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거울상 이성질체 관련 발명의 특허보호

        육소영,변상현 한국지식재산학회 2005 産業財産權 Vol.- No.17

        Enantiomer invention is known for bringing great profits to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patent grant will help the companies to secure such profits. However, because enantiomers have identical physical properties except the direction of plane of polarized light and have identical chemical properties except optically active reagents, there seems to be no novelty and inventiveness in enantiomer invention. In reality, even though it is generally known to a skilled person that substances with an asymmetrical atom enable themselves to occur in the form of a racemate or enantiomers and one of enantiomers has a quantitatively greater effect than the other or a racemate, enantiomer invention may be patentable if it is not directly disclosed in the prior art and has more surprising effect than a racemate. In contrast, enantiomer itself is more difficult to be patentable than the use thereof since it is easy to anticipate enantiomer from a known racemate. Finally, regardless of patentability of enantiomer invention, from the outset, it must be scrutinized whether patent protection of enantiomer invention is justifiable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Considering a modern trend toward increase of selection or improvement invention and the broadening scope of patent, enantiomer invention must be examined positively when it ma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echnical information.

      • KCI등재

        리서치툴 특허와 그 보호의 정당성

        육소영 한국지식재산학회 2009 産業財産權 Vol.- No.28

        Recent legislation and patent policies have a tendency to give strong protection to inventors broadening patent subject matters and strengthening patent rights. Research tool protection may be one good example reflected such a tendency. This article reviews issues surrounding research tools such as the definition, nature and patentability of research tools and justification of research tool patent. Research tools are broadly defined as the full range of resources that scientists use in the laboratory. However, research tools can be end products for research tool providers. That is, research tools are means to achieve research goals for users but are end products for providers. In protecting research tools under patent law, the first hurdle is whether they are patent subject matters. However, actually this is not an obstacle for patent protection subsequent to Diamond v. Chakrabarty where the Court find anything on earth to be patent subject matters. Even after Chakrabarty, research tools meet one obstacle for patent, utility requirement. U.S. PTO guidelines for examining utility and court decisions require the applicant to establish for the invention “specific and substantial utility that is credible. ” Accordingly, it is not enough for the applicant to prove that utilities of the invention are research intermediates, tools for further research and not the final product of any research effort. Even if research tools satisfy patent requirements, research tool patents are not always justified under patent law. Without research tool patent, research can be more competitive but less incentive is given to inventors. On the other hand, research tool patents make research controlled by tool patent holders. When inventors’ private interests are balanced with public interests in society, patent protection of research tools can be justifiable. The study on research tools is on the early stage. Despite that, because research tools deep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researc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ach country are making the policies of research tools which are carried into effect as a form of the guideline or directive.

      • KCI등재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법제연구 - 이용활성화라는 관점에서 한국법과 중국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육소영,황선영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國際去來와 法 Vol.- No.37

        The field of medicine will suffer from dramatical changes due to big data and biometric sensor. Future medical science will target on good health rather than a treatment on illness. The changes may origin from the collection and use of medical data. Considering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her political system, China can easily build up big data. Moreover, Chinese government considers personal information as not personal property but governmental strategic asset, and it is possible to collect biometric and genetic information forcibly in China. These features make the differences from situations in Korea. In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vides national medical benefits to all people and accumulates huge amount of health data. However, data which are owned by public area are used exclusively and monopolistically for public purposes by public sectors. Accordingly, government is required to increas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health data. The use of personal health data will inevitably conflict with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China, based on the law, people can access and use of health data owned by public as well as private sectors for the public purposes. Currently, Korean government supports sharing informative data and considers active policy for it. For that, it is recommended to make more positive and active legislative measures for using and sharing health data. Also it is required to provide more strong protec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in order to dispel worries about the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빅데이터 알고리즘과 생체 인식 센서가 의학 분야를 완전히 변화시킬 것이며 의학의 개념도 병을 고치는 것에서 점진적인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혁명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예측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근간에는 의료데이터의 수집과 이용이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다. 중국은 인구수와 사회주의 정치체제를 고려할 때 그 어떤 나라보다 용이하게 의료 빅데이터의 구축이 가능하다. 더욱이 중국정부는 개인정보를 국민의 소유가 아닌 국가가 소유하는 일종의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다양한 생체정보 및 유전정보를 강제로 수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서의 개인정보보호와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운영을 통하여 전 국민이 건강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방대한 보건의료 데이터를 생성 및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같이 공공부문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도 공개가 제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데이터 공급자를 중심으로 폐쇄적, 독점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국가차원에서 보건의료 데이터에의 접근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건의료 데이터의 적극적 활용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으며, 중국도 이와 유사하게 건강 의료 빅데이터 활용의 발전 촉진 및 규범화에 관한 지도의견을 만들어 이용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2020년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가명처리한 경우에 엄격한 조건하에서 원칙적으로 의료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우리법과 중국법과의 차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기관이 보유한 의료정보의 경우에는 공유와 활용이 가능하지만 개인 즉 의료기관이 보유한 의료정보의 경우에는 접근성이 매우 제한되는 반면 중국에서는 의료위생기관이 보유한 의료위생정보는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기관이 공립인지 사립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의료정보의 이용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합법적 범위에서 의료정보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정부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정보의 오류나 왜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 명칭과 로고의 상표권 보호

