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에서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

        윤원섭(Won-Sup Yoon),김태현(Tae-Hyun Kim),양대식(Dae-Sik Yang),최명선(Myung-Sun Choi),김철용(Chul-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1

        목적 :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기간, 고식적 치료 효과, 예후인자, 치료에 수반된 부작용을 조사하여 방사선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2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가 발생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35세부터 82세(중앙 연령 58.5세)였다. 대상 환자를 원발 종양 부위에 따라 분류해 보면 위암이 12명, 담낭암이 6명, 간암이 3명, 췌장암이 2명, 대장암이 1명이었다. 환자의 중앙 추적 조사기간을 7.2개월(3~76개월)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는 24명 중 18명에서 시행하였으며 매일 1.8~2.5 Gy씩 주 5회 분할치료를 하였고 30~61.2 Gy (중앙값 50 Gy)의 방사선량이 조사되었다.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는 주당 2회에서 3회를 치료하였고 16명의 환자는 일일분할선량을 3 Gy로, 8명의 환자에서는 분할선량을 2.5 Gy로 하루 2회 시행하는 방법으로 치료하였다.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의 총조사선량은 9~30 Gy (중앙값 15 Gy)이었다. 결과 : 대상 환자 24명 중 22명은 추적기간 중 사망하였다.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7.3개월이었고 6개월 이상 생존한 환자는 13명(54.2%),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는 5명(20.8%)이었다. 단일변량분석에서 1년 이상 생존에 영향을 준 유의한 인자는 총 방사선량(50 Gy 이상)(p=0.0200)이었고 다변량분석에서도 총 방사선량(50 Gy 이상)(p=0.0337)이 유의성을 보였다. 추적조사 기간 동안 5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로 인한 담도염이 의심되었다. 1명의 환자에서 치료후 7개월에 혈액담즙증(hemobilia)이 발생하였으나 이는 방사선치료에 의한 후기 합병증보다는 종양의 국소적인 진행에 의한 천공으로 생각되었다. 결론 : 담도의 배액술을 시행한 후 고선량률 관내 근첩치료를 시행할 경우 기존의 배액술만 시행한 환자에 비해 생존기간의 연장이 기대되었고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외부방사선치료에 추가할 경우 추가 방사선량은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었고 예후인자인 총 방사선량을 늘릴 수 있었다. 외부방사선치료 및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대증 요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되어 안전한 치료였다. Purpose : To analyze the survival period, prognostic factors and complications of patients having undergone high-dose-rate intraluminal brachytherapy (HDR-ILB) as a salvage radiation therapy, while having a catheter, for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inserted due to biliary obstruction caused by a secondary malignant biliary tumor. Methods and Materials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24 patients having undergone HDR-ILB, with PTBD catheter insertion, between December 1992 and August 2001. Their median age was 58.5, ranging from 35 to 82 years. The primary cancer site were the stomach, gallbladder, liver, pancreas and the colon, with 12, 6, 3, 2 and 1 cases, respectively. Eigh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and HDR-ILB, while six were treated with HDR-ILB only. The total exernal beam, and brachytherapy radiations dose were 30~61.2 and 9~30 Gy, with median doses of 50 and 15 Gy, respectively. Results : Of the 24 patients analyzed, 22 di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with a median survival of 7.3 months. The 6 and 12 months survival rates were 54.2 (13 patients) and 20.8% (5 patients), respectively. The median survivals for stomach and gallbladder cancers were 7.8 and 10.2 month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univariate analys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urvival of over one year was the total radiation dose (over 50 Gy) (p=0.0200), with all the patients surviving more than one year had been irradiated with more than 50 Gy. The acute side effects during the radiation therapy were manag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During the follow-up period, 5 patients showed symptoms of cholangitis due to the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 An extension to the survival of those patients treated with HDR-ILB is suggested compared to the median historical survival of those patients treated with external biliary drainage. A boost radiation dose could be effectively given, by performing HDR-ILB, which is a prognostic factor. In addition, the acute complications of radiation therapy were effectively controll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and it could be regarded as a safe treatment.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의 고선량률 근접치료

        윤원섭(Won Sup Yoon),김태현(Tae Hyun Kim),양대식(Dae Sik Yang),최명선(Myun Sun choi),김철용(Chul 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3

