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 미치는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 효과

        윤명숙(Yoon, Myeong-Sook),김성혜(Kim, Sung-Hy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2

        소방공무원들은 화재진압, 구조 및 구호 업무에 종사하며 높은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민 업무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소방공무원들이 경험하는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지역 소방공무원 1,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방공무원의 43,7%가 높은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수준의 경우 경미한 수준의 우울 27,6%, 중등도 이상의 우울수준 15.6%로 나타났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를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부문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삶의 질이 저하되며, 우울과 사회적 지지는 간접적으로 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의 직무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QoL) among firefight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00 firefighters in Jeollabuk do and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43% of subjects showed high level job stress and 15.6% of subjects showed more than moderate depression. Second, job stress had on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QoL of firefighters. Third,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orked as partial mediators between the job stress and QoL among firefighte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정신장애인 가족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

        윤명숙 ( Myeong Sook Yoon ),박은아 ( Eun A Par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가족들이 경험하는 외상사건특성과 가족들의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PT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충청, 호남지역의 정신보건관련 기관을 이용하는 264명의 정신장애인가족들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의 주 진단명은 조현병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족원의 관계는 부모가 많았으며, 정신장애인의 평균유병기간은 11.41년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성, 대학원이상의 학력을 가진 가족원들의 외상 후 성장수준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60대에서 돌봄 부담 정도가 가장 높았고, 특히 가족들 중 정신장애인 배우자의 돌봄 부담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진단명, 유병기간, 가족수입에 따른 외상후 성장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현병 가족들의 돌봄부담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장애인 돌봄 만족경험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외상지각이 높을수록, 돌봄 부담 수준이 낮을수록 정신장애인 가족의 외상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정신장애인 가족의 성장을 지원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개입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Familie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have experienced a greater burden and psychosocial trauma. However family member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have been understudied regarding on their posttraumatic growth(PT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sttraumatic growth(PTG) among family members of adult with mental disord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64 family members with questions on caregiving experience, trauma sensitivity, social support, socio-demographic factors, PT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step wis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with schizophrenia and spouse showed more higher care burden and over 60 year old, male, higher education showed high PTG. Second, positive caregiving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PTG. Third, positive caregiving, social support, higher trauma sensitivity, lower caregiving burden were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 PTG.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strategies of intervention for social worker were suggested to support family with mental disorder an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이혼가정 자녀의 상실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윤명숙 ( Myeong Sook Yoon ),이묘숙 ( Myo Sook Lee ),김남희 ( Nam Hee Kim ),정향숙 ( Hyang Suk Je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5 No.-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 증가하고 있는 이혼으로 인하여 이혼가정 자녀들이 경험하는 상실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만 10세-15세의 이혼가정 자녀 188명을 대상으로 상실감, 자아존중감, 우울을 측정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이혼가정 자녀들의 우울을 분석한 결과 학교성적이 낮고, 생활수준이 낮으며, 학대경험이 있고, 아버지의 음주수준이 높은 집단 자녀들의 우울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혼특성 요인에 따른 우울을 분석한 결과 이혼 후 가족 경제수준이 그대로이거나 나빠진 경우, 비양육부모와 불규칙적으로 만나는 경우에 우울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이혼에 따른 상실감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은 상실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자녀들에 대한 효과적인 사회복지 개입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Parental divorce have adversely affected children`s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of parental divorce and depression amo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8 children of divorce, aged from 10 to 15, were included. Each child completed a test of loss, self-esteem, dep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18.0 was adopted to examine measurement model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y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children of poor academic grade, low economic status, father`s heavy drinking, child abuse experiences showed more higher depression. Second, children who had irregular meeting with non custodial parent while children who no longer meet their non custodial parent showed more higher depression. Third, the analysis resulted confined the ful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of parental divorce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ocial work intervention, case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for divorced families.

