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윤소민(So-Min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초⋅중⋅고 학생들의 경험과, 코로나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들의 대응을 심도있게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코로나19를 경험한 K지역의 초⋅중⋅고 전문상담교사 6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표현을 그대로 요약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범주화 작업을 통해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원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적합도에 따라 범주를 확정하거나 수정하는 범주확인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참여자 확인법을 거쳤다. 결과 분석결과, ‘코로나 19로 인한 학교상담 내담자의 변화’,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들의 대응’이라는 2개의 상위범주아래 ‘코로나19로 인해 한계가 없어진 생활’, ‘소통과 상담을 위한 다양한 방법의 시도’, ‘소수 내담자에 집중적인 개입과 높은 효과’ 등 각 4개씩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담자 발굴을 위한 시스템 마련’, ‘다양한 상담방법의 제도화’, ‘공유 플랫폼 마련’ 등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와 같은 사회적 위기 상황에서 학교상담의 대응과 코로나 이후의 ??에 대한 학교상담의 선제적 대응책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elucidate not only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the COVID-19 pandemic but also the responses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under such a pandemic situation.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six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n K region to conduct the qualitative interviews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employ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s As the analysis results, it was derived two super-domains of ‘changes of the counselees in school due to the COVID-19’ and ‘responses of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under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thereby entailing a total of eight sub-domains such as ‘daily life with no boundary because of the COVID-19’, ‘various attempts for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intensive intervention on the minority counselees and consequent high effect’.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e action items such as ‘preparing the system for identifying a counselee who needs help’, ‘systemizing the various counseling methods,’ and ‘arranging a sharing platfor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fundamental data not only for the response of school counseling under social crisis situation like the COVID-19 pandemic but also for the preparation of the preemptive measures in school counseling on the normal daily life after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남녀 초등학생의 발달환경 요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윤소민(So-Min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발달환경 요인(부모양육태도, 스마트폰 의존도, 친구관계, 교사관계)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과 남녀 성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2018)의 1차년도 초 4학년 2,399명(남 1,193명, 여 1,206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기분석 모형을 통해 그릿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jamovi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통제변인으로 개인발달 요인을, 독립변수로 부모양육태도(긍정/부정), 스마트폰 의존도, 친구관계, 교사관계를 선정하고, 종속변수로 그릿을 선정하였다. 결과 첫째, 그릿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남학생에게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부정적 양육태도는 남녀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여학생에게서 더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남녀 모두에게 통계적 유의수준의 영향력을 보였으나 남학생에게 더 큰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친구관계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관계는 남녀 모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그릿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발달환경 요인인 부모양육태도, 스마트폰 의존도, 친구관계, 교사관계에 대하여 남녀 성별에 따라 중요도가 반영된 효율적인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유관기관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mental environmental factors(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dependence,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on grit and the difference in influence according to gender were analyzed. Methods For this purpose,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grit-related variables for 2,399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93 males, 1,206 female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parenting attitude(positive/negative), smartphone dependence, friend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grit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First, in the relative influence on gri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male students, wherea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les and females, and showed a higher influence in female students. Second, smartphone depend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males and females, but showed a greater influence on male students. Third, friend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Finally, the teacher relationshi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influence on both men and wome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promote the gr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possible to find an efficient method that reflects the importance according to gender for the development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dependence, friend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We want to provide basic data to homes, schools, and related institutions, etc.

      • KCI등재

        학교폭력 대응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및 요구

        이근영(Keun Young Lee),윤소민(So Min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학폭법’ 개정에 따른 학교폭력 대응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하여 심도 있게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법 개정 전후의 기간 동안 교육기관에서 학교폭력 대응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육지원청 장학사, 교장, 학교폭력 책임교사,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학부모 위원, 학생으로 구성된 13명의 교육주체들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표현을 그대로 요약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범주화 작업을 통해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원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적합도에 따라 범주를 확정하거나 수정하는 범주 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자료 분석 과정 및 분석 결과를 학교폭력 관련 학계 전문가 및 현장 전문가 3인에게 자문을 받으며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학폭법’ 개정 효과에 대한 인식’, ‘학폭법’ 개정 이후 학교폭력 대응 정책 활성화 저해 요인에 대한 인식, ‘학폭법’ 개정 이후 학교폭력 대응 정책 활성화를 위한 요구라는 3개의 상위범주 아래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신설로 사안처리의 전문성 확보, 갈등조정 및 관계회복의 현실적 어려움, 학교폭력 전담기구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역량 강화 등 각 4개씩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심의위원회 운영에 관한 직무분석을 통한 인력 보충’, ‘학교장 자체해결제 안착을 위한 제도 마련’, ‘교육적 대응을 위한 학교-교육청-지자체 협의체 구성’ 등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폭법’ 개정이 교육현장에서 개정의 취지에 맞게 활성화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학교폭력 대응 정책의 교육적 방향성을 잃지 않기 위한 보완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in-depth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ducational subjects in response to school violence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School Violence Act’. Methods A qualitativ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3 educational subjects, including supervisors working with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principals, school violence teachers, parents of the School Violence Deliberation Committee, and students.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Express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ummarized as they were through open coding and classified into high categories through categorization work comparing them repeatedly. Based on what was categorized, a confirmation process of the categories, which corrected and confirmed them according to the goodness of fit model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data, was carried out.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super-categories were derived: Perception of the effect of the revision of the ‘School Violence Act’, Perception of the factors that hinder the activation of school violence response policies after the revision of the ‘School Violence Act’, and Needs of the school violence response policy activation after the revision of the ‘school violence Act’ Below that, each of the four subcategories was derived: Securing expertise in handling issue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Violence Deliberation Committee, Realistic difficulties in adjusting conflicts and restoring relationships, and Strengthening capabilities for internalizing the operation of a dedicated school violence organiz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ents such as ‘Supplementation of manpower through job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Violence Deliberation Committee’, ‘Preparation of a self-settlement system for school principals’, and ‘Formation of a consultative body for educational response’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supplementary data to not lose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school violence response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