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O 33-A3 유형의 대퇴골 원위부 골절에서 2.4 mm 수부 골접합용 금속판을 이용한 정복 및 내고정술의 용이성 - 수술 술기 -

        이봉주 ( Bong-ju Lee ),윤자영 ( Ja-yeong Yoon ),우승하 ( Seungha Woo ) 대한골절학회 2023 대한골절학회지 Vol.36 No.1

        AO 33-A3 유형의 대퇴골 원위부 횡형 및 분쇄 골절(metaphyseal transverse and comminuted fracture)은 골편 및 골절 부위 정복 후 유지가 힘들고 이에 반복되는 정복 소실에 따른 수술시간이 길어지고 출혈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저자들은 2.4 mm HPS의 offset grid plate (OsteoMed)를 이용하여 정복을 보다 쉽게 유지하고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골유합을 정상적으로 얻어낸 증례가 있어 보고하고자 한다. 정복후 유지를 위한 K-wire, 나사못 등을 시도하지 않아도 되며 대퇴골 외측부에 금속판 및 나사못 고정을 마칠 때까지 유지가 잘되어 비교적 쉽게 수술을 마칠 수 있었다. 수부 골접합용 금속판은 피질골의 만곡이나 형태와 잘 맞아서 별도 조작이 필요가 없으며 특정 형태의 대퇴골 원위부 골절에 있어서 정복 후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하기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Open reduction in an AO 33-A3 class distal femur transverse and comminuted fracture is often difficult due to frequent reduction loss during surgery, leading to longer operative time and increased blood loss intra-oper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s report a case in which the use of an offset grid plate (OsteoMed, USA) using 2.4 mm HPS (hand plating system) eased the process of fracture reduction and achieved a stable internal fixation, ultimately leading to successful osteosynthesis. The authors experienced no need for temporary fixation devices such as K-wires or screws, which are otherwise required to stabilize the reduction. The fracture reduction was stable throughout the primary fixation of the fracture using a locking plate and screws. The authors report that the advantage of the HPS plate is fitting into the cortical contour and providing stable maintenance of fracture reduction intra-operation, which would be beneficial in certain distal femoral fracture patterns.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재발성 혈관절증의 치료를 위해 시행한 혈관조영술 및 하외슬동맥색전술

        전재균(Je-Gyun Chon),강종원(Jong-Won Kang),윤자영(Ja-Yeong Yoon),정의탁(Uitak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2

        재발성 혈관절증은 인공 슬관절 치환술의 합병증 중 상당히 드문 합병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공 슬관절 치환술 시행 후 발생한 혈관절증이 수차례 재발하여 관절경 수술을 받았음에도 증상이 지속된 환자를 동맥색전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Recurrent spontaneous hemarthrosis is a relatively rare complication of total knee arthroplasty.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a patient treated with arterial embolization for recurrent spontaneous hemarthrosis even after undergoing arthroscopic surgery. The patient had several relapse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KCI등재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

        김철우(Cheol-U Kim),이철형(Chul-Hyung Lee),윤자영(Ja-Yeong Yoon),이승구(Seung-Koo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6

