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김규식의 신앙과 학문 그리고 항일민족운동

        윤경로(Yoon Kyung-R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4 No.-

        우사(尤史) 김규식(金奎植, 1881~1950)을 기독교 신앙인으로, 또한 일제 강점기 항일독립운동가로 인식하는 데 우리는 그렇게 익숙하지 않다. 그보다는 해방직후 이승만, 김구와 함께 우익 3영수의 한 사람으로 나중에 좌우합작운동을 견인하고 자주적 통일국가 수립운동에 앞장섰던 정치인으로 깊게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유념하여 이 글에서는 정치가 이전의 기독인(基督人)으로서의 김규식과 그가 30여 년간 중국 등 해외에서 항일민족운동가로서 활약상을 구명하는 한편 그 활동 이면 행간(行間)에 배어있는 그의 신앙과 관련시켜 재해석해 보려 한다. 그리고 연구 대상 시기는 해방 이전까지로 제한하고자 한다. 그동안 김규식의 생애와 활동을 천착한 연구에서 기독교와 관련된 부분이 언급되지 않은 것은 아니나 기본적으로 정치적인 면에 주로 초점을 둠으로써 자연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은 소략하게 취급되었다. 우사 김규식의 전 생애와 활동을 면밀히 검토해 볼 때 그는 기독교인으로 출발한 동시대의 여타 민족운동가, 예컨대 이동휘ㆍ이승만ㆍ김구 등에 비하여 보다 기독교적 정체성(identity)을 견지했던 독립운동가였다. 우사의 전 생애의 활동 이면에는 늘 기독교적 정신이 짙게 깔려 있었으며 그의 언행에서도 항상 기독교적 신앙의 면면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에 유념하여 기독인으로서의 우사의 신앙과 학문 및 항일민족운동의 실제와 특징 등을 구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We are not familiar with “Wu Sa(尤史)” Kim Gyu-Sik(金奎植, 1881~1950) as a Christian and anti-Japanese activist. But rather he has chiefly been recognized as a rightist politician or as, together with Kim Gu and Syngman Rhee, one of the “Three Leaders,” who led the left-right coalition movement and spearheaded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unified nation. This article will examine Christian Kim Gyu Sik and trace the three decades of his anti-Japanese activities in China and overseas, interpreting his Christian faith in relation to those activities. His activities before the Liberation will be considered. Some former studies have mentioned Kim Gyu Sik's religion, but their emphasis has fundamentally been on his activities as a national and independence movement leader. A careful examination of his life and activities reveals that his Christian identity was stronger than other contemporary nationalist leaders such as Yi Dong Whi, Syngman Rhee, and Kim Gu who are commonly known to be Christians. Christian spirit had been behind Kim Gyu Sik's activities, and his every-day life reflected his Christian faith. This article will place its focus on Kim Gyu Sik as a Christian and examin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his religion, learning, and anti-Japanese activities in light of his Christian faith.

      • KCI등재

        미주 한인사회의 초기 구국운동과 한민족의 정체성

        윤경로(Yoon Kyung-R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0 No.-

        Last year marked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There were various celebrations and academic conferences both in Korea and overseas to commemorate the anniversary. This article is a development of the speech delivered at the symposium in August, 2003 in Los Angeles, celebrat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Korean-American churches. The final chapter on the identity of Korean-American communities was originally presented in July, 2002 to a symposium held by the Association of Korean-American Schools. It is since the 1860s that Koreans began making communities in other lands. At first, most immigrants were poor peasants uprooted from their native lands and migrated to “Gando” region. But after Korea became annexed by the Japanese, overseas immigration began in a large scale. Koreans who went to sugar farms in Hawaii in 1903 marked the first immigration to the American soil. This first immigration was promoted and arranged by the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and hence immigrants were mostly Christians. Naturally, the Korean communities in American, from the beginning, showed a strong Christian character. In addition to their Christian character, the Korean-American communities clearly demonstrated anti-Japanese, national tendencies. Conside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their mother land, such attitude of the Korean immigrants’ is understandable. This article first trie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Korean-American communities and churches. Then it deals of Korean-American communities’ national independence activities, and interprets their historical meanings. The final chapter is devoted to the appraisal of the place that Korean-American communities occupy in Korean national history and its relations with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from a broad, global perspective.