        목적 : 자궁경부암의 고선량률 근접치료는 각 기관마다 분할선량이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각 분할선량에 따른 치료 결과가 임상적으로 비교된 적이 적었던 바 저자들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선량에 따른 국소제어율과 합병증 발생을 비교하여 적정한 분할선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A군은 122명(수술 후 방사선치료 67명, 근치적 방사선치료 55명)으로 외부방사선 치료 후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선량을 line-A (선원으로부터 반경 2 cm를 이은 등량선)에 3 Gy를 주당 3회씩 6~10회 조사한 군이었고 B군는 102명(수술 후 방사선치료 49명, 근치적 방사선치료 53명)으로 외부방사선 치료가 시행된 후 분할선량을 line-A에 4 또는 4.5 Gy를 주당 2회씩 6~8회 조사한 군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는 10 MV X-선을 이용하여 전골반부에 45~54 Gy (중앙값 54 Gy)를 조사하였다. 고선량률 근접치료는 이리디움(iridium)-192를 사용하였다. 합병증은 RTOG morbidity grading system에 따라 grade 1에서 5까지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결과 : A군과 B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80%, 84%였고(p=0.4523) B군에서 더 높은 국소제어율을 보였다. 근치적 방사선치료군에서는 A군과 B군의 5년 국소제어율이 각각 62.9%, 76.9% (p=0.2557),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에서는 A군과 B군의 5년 국소제어율이 각각 91.7%, 91.6% (p=0.8867)였다. A군에서는 22명(18.0%)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B군에서는 30명(29.4%)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방광에 대한 합병증은 A군에서 12명(9.8%)이 발생하였고 grade 3 이상이 2명이었다. B군에서는 15명(14.7%)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grade 3이상이 3명이었다. 직장에 대한 합병증은 A군에서 12명(9.8%)에서 발생하였고 grade 3 이상이 1명이었고 B군에서는 22명(21.6%)에서 발생하였고 grade 3 이상이 10명이었다. 합병증에 대한 단일변량분석에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 선량이 작으면 전체 합병증(0=0.0405), 직장의 합병증(0=0.0147), 방광의 합병증(0=0.115)이 감소하였고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p=0.0860) 및 근치적방사선치료군(0=0.0370)에서도 분할선량이 작으면 합병증은 감소하였다. 결론 :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적절한 분할선량에 대한 평가는 환자의 병기, 예후인자 등을 고려한 다양한 분할선량에 대한 세분화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선량은 국소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합병증에 대해선 분할선량이 커지면 다소 증가하는 면을 보여 분할선량을 3 Gy로 주 3회 시행하는 것이 하나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Although high-dose-rate (HDR) brachytherapy regimens have been practiced with a variety of modalities and various degrees of success, few studies on the subject have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local control and late complication rate according to different HDR brachytherapy fractionation regimens in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November 1992 to March 1998, 224 patients with uterine conical cancer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and HDR brachytherapy. In external pelvic radiation therapy, the radiation dose was 45~54 Gy (median dose 54 Gy) with daily fraction size 1.8 Gy, five times per week. In HDR brachytherapy, 122 patients (Group A) were treated with three times weekly with 3 Gy to line-A (isodose line of 2 cm radius from source) and 102 patients (Group B) underwent the HDR brachytherapy twice weekly with 4 or 4.5 Gy to line-A after external beam irradiation. Iridium-192 was used as the source of HDR brachytherapy. Late complication was assessed from grade 1 to 5 using the RTOG morbidity grading system. Results : The local control rate (LCR) at 5 years was 80% in group A and 84% in group B (p=0.4523). In the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LCR at 5 years was 60.9% in group A and 76.9% in group B (p=0.2557). I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patients, LCR at 5 years was 92.6% In group A and 91.6% in group B (p=0.8867). The incidence of late complication was 18% (22 patients) and 29.4% (30 patients), of bladder complication was 9.8% (12 patients) and 14.7% (15 patients), and of rectal complication was 9.8% (12 patients) and 21.6% (22 patients), in group A and B, respectively. Lower fraction sized HDR brachytherapy was associated with decrease in late complication (p=0.0405) (rectal complication, p=0.0147 bladder complication, p=0.115). The same result was observed i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patients (p=0.0860) and radiation only treated patients (0=0.0370). Conclusion : For radiation only treated patients, a greater number of itemized studies on the proper fraction size of HDR brachytherapy, with consideration for stages and prognostic factors, are required. I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the fraction size of HDR brachytherapy did not have much effect on local control, yet the incidence of late complication increased with the elevation in fraction size. We suggest that HDR brachytherapy three times weekly with 3 Gy could be an alternative method of therapy.