      • KCI등재

        노년기 장애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 노령화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의 비교

        윤명숙(Yoon , Myeong-Sook),김새봄(Kim, Sae-Bo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8 No.1

        본 연구는 증가하는 노년기 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노년기 장애인을 노인성 장애인과 노령화 장애인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노년기 장애인 자살 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복지패널 7차년도(2011)-13차년도(2017)의 자료를 활용한 종단적 연구설계를 하였으며, 장애요인·신체건강요인·정신건강요인·관계요인 등의 4개 차원변수를 독립변수로, 자살생각을 결과변수로 하는 일반화 추정방정식(GEE)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성 장애인이 노령화 장애인보다 1인 가구 비율, 미취업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월 균등화 소득이 더 낮았으며, 소득의 증가 폭도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둘째, 노령화 장애인이 노인성 장애인보다 건강만족도와 가족갈등이 높았고, 노인성 장애인의 외래진료 횟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신건강요인, 관계요인은 두 집단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령화 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성, 1인 가구, 우울,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만족과 가족갈등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요인과 신체건강요인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성 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래치료횟수, 우울,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장애인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policy for the elderly, by dividing the elderly with disability into two groups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older disabled. To Carry out this purpose, this paper used the data from 7(2011) to 13(2017)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for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This study performed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that has disability factors, physical health factors, mental health factors, and relational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uicidal ideation as the result vari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llows;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disability with aging had a higher ratio of one-person households and unemployed people than the aging with disability, the monthly equivalence income was lower, and the range of increase in income was relatively small. Second, although the aging with disability were found to have higher health satisfaction and family conflicts than the aging with disability,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treatments for the disability with aging were higher, mental health factors and relationship factor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Third,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aging with disabil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mong women, single-person households, depression, self-esteem, family satisfaction and family conflict. The effects of disability factors and physical health factors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Fourth,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deation of disability with aging such as the number of outpatient treatments, depression, and self-esteem affect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preventing suicide of the older disabled.

      • KCI등재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의 경험

        윤명숙 ( Myeong Sook Yoon ),김가득 ( Ka Duck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29 No.-

        본 연구는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들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농촌지역인 W군에서 자녀의 자살을 경험한 5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주제묶음을 한 결과, 17개의 규명된 주제와 6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억장이 무너짐, 스스로 비난함, 세상의 손가락질, 가슴에 묻은 자식, 남겨진 사람들의 고통, 그래도 살아지는 날들`로 도출된 본질적 주제를 통해`죽음보다 모진 삶`으로 해석학적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충격과 죄책감에 상처받고 사회적 편견에 의해 더욱 수치감을 느끼게 되고, 자식을 앞세운 부모로서의 자책감에 적절한 애도반응도 거치지 못하므로 상처는 더욱 깊고 장기화되는 과정이었다. 더구나 풍족하지 않은 농촌지역의 삶은 자식의 죽음에 대한 막막한 가슴을 가지고 살아내야만 하는 나날들이었다. 결국 죽음보다는 경제적 현실에 기반한 삶이 우선이었고, 삶보다 더 위대한 것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살자 유가족의 경험에 대한 실제적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자살 유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사회복지적 실천방법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of mothers who had lost their children to suicide in the rural area us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me clusters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5 mothers in the rural area drew 17 identified themes and 6 essential themes. The study resulted in a hermeneutic writing with title of "endure harsh life" using six essential themes as follows:"feeling world come crashing down, self-accusation, accusatory fingers of the world, child buried in the heart, survivors` distress, everyday life still to manage to live." Those survivors already burned by shock & guilt felt shame from the social stigma. Since they could not go through the proper bereavement process due to the guilty conscience as mothers who faced the death of their child ahead of their own, their wound deepened and got more drawn out. Moreover, the unprivileged rural life was something they had to manage to survive. After all, the life was above the death, and there was nothing greater than the life. This study suggested the social interest in suicide survivor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em through the experience of female suicide survivors who are not even aware of the public support system or of the counseling services.

      • KCI등재

        지역사회 보건복지자원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윤명숙(Yoon, Myeong-Sook),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0