      • KCI등재

        분단 70년, 한국 기독교의 권력유착 사례와 그 성격

        윤경로(Yoon Kyung-R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4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성찰과 반성’이라는 큰 주제 아래 “분단 70년, 한국 기독교의 권력유착 사례와 그 성격”을 논구한 글이다. ‘분단 70년’을 고려할 때 2015년까지 다루어야 했으나 이 연구대상 시기는 해방 이후 미군정기(1945-1948), 이승만 집권기(1948-1960), 박정희 군사집권기(1960-1971) 그리고 유신 독재기(1972-1979)까지 한국교회와 정권유착 관계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와 그 성격을 다루는데 그쳤다. 첫째, 미군정기 권력유착과 한국 기독교 특히 교회문제는 적산불하(敵産拂下), 곧 패전한 일본의 한국 내 재산처분을 미군정이 처리하는 과정에서 한국교회가 받은 특혜를 중심으로 천착했다. 둘째, 이승만 정권하에서의 권력유착 문제는 그 정권이 ‘기독교 정권’이라 할 만큼 여러 특혜를 받은 구체적 사례를 적시했다. 반공이념을 국시로 내세우면서 상대적으로 친기독교적 정책을 펼친 이승만 정권에서 진행된, 예컨대 종교인들에 대한 각종면세 혜택을 비롯해 군대와 형무소 안에 실시한 군종제(軍宗制)와 형목제(刑牧制) 등을 비롯해 일요일과 크리스마스를 공휴일로 정한 것과 공영방송을 통한 기독교 선교방송 허용, 기독교방송국 설립 허가, 그리고 국가의 주요 행사를 기독교적으로 실시한 것 등등 구체적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박정희 군사정권 하의 권력유착관계를 좀 더 천착해 구명했다. 먼저 군사정권 초기의 기독교계 추이를 돌아보며 베트남 파병과 군목파견에 따른 정권유착과 대통령조찬기도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권력유착관계, 전국신자화운동 등을 추진하면서 권력과 한국교회 특히 교회지도력과의 권력유착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끝으로 유신독재기 권력유착 사례를 이 시기 진행된 초대형 전도집회와 이러한 초대형 집회를 가능하게 한 물적 토대(物的土臺) 제공자 역할을 한 기독실업인회에 대해 구명했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 해방 이후 한국교회와 기독교계는 종교적 전도와 선교를 내세웠지만 매우 정치적이었으며 권력과 유착한 정치집단의 성격이 강하였음을 부인하기 어렵게 되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해방 이후 지난 70년간의 한국교회와 기독교는 교세로는 매우 크게 성장 발전했다 할 수 있으나 본래 기독교 복음정신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세속적이었다는 자기반성과 성찰이 요구된다 하겠다. 특히 개신교의 탄생을 가능하게 한 루터의 종교개혁 500주년을 2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한국 기독교계는 자기성찰과 반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writing that reviews ‘Seventy years after National division, cases and nature of Korean Christianity’s adhesion to power’ under the big theme of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of Korea Christianity.’ The period to 2015 should be dealt with when considering ‘Seventy years after national division" but this study only dealt with the specific cases and nature on the adhes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urch and regime in Regime of U. S. Army(1945-1948), Rhee Syng-man’s reign(1948-1960), Park Chung-hee’s military reign(1960-1971) and Yushin(Revitalizing Reform) dictatorship period(1972- 1979). First, adhesion of power during Regime of U.S. Army and Korean Christianity, especially the church problem was explored with a focus on enemy property transfer(敵産拂下), that is, special favors given to Korean Church in the proces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ndling defeated Japan"s assets in Korea. Second, the power adhesion problem under Rhee Syng-man government pointed out specific cases of receiving many privileges enough to call the regime as ‘Christian regime’. We examined specific cases conducted in Rhee Syng-man government that carried out the relatively pro-Christian policies while presenting the anti-Communist ideology as a national policy, for example, designation of Sundays and Christmas as holidays including military chaplaincy and Prison chaplaincy implemented in the military and prisons including various exemptions for religious people and permission of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through public broadcasting, approval of establishment of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and Christian major events of the country. Third, power adhesion relations under the Park Chung-hee military regime were further explored. We first reviewed the trends of the Christian world in the early military regime and examined the specific cases on adhesion of regime caused by dispatch of armed forces to Vietnam and army chaplain dispatch, power adhesion relations with a focus on Presidential Prayer Breakfast and adhesion of power made between power and Korea Church, especially with church leadership while promoting national believers movement etc. Finally, power adhesion cases during the Yushin dictatorship period were examined for mass missionary meeting conducted during this period and Christian Business Men’s Committee who played a role as a material foundation provider enabling these mass meetings. Through these case studies, it can be said to be difficult to deny that although asserting religious evangelism and mission, Korean Church and the Christian world after the liberation were very political and had the strong nature of political groups that adhered to powe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gregation of Korean Church and Christianity is considered to have developed and grown very significantly for last 70 years after the liberation but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on being very worldly in the light of the original spirit of the Christian gospel are required. In particular, the reflection and self-reflection of Korea Christianity can be said to be further required in a situation with two years ahead of the fiv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Lutheran Reformation that enabled the birth of Protestantism.