      • KCI등재

        고령의 비소세포성폐암 환자의 방사선 및 병용치료에 대한 효과 평가

        윤원섭(Won-Sup Yoon),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2

        목 적: 70세 이상 고령의 비소세포성폐암 환자에서 단독방사선치료 및 화학방사선병행요법에 대한 독성과 생존율 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에서 2002년까지 만 70세 이상의 Ⅲ기 비소세포성폐암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7명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중앙추적조사기간은 9개월(1∼53.4개월)이었다. 단독방사선치료(갑군)를 시행한 환자가 33명, 동시화학방사선치료(을군)를 시행한 환자가 16명, 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병군)를 시행한 환자가 8명 이었다. 남자, 여자가 각각 51, 6명, 중앙연령은 74 (70∼85)세였다. Ⅲa와 Ⅲb기가 각각 23, 34명이었다. 갑군과 을군의 비교 시 종양의 크기가 갑군이 더 큰 것 외에는 의미 있는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치료의 분할선량은 동시화학방사선치료 시에는 1.8 Gy로, 그 외의 경우는 방사선치료범위를 고려하여 1.8∼3 Gy로 하였고 분할선량에 따라 51∼63 Gy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계획된 방사선량을 모두 조사받은 경우를 완전종결로 하였고 그렇지 못한 경우를 불완전종결로 하였다. 결 과: 57명 중 52명의 환자가 추적조사기간 중 사망하였다. 갑, 을, 병군에서 완전종결 환자는 28, 10, 7명이었고 앙방사선치료기간은 각각 35, 60.5, 35일이었다.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0.1개월이었고 1년, 2년 생존율은 39.8, 17.6%였다. 갑, 을, 병군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8.9, 8.2, 11.7개월이었고 1년 생존율은 38.4, 37.5, 50%였다. 방사선치료가 불완전 종결된 갑, 을, 병군은 각각 5, 6, 1명으로 N병기(N3)(p=0.081), 치료방법의 차이(p=0.079)가 불완전 종결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았다. 을군에서 병용 화학요법제를 시행한 8명 중 4명은 부작용으로 치료를 중단하였다. 예후인자의 평가에서 T병기(T3 이상), 종양의 크기(5 cm 이상), KPS (70 이하), 불완전 종결이 단일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에서 유의하였다. 론: 고령의 비소세포성폐암 환자에서 단독방사선치료는 타 치료와 비교 시 대등한 생존기간을 나타냈으며 동시 화학방사선치료에 비해 부작용으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적어 대체로 고령의 환자가 치료에 잘 견디는 치료였 다. 고령의 환자에서 동시화학방사선치료를 고려할 시에는 치료의 견딤 정도를 고려하여 환자의 선택 및 약제의 선 택에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o compare radiation therapy alone to combined modality therapy about survival rate and tolerance of elderly patients (70=or≥)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8 and 2002, 57 patients given radiation therapy due to NSCLC (Stage III)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adiation therapy alone (RT), concurrent chemoradiation (CRT), and sequential chemoradiation (SCRT) was done to 33, 16 and 8 patients, respectively. Patients' median age was 74 (range 70∼85). Male and female are 51 patients and 6 patients, respectively. 23 patients were stage IIIa and 34 were stage IIIb. Patients' characteristic distribution of RT and CR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mass size that RT has a bigger than CRT. The fraction size of radiation therapy was 1.8 Gy in CRT and 1.8∼3 Gy in other groups. Total radiation dose was 51∼63 Gy according to the fraction size. If the prescribed total radiation dose was successfully irradiated, we stated that it was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Results: 52 patients were dead. Median period of radiation therapy was as follow: RT, 35 days, CRT, 60.5 days and SCRT, 35 days.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MST) was 10.1 months. The 1 yr- and 2 yr-overall survival rate was 39.8% and 17.6%, respectively. MST of RT, CRT and SCRT was 8.9, 8.2 and 11.7 months, respectively. The 1 yr survival rate of RT, CRT and SCRT was 38.4%, 37.5% and 50% (not significant). Patients given incomplete radiation therapy were 12 (RT, 5 CRT, 6 SCRT, 1). N stage (p=0.081) and the difference of treatment methods (p=0.079) were the factors affecting in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but it was not significant. In case of combined-agents chemotherapy, 4 of 8 ceased radiation therapy. T stage (T≥3), mass size (≥5 cm), Karnofsky performance scale (≤70) and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were the prognostic factors in uni- and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In elderly patients with NSCLC, radiation therapy alone was a treatment method with similar survival period compared with other methods. Generally, patients given radiation therapy alone was tolerable to a treatment. Before planning concurrent chemoirradi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NSCLC, physicians pay attention to a selection of patients and chemotherapy agents considering general condition and toxicity.

