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Stops as L1 Produced by L2 Learners of the English Language

        윤석연(Sook You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2

        배경 및 목적: 제2언어로 영어를 습득한 한국인 아동과 성인이 한국어 폐쇄음을 산출했을 때 음성개시시간 (voice onset time, VOT)과 기본주파수 (fundamental frequency, F0)에 있어서 한국어만 사용하는 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영어노출시기가 제1언어인 한국어 산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18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과 성인, 18명의 한국어 단일어 아동은 한국어 폐쇄음이 포함된 9개의 음절 (/phε, pε, p*ε, thε, tε, t*ε, khε, kε, k*ε/)을 두 번씩 반복하여 산출하였다. Praat를 이용하여 산출 된 총 1,890개 음절의 VOT와 F0의 정격값을 측정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개의 3-way ANOVAs 결과에 따르면, 이중언어 아동과 성인이 산출한 격음과 평음의 VOT와 평음의 F0는 단일어 아동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가졌다. 하지만, 영어에 노출된 기간은 유사하나 노출시기가 다른 아동집단과 성인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제2언어로 영어를 습득한 아동과 성인이 산출한 평음의 VOT와 F0가 통제집단의 격음과 닮아갔고 또한 이로 인해 격음의 VOT도 증가했다는 점에서, 제2언어습득이 한국어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어에 노출된 기간이 비슷한 아동집단과 성인집단의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미루어, 노출시기만으로는 제1언어에 대한 제2언어의 간섭효과를 예측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whether Korean children and adults who have learned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L2) produce Korean stops differently from Korean monolingual (KM) children with respect to voice onset time (VOT) and fundamental fre-quency (F0) and whether the age of L2 exposure i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L2-to-L1 influence. Methods: Eighteen Korean-English bilingual (KEB) children and adults and eighteen KM children produced nine monosyllables /phε, pε, p*ε, thε, tε, t*ε, khε, kε, k*ε/ twice in a row. A total of 1,890 tokens were acoustically analyzed with Praat to obtain VOT and F0 values and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for group comparison. Results: Two three-way ANOVAs and follow-up statistics revealed that the VOT values of aspirated and lenis stop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KEB children and adults than in KM children and that nor-malized F0 values of lenis stop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ilingual than in monolingual individuals. Nonetheles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KEB children and adults. Conclusion: The acquisition of L2 English appears to disturb a tertiary contrast of Korean stops in terms of VOT and F0, in a way that bilingual individuals produc ed lenis stops more aspirated-like, with increased VOT and F0 values, and aspirated stops with in-creased VOT values. The L2-to-L1 influence may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rly and late L2 learners, if their length of residence in a L2 speaking community is similar.

      • KCI등재

        Assessment of Language Proficiency through Language Survey and Language Sample Analysis in Korean-English Bilinguals

        윤석연(Sook-You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2

        배경 및 목적: 언어사용에 대한 설문, 표준화검사, 자발화분석등을 통해 다언어아동과 성인의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과 성인, 한국어 단일어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설문조사, 두 개의 표준화검사, 자발화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어 자발화는 Systematic Analysis of Language Transcripts를 이용하여 동일 연령의 영어모국어아동과 언어구사능력을 비교, 설문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이중언어자는 메이즈(maze), 포기발화(abandoned utterance), 분당단어수(words per minute, WPM)에서 영어아동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아동의 경우 GFTA-2의 조음정확도와 EVT의 어휘능력, 자발화분석의 언어척도 중에는 비문발화수가 설문지에 보고된 아동의 영어능력과 상관이 있었다. 성인이중언어자의 경우는 자발화분석의 평균발화길이(mean length of utterance, MLU)만이 설문지에 보고된 영어능력과 상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어휘다양도(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총발화어휘수(number of total words, NTW), MLU, 그리고 WPM이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와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언어 아동 및 성인의 언어능력을 평가할 시, 언어설문이나 표준화검사뿐 아니라 자발화분석을 통해 최소한 NDW, NTW, MLU, 그리고 WPM을 측정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인다. 언어재활사가 다언어 아동 및 성인의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언어설문조사 또는 자발화분석 척도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임상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ich information obtained by three tasks—language survey, standardized tests, and language sample analysis (LSA)—best predicts language proficiency in children or adults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backgrounds. Methods: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nd adults were given a language survey and two standardized tests for articulatory accuracy and lexical abilities. Utterances for LSA were analyzed using the Systematic Analysis of Language Transcripts and compared to Korean monolinguals and English monolinguals (EMs). Results: The number of mazes, the number of abandoned utterances and words per minute (WP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ge- and utterance-matched EMs. Perceived English proficiency in children was correlated with age of arrival, length of residence, performance on Goldman-Fristoe Test of Articulation-2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and the number of grammatical errors. Self-reported proficiency in adults was correlated only with mean length of utterance (MLU).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language measures, such as the number of total words (NTW) and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MLU, and WPM, were closely related to one anoth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and previous studies, it is desirable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to evaluate at least NDW, NTW, MLU, and WPM from language samples when assessing individuals from CLD backgrounds. Clinical implications to help SLPs develop their own feasible yet reliable procedures for conducting language survey and LSA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 무의미 단어의 조음정확성에 미치는 영어의 영향

        윤석연 ( Sook Youn Yoon ) 이중언어학회 2014 이중언어학 Vol.56 No.-

        이 연구는 제2언어인 영어가 먼저 습득한 제1언어인 한국어 자음 및 모음을 정조음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7개월을 거주한 8~13세 아동 9명, 만 11세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8개월을 거주하고 미국 대학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21~33세 성인 8명, 영어권 지역에 거주한 경험이 없으며, 학교 교과과정 외에 영어학습을 하지 않은 8~13세 아동 18명이 참여하였다. 이 세 집단은 한국어의 음운규칙을 따르지만,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16개의 무의미단어를 듣고 따라 말하였다. 이들의 발화전사를 토대로 계산한 음운정확도, 자음정확도, 모음정확도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정에 의하면 이중언어아동의 조음정확도(M=90.2)가 이중언어성인(M=94.9)과 단일어아동(M=94.6)보다 발음 정확도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성인의 조음정확도가 차이가 없음은 일반적으로 조음음운발달이 완성되는 시기이후에 습득한 영어는 한국어 음소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시사한다. 반면에, 만9세 이전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된 아동의 조음정확도는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아동기 때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될 경우 제1언어인 한국어를 조음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원광디지털대학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