      • KCI등재

        105인 사건 피의자들의 사건 이후 행적에 관한 소고

        윤경로(Yoon Kyung-R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6 No.-

        이 논문은 105인 사건 피의자들에 관한 사후 행적을 추적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105인 사건 피의자들 가운데 사건 이후 친일로 경도되었던 인물 9명을 선별하여 그들의 친일행적을 추적하였다. 추적 결과 이들 9인의 행적은 대체로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먼저 출옥 후 실업활동에 종사하다가 친일로 경도된 유형이다. 김동원 이근택, 이춘섭, 차균설 등 4인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는 출옥 직후부터 친일활동으로 경도된 경우이다. 이에 해당자로 나일봉과 장응진 그리고 윤치호 등 3인을 들 수 있다. 끝으로 출옥 후 중국 상해로 망명한 후 일제의 ‘첩자’와 ‘밀정’ 혐의로 결국 사살당한 옥성빈과 옥관빈 형제 2인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부류인 상기 4인은 105인 사건에서 풀려난 후 주로 실업 및 종교 활동과 민족개량주의운동에 참여하다가 1930년대 중반이후부터 보다 적극적인 친일 활동의 길을 걸었다. 특히 이들 4인은 일제의 식민지배하에서 주로 경제실업활동에 종사한 실업인이자, 기독교인이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두번째 부류인 나일봉과 장응진은 사건 이후 일본 조합교회 교인이 되었다. 특히 나일봉은 출옥 후 바로 일본 조합교회 목사로 변신, 친일활동에 적극 나섰다. 마지막 부류인 옥성빈, 옥관빈 형제는 1933년 중국에서 살해되었다. 옥성빈은 출옥 후 상해로 망명하였지만 상해 망명 직후부터 임정 요인들로부터 ‘요주의 인물’로 지목되어 의심을 받았다. 옥관빈은 당대 재중 한인 가운데 최고의 사업가로 거부가 되어 명성이 높았다. 그러나 사업가로서 대성공을 거둔 그를 바라보는 상해 임정과 한인 독립운동단체의 눈에는 대표적인 ‘한간’(韓奸)으로 비쳐졌다. 따라서 마땅히 처단해야 할 ‘간역(奸逆), 옥역관빈(玉逆觀彬)’으로 단정했고 그 결과 1933년 8월 1일 한인제간단(韓人除奸團)에 의해 처단되었다. 이상 9인의 행적 추적을 통해 105인 사건 이라는 동일한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는 등 어려움을 당했지만 그들의 이후 행적은 민족과 역사의 길을 걸은 인물과 순응과 훼절의 현실적 길을 택한 자로 구분된다. 이중 상기 9인은 후자에 속한다 할 수 밖에 없다. 이 모두가 국권을 빼앗긴 민족과 나라의 아픔과 슬픔이라 할 것이다. This article selects nine convicts of the Korean Conspiracy Case who became Japanese collaborators after the case, and deals with their pro-Japanese activities. It grouped their pro-Japanese activities into three categories. First, Kim Dong-Won, Yi Geun-Taek, Yi Chun-Seop, and Cha Gyun-Seol became Japanese collaborators as they were engaged in business after their release from prison. Second, Na Il-Bong, Jang Eung-Jin, and Yun Chi-Ho began to work with the Japanese immediately after their release. Finally, two brothers, Ok Seong-Bin and Ok Gwan-Bin exiled themselves to Shanghai, China, were suspected to be Japanese spies, and were murdered on that account. The first group of four individuals participated in business, religious activities, and national improvement movement after their prison term, but became active Japanese collaborators since the mid-1930s. They were all Christian businessmen. The Na and Jang of the second group became members of the Japanese Johap Church. Na, in particular, became an ordained minister of the church,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pro-Japanese activities. The two Ok brothers were killed in China in 1933. Ok Seong-Bin exiled himself to Shanghai upon release from prison and god involved in nationalist activities. But he was regarded as a person to be watched. Ok Gwan-Bin, on the other hand, made a huge fortune and became a prominent person among Korean communities in China. However, Korean nationalists in China considered him a double-crossing traitor, and a group of Korean undercover executioners assassinated him. The people involved in the Korean Conspiracy Case suffered greatly. However, some continued to walk along the path of nationalist cause, while others chose a practical way of submission and collaboration. The nine persons of this article chose the latter op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