        목적: 본 연구는 상지 수술에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 및 합병증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총 103건에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초음파 및 프로브는 Siemens Acuson X300의 VF13-5 transducer를 사용했다. 수술 부위가 차단한 신경의 해부학적 감각 분포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대상에 포함하였으며, 다발성 손상으로 2시간 이상의 수술 시간이 예상되는 경우와 상완부의 수술은 제외했다. 술기는 lidocaine HCl 2% 20 ml, ropivacaine 0.75% 20 ml, 0.9% normal saline 10 ml로 조성된 50 ml의 혼합액으로, 2명의 정형외과 의사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술기의 성공률(수술 시 마취 유도 상태 여부), 마취 유도 시간(천자침 제거 후 근력과 감각이 모두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 가능한 상지 수술 범위, 수술 후 무통 지속 시간(완전 마취 유도와 수술 후 수술 부위 통증 발생까지의 시간)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술기를 시행한 2명의 의사 간 결과값의 차이는 없었다.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에 소요된 needling time은 평균 5.5분(2.5-13.2분), 완전 마취 유도에 걸린 시간은 평균 18.4분(5-40분)이었으며 103명의 환자 중 100명에서 마취가 성공하여 97.1%의 성공률을 보였다. 무통 지속 시간은 평균 402.8분(141-540분)이었다. 마취 후 1예에서 어지러움, 4예에서 구역, 구토 증상을 보였고, 2예에서 입 주변이 얼얼한 증상을 보였으나 7예 모두 당일 완전히 호전되었으며, 총 103예 중 3예에서는 마취 실패로 수술실에서 2예에서 국소 마취제를 추가 투여하였고, 1예에서 전신 마취로 전환하여 수술을 하였다(3예/103예, 2.9%). 결론: 일부 주관절을 포함한 상지 수술에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은 빠르고 쉽게 마취를 가능하게 하여 수술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높은 마취 성공률을 얻을 수 있게 하고 용량 선택적 마취가 가능하게 하는 안전한 술기로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to May 2017,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was performed on a total of 103 cases of surgery. A VF13-5 transducer from Siemens Acuson X300 was used. The surgical site wa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anatomic sensory distribution of the blocked nerve, except for the case where an operation time of more than 2 hours was expected due to multiple injuries and the operation of the upper arm. The procedure was performed by 2 orthopedic surgeons in the same method using 50 ml of solution (20 ml of lidocaine HCl in 2%, 20 ml of ropivacaine in 0.75%, 10 ml of normal saline in 0.9%). The success rate of anesthesia induction during surgery, anesthetic induction time, anatomical range of operation, duration of postoperative analgesia and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results from the 2 practices were similar. The anesthesia was successful in 100 out of 103 patients (97.1%). In these patients, the average needling time was 5.5 minutes (2.5–13.2 minutes), the average induction time to complete anesthesia was 18.4 minutes (5–40 minutes), and the average duration of postoperative analgesia was 402.8 minutes (141–540 minutes). The post-anesthesia immediate complications were dizziness in 1 case, nausea and vomiting in 4 cases, and peri-oral numbness in 2 cases, but surgery was performed without problems. All these 7 cases with complications recovered on the same day. A total of 3 cases failed with anesthesia, and they were treated by an injection with local anesthesia in the operation room in 2 cases and switched to general anesthesia in 1 case. Conclusion: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which was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s allows anesthesia in a brief period and the high success rates of anesthesia for certain surgeries of the elbow and surgeries on forearm, wrist and hand. Therefore, it can reduce the waiting time to the operating room. This technique i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and dose selective anesthesia is possible.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 치환술 시 경골 후 내측부 골 결손에 대해 내고정 없이 시행한 자가골 이식술의 결과

        전재균(Je-Gyun Chon),송인수(In-Soo Song),김준범(Jun-Beom Kim),장건일(Gun-Il Jang),안치훈(Chi-Hoon Ahn),윤자영(Ja-Yeong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6

        목적: 심한 내반 변형 시 경골의 골 결손에 대하여 내고정이나 주대의 사용 없이 자가골 이식술과 함께 표준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7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32명(45예; 남성 4예, 여성 41예; 평균 연령 74.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4.4개월이었다. 골 결손 부위에 전후방 고랑을 만들고 자가골 조각을 45° 사선으로 삽입한 후 표준형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골 결손의 크기를 측정하고 방사선 및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방사선 사진으로 측정한 골 결손의 크기는 전후방 평균 15.31×30.36 mm였고, 측면 15.46×45.98 mm였다. 수술 시 측정한 골 결손의 평균 깊이는 8.38 mm였다. 대퇴-경골간 각은 수술 전 평균 내반 14.1° (4.0°-26.9°), 최종 추시 시 평균 외반 5.4° (0.5°-10.5°)였고. 치환물의 위치는 최종 추시 시 α=95.7°, β=90.4°, γ=2.1°, δ=89.1°였다. 최종 추시 시 인공관절 삽입물의 해리는 없었으며 평균 골 유합 기간은 4.3개월이었다.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점수가 수술 전 평균 50.1점, 최종 추시 시 평균 90.4점이었다. 결론: 경골 골 결손에 대하여 내고정물 없이 자가골 이식을 통하여 표준형 인공 치환물의 사용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골 유합과 좋은 방사선적 및 임상적 결과를 얻었으며 골 이식에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of the standard total knee arthroplasty without internal fixation or extended long stem in tibial bone defect with severe var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2012 and April 2014, 32 patients (45 cases; 4 men and 41 women with a mean age of 74.2 year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autologous bone grafting were enrolled for analysi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4.4 months. The cancellous bone defect site was exposed, and a longitudinal sulcus was made. Subsequently, a premolded bone graft was inserted in the sulcus at 45°. The defect size was measured, and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defect size according to the radiograph was found to be 15.31×30.36 mm in the frontal view and 15.46×45.98 mm in the sagittal view. The mean defect size of depth during the operation was found to be 8.38 mm. The preoperative mean varus angle was 14.1° (4.0°–26.9°), and the follow-up mean valgus angle was 5.4° (0.5°–10.5°). The implant position was α=95.7°, β=90.4°, γ=2.1°, δ=89.1° on the follow-up. No implant loosening was observed, and the mean bone union period was 4.3 months.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score was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mean of 50.1 to a postoperative mean of 90.4. Conclusion: Standard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autologous structural bone grafting without internal fixation in a tibial bone defect demonstrated a rapid, stable bone healing and excellent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Thus the index procedure was considered to be simple, and effective for bone graf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