      • SCOPUSKCI등재

        고악성도 신경아교종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성적과 예후인자 분석

        이선민(Sun Min Lee),박영제(Young Je Park),윤원섭(Won Sup Yoon),이석(Suk Lee),양대식(Dae Sik Yang),정용구(Yong Gu Jeong),김철용(Chul 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1

        Purpose: To analyze the postoperative radiotherapy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WHO grade 3 and 4 glioma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9 patients with malignant gliomas who underwe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between 1988 and 2007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otal resections, subtotal resections (≥50%), partial resections (<50%), and biopsies were performed in 16, 38, 22, and 23 patients, respectively. In total there were 32, 63 and 4 WHO grade 3, 4, and unspecified high grade gliomas, respectively. The biologically equivalent dose was in the range of 18.6 to 83.3 Gy10 (median dose, 72.2 Gy10).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urvival rate, patterns of failure, prognostic factors, and adverse effects. Resul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11 months and there were 54 patients (54.5%) with local failure. The one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56.6% and 29.3%, respectively, and the median survival duration was 13 months. The one and 2-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s (PFS) were 31.3% and 18.2%, respectively, and the median PFS was 7 months. The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were age (p=0.0001), surgical extents (subtotal resection, p=0.023; partial resection, p=0.009; biopsy only, p=0.002), and enhancement of tumor in postoperative imaging study (p=0.049). The factors affecting PFS were age (p=0.036), tumor enhancement of the postoperative imaging study (p=0.006). There were 3 patients with grade 3 and 4 side effects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Conclusion: In addition to age and surgical extents, tumor enhancement of the postoperative imaging study was included in the prognostic factors. The most common relapse patterns were local failures and hence,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local control rates. 목 적: WHO 등급 3/4의 신경아교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결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수술 후 고악성도 신경아교종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18∼77세(중앙값, 51세), 남, 여가 각각 55, 44명이었다. 수술은 완전절제, 아전절제(50% 이상 절제), 부분절제(50% 미만 절제), 조직검사만 시행한 예가 각각 16, 38, 22, 23명이었고, WHO 등급 3, 4, 기타(unspecified high grade glioma)가 각각 32, 63, 4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1.8 또는 2 Gy 통상 분할치료 혹은 1.2 또는 1.5 Gy 하루 2회 치료 방법으로 하였고 중앙 생물학적 등가선량은 72.2 Gy10 (18.6∼83.3 Gy10)였다.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나 연속화학방사선요법을 적용한 환자가 49명이었다. 환자들의 생존율 및 실패양상, 예후인자, 부작용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의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11개월이었다. 국소치료 실패한 환자가 54명(54.5%)이었고, 이중 12명(22.2%)은 방사선치료부위 밖의 병변 진행을 동반하였다. 전체 생존율은 1년 56.6%, 2년 29.3%였고, 중앙생존기간은 13개월이었다. 무진행생존율은 1년, 2년이 각각 31.3%, 18.2%였으며, 중앙생존기간은 7개월이었다.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나이(p=0.0001), 수술 절제 정도(완전절제를 기준으로, 아전절제 p=0.023, 부분절제 p=0.009, 조직생검 p=0.002), 수술 후 영상검사에서 조영증가 여부(p=0.049)였다. 무진행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나이(p=0.036)와 수술 후 영상검사에서 조영증가 여부(p=0.006)였다. 방사선치료중과 후에 3등급 이상의 부작용이 각각 3명과 1명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나이, 수술절제 정도, 수술 후 영상검사에서 조영증가 여부가 생존율에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국소 치료실패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국소 제어율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이차원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코인두암 환자의 장기 추적 결과 및 예후인자 분석

        이남권(Nam Kwon Lee),박영제(Young Je Park),양대식(Dae Sik Yang),윤원섭(Won Sup Yoon),이석(Suk Lee),김철용(Chul 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4