        육소영 충남대학교 세종지적재산권연구소 2023 The Journal of Law & IP Vol.13 No.2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trademarks in relation to the marketing of products or services has begun to emerge in Korea, trademark protection of university names or logos is receiving attention. The number of universities registering their names or logos as trademarks for education or education-related services is increasing, and disputes surrounding these are also being reported. Moreover, through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merican University decisions, the Supreme Court also ruled that if a new concept is formed through the use of a university name without distinctiveness, its inherent distinctiveness is recognized and the registration with unused products or services is possible. Accordingl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s trademark examination guideline also established a standard under which a university name may be judged to have inherent distinctiveness by forming a new concept through use, even though it has no inherent distinctiveness at the beginning. In the United States, trademark programs for university names and logos have been operated for a long time and are known to generate significant profits through them. In response to this foreign trend, in Korea, some well-known universities,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are managing registered trademarks by establishing trademark management regulations or guidelines. However, the trademark regulations and guidelines of Korean universities are focused on commercialization through licensing trademarks and have less concern about maintaining trademark integrity. Even in the United States, disputes over university trademark use are not widely known. In relation to the use of university trademarks, it appears that the problems has been resolved to some extent since the initial dispute with Champion, and it is difficult to find many disputes with school-related parties such as graduates. Additionally, the issues were mainly related to alumni association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cases related with individual graduates. Even in Korea, it is difficult to find trademark infringement surrounding university trademarks. Therefore, controversies surrounding university trademarks, such as issues regarding trademark use by graduates, need to become clearer through future courts' ruling.

      • KCI등재

        의료정보의 공유가능성에 대한 법적 검토 - 미국, 프랑스,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

        육소영,양대승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22 IT와 법 연구 Vol.- No.25

        Medical service is one of critical elements for human life. Many people in Korea still seek most health related information(a.k.a. health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may be the inclusive concept of medic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t is not clear whether the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s provided by doctors or other medical personnel and whether such information is correct. With the sharing system, the society is more prosperous and economic inequality can be relieved. However, due to the some economic aspect of the sharing system, people are reluctant to use the sharing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Moreover, health information raises serious issues surrounding privacy protection. Accordingly, people hesitate to share health information or healthcare data even for the non-profit purpose. This article reviews whether sharing health information is feasible for the non-profit purpose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use the sharing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based on U.S., French and E.U. laws. In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 Health Insurance Information Transfer and Accountability Act (HIPAA) and the Federal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for Economic and Clinical Health Act (HITECH) are responsible for the protection of health information. HIPAA focuses on medical fraud, administrative simplification, and computer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and recognizes the need to maintain strict privacy protection for health information. In France, the Public Health Act imposes the dut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n medical service providers, and the Data Act applies to the sharing of health information for research purposes. Personal data protection in the European Union is governed by the GDPR, which in principle prohibits processing personal health data, but exceptions are recognized. In accordance with the GDPR,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mus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legality, fairness, transparency, data minimization, accuracy, the limitation of the storage period,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HIPAA does not prohibit the cross-border transfer of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if the requirements of HIPAA are met. However, because of the reporting obligation to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it is common to include contractual restrictions or prohibitions on cross-border transfer in the U.S. In France, as a member of the EU, the EU's GDPR applies directly, and as a national law, Law No. 78-17 (French Data Protection Law) applies. In the European Union, cross-border transfer of private data is regulated in dividing into transfers to EU member states and transfers to non-EU countries. For transfers within the European Union, the GDPR imposes no additional requirements beyond the direct application of the GDPR. For transfers to non-EU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compliance of GDPR, decision on the appropriateness by the Commission is required. If not, the contract must provide an additional guarantee.

