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합이 운동 신경 효율성의 변화와 근력의 증대에 미치는 영향

        강경환 ( Kyung Hwan Kang ),윤준구 ( Joon Koo Y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1 체육과학연구 Vol.12 No.4

        기합은 무도 수련뿐만 아니라 다른 운동 경기 수행시 집중력 향상이나 심리적으로 더 강한, 높은 근력을 발휘할 때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자극이다. 선행연구들은 기합 사용시의 근력 향상을 보고하였지만 기합의 사용이 근력의 증대를 가져오는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도 수련자들을 중심으로 기합을 통한 근력 증대의 요인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 참가한 피험자는 총 16명으로, 각각 8명씩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집단으로 분류된 참가자들은 무도를 최하 3년에서부터 최고 15년까지 수련하였고, 통제 집단은 1년 미만의 경험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합을 사용하였을 경우와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로 나누어, 근력 증대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Hoffmann reflex(H-reflex) 방법으로 가자미근의 운동 뉴우론의 흥분성을 측정하였고, 근력의 변화는 Cybex-II를 사용하여 대퇴사두근의 최대 등척성 수축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합을 사용하였을 때 H-reflex의 변화양을 분석한 결과 두 조건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F(1.14)=5.761, p= .031). 또한 근육의 최대 등척성 수축력에서도 피험자들은 기합을 사용하였을 경우 최대 수축력에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F(1.14)=35.26, p<.01. 본 연구에서는 결과는 기합을 통하여 일시적으로 더 많은 운동 뉴우런을 동원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 들어 난 근력증대가 신경 효율성(neural adaptation)의 변화에 기인 한 것으로 생각된다. It is common that athletics shout during the game when excessive force is needed or used. Although a few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shouting can increase the amount of force generation,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 force generation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uting on motor neuron excitability and force generation to exam the neuronal adaptation after participated in martial arts training. Sixteen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ight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martial arts a minimum of 36 months (7.38 yrs.+4.33 months) while the remaining participants had less than l2 months of participation (.49 yrs.+3.8 months). The Hoffman reflex (H-reflex) in soleus muscle and maximum isometric strength of quadriceps muscles were used to assess motor neuronal excitability and force generation. The data for isometric force and modulation of H-reflex were analyzed through a 2 × 2 (condition × group) repeated measure MANOVA. Results revealed that shouting facilitated motor neuron excitability. Modulation of H-reflex was 26.84% greater when participants shout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outing and not shouting on H-reflex modulation, F (1,14)=5.71, p= .04.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condition and group on isometric muscular strength or motor neuron excit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isometric muscular strength, F (1.14)=35.25, p<0.01. Peak torque with shouting increased 14.72%. The results of this data suggest that shouting facilitates maximum isometric force generation and motor neuron excitability.

      • KCI등재

        Predicting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us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진주연(Joo yeon Jin),윤준구(Joon koo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신체활동의지와 신체활동량을 예측하기 위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유용성을 검증 하는 것이다. 2011년도 가을,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8개 중학교에서 모집된 553명의 중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확장이론의 예측유용도와 (predictive utility: 가설 1) 목표의지와 신체활동 사이에서 실행의지의 매개효과 (medication effect: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이 사용되었다. 참가자의 태도, 사회적규범과 장애효능감은 목표의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했고 (R2=.68, p<.001), 실행의지와 임무효능감은 신체활동의 유의미한 예측요인이었다 (R2=.13, p<.001). 또한, 실행의지는 완벽하게 목표의지와 신체활동의 관계를 매개했다 (β=.12, p<.001). 전체적으로, 확장이론은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신체활동을 예측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자들이 학교체육수업 참여하는 학생들의 신체활동증진을 위한 교수법을 개발할 때 본 확장이론에서 검증된 심리. 사회적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predict physical activity (PA) intentions and behavior of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 total of 553 students from 8 middle schools in Seoul and the suburbs of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fall of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robust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was used to examine the predictive utility of the integrative model (hypothesis 1) and the mediation effect of implementation intention between goal intention and PA (hypothesis 2). Participants’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barrier-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students’ goal intentions (R2=.68, p<.001), and their implementation intentions and task-efficacy were significant PA predictors (R2=.13, p<.001). In addition, implementation intention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intentions and PA (β=.12, p<.001).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egrative model is useful to effectively predict adolescents’ PA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settings.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the psychosocial factors to effectively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promote adolescents’ PA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 Instrument for Physical Educators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진주연(Joo Yeon Jin),윤준구(Joon Koo Yun)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4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범이론적 모델을 바탕으로, 장애 학생들에게 근거에 입각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체육교사의 의 지와 교수법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검증하는 데 있다. 미국 북서부 지역 초.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148명의 체육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범이론적 모델의 세 가지 개념(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 변화과정)을 측정하는 문항들의 판별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문항분석이 사용되었고, 그 이론적 구조는 확인요인분석을 통해 평가되 었다. 범이론적 모델의 핵심개념인 변화의 단계는 일원분산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위의 세 개념들과 비교 되었다. 평가도구의 모든 항목들에 대한 문항판별값과 내적 일치도 값은 우수하거나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고, 합당한 설명량(다중상관자승)과 요인적재치를 보였다. 범이론적 모델의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 변화과정 구조모형은 부분 적인 타당도가 수립되었다. 향후 본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큰 표본을 이용한 교차검증법이 유망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for assessing physical educators’ intentions and teaching behavior to implement evidence-based practi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y participants were 148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recruited from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Northwest regions of the U.S. Item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appropriate discriminate functions for items measuring three TTM constructs (self-efficacy [SE], decisional balance [DB], and processes of change [POC]). Internal structures of the TTM items were examin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responses from stage of change were compared to the three TTM constructs. Separate one-way analyses of variance and multiple analyses of variance on each construct by stage were conducted to assess differences among the stages of change. Item discrimination values for all items were good to very good, except for two negative DB items that were deleted. Internal consistencies of SE, DB, and POC were found to be good to excell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howed reasonable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and factor loading estimates. Three structural models were partially supported by goodness of fit indices. Cross-validation with a large sample size will be desirable to refine this measurement system in the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