        목 적: 방사선치료 단독요법 또는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CCRT)를 시행한 코인두암 환자들의 장기 추적결과를 바탕으로 생존율, 재발양상, 부작용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1년 12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코인두암으로 진단받고 고려대학교의료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1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은 8세부터 78세(중앙값 49세)이었으며, 성별은 남자가 141명, 여자가 49명이었다. 조직학적 분류는 각질화암이 10명, 비각질화암이 166명, 기저양평편상피암이 1명이었다.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병기 I이 7명(3.6%), IIA 8명(4.2%), IIB 33명(17.4%), III 82명 (43.2%), IVA 31명(16.3%), IVB 29명(15.3%)이었으며,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으로 치료한 환자는 103명이었고, CCRT를 시행한 환자는 87명이었다. 원발병소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일일 선량 1.8∼2.0 Gy, 총선량 66.6∼87 Gy, 중앙값 72 Gy였다. 생존율, 예후인자 및 부작용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급, 만성 부작용 평가는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190명 중 184명(96.8%)이 계획된 치료를 마쳤으며 방사선치료 기간은 19∼88일(중앙값 63일)이었다. 전체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2∼278개월로 평균 73개월, 중앙값 52개월 이었다. 93명(48.9%)의 환자에서 재발이 발생 하였는데 국소재발이 44명(23.2%), 림프절재발 13명(6.8%), 원격전이가 49명(25.8%)이었고 원격전이 부위는 뼈, 폐, 간 전이가 각각 23, 18, 12명이었다. 5년 및 10년 전체 생존율(overall survival rate, OS)은 각각 55.6%, 44.5%이었고, 중앙값 52개월이었다. 무병생존율(disease-free survival rate, DFS)은 5년, 10년이 각각 54.8%, 51.3%이었고, 질병특이생존율(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DSS)은 5년, 10년이 각각 65.3%, 57.4%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서 CCRT를 받은 환자, 젊은 연령, 여성이 OS, DFS 및 DSS가 유의하게 높았고, CCRT를 시행한 환자와 방사선치료 기간이 짧았던 환자에서 유의하게 원격전이가 적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CCRT를 받은 환자, 여성에서 OS, DFS 및 DSS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국소재발에는 성별, 원격전이에는 CCRT시행여부가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치료 도중 발생한 부작용으로 3등급 이상의 점막염, 혈액학적 부작용은 각각 42명(22.1%), 18명(9.5%)이었고, 치료기간이 연장된 환자가 59명이었다. 항암화학치료를 병용한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부작용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치료기간의 연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3등급 이상의 청력장애, 턱관절장애가 각각 9, 6예가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 CCRT를 시행한 환자, 여성, T-병기, N-병기 및 연령이 낮은 환자에서 생존율의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CRT를 했을 때 생존율 향상과 원격전이율 감소를 보여 항암화학치료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항암화학치료의 동시병용이 반드시 국소 및 영역제어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CCRT의 부작용을 감안할 때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와 같은 치료에서 각 치료 방법의 역할과 기여도에 대한 비교 연구가 향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o analyze the treatment outcomes, complications, prognostic factors after a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RT) alone or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CCR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December 1981 and December 2006, 190 eligible patients with non-metastatic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treated at our department with a curative intent. Of these patients, 103 were treated with RT alone and 87 patients received CCRT. The median age was 49 years (range, 8∼78 years). The distributions of clinical stage according to the AJCC 6th edition included I: 7 (3.6%), IIA: 8 (4.2%), IIB: 33 (17.4%), III: 82 (43.2%), IVA: 31 (16.3%), IVB: 29 (15.3%). The accumulated radiation doses to the primary tumor ranged from 66.6∼87.0 Gy (median, 72 Gy).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cute and late toxic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RTOG criteria. Results: A total of 96.8% (184/190) of patients completed the planned treatment. With a mean follow-up of 73 months (range, 2∼278 months; median, 52 months), 93 (48.9%) patients had relapses that were local 44 (23.2%), nodal 13 (6.8%), or distant 49 (25.8%). The 5- and 10-year overall survival (OS),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DSS) rates were 55.6% and 44.5%, 54.8% and 51.3%, in addition to 65.3% and 57.4%,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CCRT, age, gender, and stag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OS. The CCRT and gender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both DFS and DSS. There was no grade 4 or 5 acute toxicity, but grade 3 mucositis and hematologic toxicity were present in 42 patients (22.1%) and 18 patients (9.5%), respectively. During follow-up, grade 3 hearing loss in 9 patients and trismus in 6 patients were repor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were in accordance with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and we confirmed that CCRT, low stage, female gender, and young age were related to improvement in O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locoregional control that can be achieved by CCRT with 2D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This observation has led to further studies on clarifying the efficacy of concurrent chemotherapy by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