의가 있으며 북한 역사드라마의 사적 관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요한다. 이 작품은 림종상의 <사육신>(원제 <삭풍>)을 원작으로 삼고 있으며 단종탄생에서 계유정난을 거쳐 병자원옥에 이르는 시기를 대상으로 삼고 있다. 박인서․김길중 극본, 장영복 연출의 북한 조선중앙텔레비전의 <사육신>은 림종상의 의도를 계승하여 우선 사육신의 개인적 고뇌와 갈등의 계기를 확대한다. 우선 성삼문의 경우, 교활하고 야비한 한명회의 거듭되는 악행으로 갈등이 증폭되니 그 핵심은 정몽주의 서손녀 정소연과의 삼각관계이다. 이는 다소 과장되어 있기는 하지만 성삼문의 결단의 이면에 단순히 대의뿐만 아니라 감정적인 대립을 배치하여 그 인간적 면모를 강화하고 성격적 개연성을 확대한다. 이 같은 방식은 주로 긍정적인 인물군에 사용된 전략으로서 북한문학에서 인물 형상화에 한 형식을 보여준다. 흥미로운 것은 정소연과 그 주변의 인물들이다. 우여곡절 끝에 결국 기생이 되는 정소연은 림종상 <사육신>의 조정심을 이어받았으면서도 한명회와의 삼각관계로 재구성, 멜로 라인에서 산출되는 극적 긴장의 주역으로 활약한다. 서손녀라는 정소연의 한미한 신분은 가난하지만 인정 깊은 외가 식구 나길석, 곱단이로 이어지고 그들과의 인연에서 확장된 하천목, 무이 등의 기층민중은 한명회 도당을 오가면서 성삼문을 우직한 의리와 인정으로 보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단순히 극적인 풍부함을 위해 창안된 인물이 아니라 <사육신>의 주제의식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들 인물의 지원과 협력을 매개로 기층민중의 지지를 받는 사육신의 형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조정변에 대항하는 사육신의 충의는 논리적 근거를 갖고 있다기보다는 인간적 정리와 맹목적 추종에 가깝다. 수양대군의 집권논리는 부정되지 못하며 따라서 수양대군이란 인물이 지니는 성격적 설득력 또한 상당하다. 이는 왕권 또는 절대권력에 대한 북한사회의 입장을 시사한다. 이 때문에 한명회, 신숙주 등의 반동인물은 태생적으로 규정되며 이렇듯 단순하고 평면적인 인물 형상은 작품에 심각한 한계를 노정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이 작품의 성취를 약화시키는 데 일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