        본 연구는 최근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자살의 사회적, 거시적인 영향요인으로서 보건복지자원에 초점을 두고 지역사회단위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에 따라 전국 229개 시군구 별로, 인구사회학적요인, 사회복지 및 정신보건인프라와 자살률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인구비율 및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비율과 자살률은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지인프라의 경우 지역사회복지기관들, 특히 노인복지기관들이 많을수록 자살률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정신보건인프라의 경우 정신의료기관의 수가 많고, 정신보건센터가 설치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자살률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자살률에 미치는 변인들을 회귀분석한 결과, 노인인구비율과 정신의료기관수만이 자살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인구비율은 자살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고 자살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지역사회복지의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Suicide research has rarely looked at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suicidal behavio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suicide rate and the health & welfare infra. Data were obtained from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lfare infra(community welfare resources, elderly welfare resources), mental health infra(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psychiatric hospital) and suicide rate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SPSS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with high proportion of older people(aged 65 years and over), high percentage of welfare recipants had significantly high suicide. Second, community with having community welfare resources and a number of community welfare resources, having the elderly welfare resources showed lower suicide. Third, community with a high percentage of psychiatric hospital, having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showed lower suicide. Fourth, proportion of older people, percentage of psychiatric hospital were very important variables which affected on suicide in community. Based up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to develop an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at the community lev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대학생의 상실경험과 대학생활 적응 관계에 대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윤명숙(Myeong Sook Yoon),김남희(Nam Hee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다양한 상실경험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성인애착이 매 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3개 권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891명 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 학적 차이에 의한 대학생활적응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더 높은 것으 로 나타났고 성적이 높은 집단이 대학생활 적응이 높았으나 다른 변인들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사별, 가족상실, 관계상실, 건강상실 등 상실경험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은 대학생 상실경험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실경험은 대학생 활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성인애착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증가하는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experiences and student adaptation to Univers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91 university students over 3 provision and subjects completed a test of loss experience, Recised Adult Attachment Scale(RAAS),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18.0 and SPSS 19.0 were adopted to examine measurement model and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by using bootstrap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male student and high academic garde group showed more higher student adapta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other sociodemograpic factors. Second, loss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adult attachment. Also adult attachmen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student adaptation. Third, adult attachment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loss experiences and student adaptation. Based up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to improve mental health car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연변 조선족 청소년들의 부모와 별거기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 애착의 매개효과

        윤명숙 ( Myeong Sook Yoon ),조혜정 ( Hye Chung Cho ),박수영 ( Xiu Ying Pia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부모와 별거중인 연변지역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복지를 향상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 연변조선족자치구의 용정과 연길 2개시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조선족 청소년들 중 현재 부모와 별거중인 545명을 대상으로 2011년 8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부모 모두와 별거중인 경우가 63%로 가장 많았고, 부와 별거22.8%, 모와 별거 17.2%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별거사유를 살펴보면 해외취업이 69.3%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 이혼 22.3%, 부부갈등으로 인한 별거 8.0%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별거시작 시기는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시기인 유아기 및 아동기가 가장 많아 10세 이전에 부모와 별거를 시작한 대상자들이 53.5%로 높게 나타났고, 별거기간도 과반수이상이 4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별거기간이 길수록 부 애착 및 모애착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 애착 및 모 애착이 증가할수록 학교적응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와의 별거기간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 부 애착과 모 애착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와의 별거기간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부모애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 복지 증진을 위해 부모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separation and school adjustment among Korean-Chinese adolescent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on those relationship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s for those adolescent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a survey instrument completed by 525 adolescents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parents in 1-2 grade middle school and 1-3 grade high school students, Yanbisn(Yanji, Longjing City), China.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18.0 and SPSS 18.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s reported 63% of both parent separation, 22.8% of father separation, 17.2% of mother separation. The reasons of parent-child separation reported oversea employment 69.3%, parental divorce 22.3%, separation due to marital conflict 8.0%. Also 53.5% of subjects experienced parent-child separation under the age of 10. Second, longer separation from parents showed lower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Thirds,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had fully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separation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 attachment and suggested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 KCI등재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SNS 중독성향 연구

        윤명숙(Yoon, Myeong-Sook),박완경(Park, Wan-Kyeo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3

        최근 들어 우리 사회의 급속한 인터넷 보급으로 인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SNS 이용과 이에 따른 부작용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SNS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특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충북 및 전북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09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틀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 연령, 하루 SNS 이용빈도, 하루 SNS 이용시간, SNS 지속시간에 따라 SNS 중독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 20~21세 집단, SNS를 매일 이용하는 집단, 하루 3시간 이상 SNS를 이용하는 집단, SNS를 3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집단이 SNS 중독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학생, SNS 친구 수가 많을수록, SNS 이용시간이 길수록, SNS 중독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대학생이 지각하는 우울 수준과 외로움 수준이 높을수록, 친구애착이 낮을수록,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SNS 중독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SNS 중독문제에 대한 개입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 등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Data were obtained from 709 university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stepwis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20-21 years old, daily SNS use, more than 3 hours use of daily SNS, more than 3 hours constantly SNS use showed more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female, more numbers of SNS friends, more time of SNS use, higher depression, higher loneliness, lower peer attachment, lower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up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developing comprehensive intervention services of SNS addiction also develop effective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 of SNS addi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