      • KCI등재

        오라클과 구글의 저작권 분쟁과 산업계의 영향

        육소영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21 IT와 법 연구 Vol.0 No.22

        이 논문에서는 구글이 개발한 안드로이드에서 오라클이 소유하고 있는 JAVA API를 사용한 것에 대한 저작권침해 분쟁을 다루고 있다. 오라클이 JAVA 프로그램의 소유자였던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를 인수하면서 시작된 이 분쟁은 10년간 미국 연방지방법원과 순회항소법원을 오가며 공방을 계속하고 있다. 이 사건은 현재 미국 연방대법원에 계류 중이며 2021년 6월 최종 판결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는 하드웨어 제조를 주사업으로 하는 회사로서 자신들이 제조한 하드웨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인 JAVA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든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인 GNU GPL(일반공중라이선스)에 따라 사용을 허락해왔다. 이 라이선스의 핵심적인 내용은 이 라이선스 하에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작한 자는 그 파생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같은 GNU GPL을 인정해야 한다. 구글은 오라클의 동의 없이 37개 JAVA API를 복제하였고 오라클은 연방지방법원에 저작권침해소송을 제기하였다. 연방지방법원은 침해를 인정하였으며, 항소심법원도 침해를 인정하였으나 공정이용이 성립되는지를 하급심이 판단하지 않았음을 지적하면서 하급심으로 사건을 파기환송하였다. 이에 구글은 상고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하급심은 다시 API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는 저작물임을 확인하였지만 공정이용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항소심법원은 하급심의 공정이용 인정을 번복하고 공정이용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구글은 상고하였고 대법원은 상고를 받아들였다. 2020년 10월 처음 열린 구두심리에서 대법관들은 JAVA API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는 저작물인지와 공정이용 판단기준이라는 두 가지 점에 주목하였다. 대법관들은 특히 합체의 원칙, 아이디어-표현 이분법의 해석과 공정이용의 판단기준 중 변형적 이용에 대한 질의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대법관들의 경향과 대법원에 제출된 이해관계자들 특히 대학교수들의 의견서를 분석해 볼 때 대법관들이 구글의 주장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컴퓨터프로그램과 같은 기능적 저작물의 보호범위는 매우 협소하다고 해석해 온 선례들과 저작권의 보호범위를 폭넓게 인정했을 때 산업계에 미칠 영향력 등을 고려할 때 더욱이 그러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비교광고, 경쟁 그리고 상표

        육소영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Statement of Policy Regarding Comparative Advertising declared by U.S. FTC defines comparative advertising as advertising that compares alternative brands on objectively measurable attributes or price, and identifies the alternative brand by name, illustration or other distinctive information. Advertisement must convey information of product to consumers and comparative advertisement can enhance this informational function and make creative advertisement possible. Despite that, comparative advertising has been rarely used because it can be regulated as unfair competition and there is no clarity between unfair and fair comparative advertisem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since comparative advertising was permitted in 1970s, i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U.S.A, but in Korea, still comparative advertising is rarely used due to the risk of unfairness. In the U.S., unfair-untruthful and misleading-comparative advertisement is not protected, but social atmosphere and recognition of freedom of speech can be attributed to active use of comparative advertisement. However, the opinions and cases where comparative advertising raises competition as well as trademark issues have appeared. Legislation of trademark dilution protection expanded such possibility. When comparative advertising blurs and tarnishes reputation of famous mark, dilution can be established. In the U.S, fair comparative advertising is excluded from dilution under Lanham Act and does not also establish trademark dilution under Korean law. However, in Deere case, U.S. circuit court decided that if alternation of a trademark in comparative advertising made negative image to the trademark, dilution by tarnishment could be established. Even though some later cases gave negative opinions to Deere , there is still possibility for alternation of a trademark to establish trademark dilution in comparative advertising. However, the more strictly comparative advertising is regulated, the less comparative advertising will be used. Therefore, considering positive aspects of comparative advertising, a clear standard for fair comparative advertising must be presented to facilitate the use of comparative advertising. 미국은 1979년 연방무역위원회가 공표한 비교광고에 관한 정책에서 비교광고를 정의하면 서 광범위하게 비교광고를 허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비교광 고에 대하여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한국도 그런 국가 중에 하나이다. 비교광고는 광고가 경쟁을 위한 매체라는 점에서 주로 경쟁법의 적용대상이 되어 왔으며 상징성이 높은 상표가 광고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상표법의 적용도 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경쟁법이라고 할 수 있는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서 부당하게 비 교하지 않는 비교광고를 법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를 구체화하여 비교표시⋅광고에 관한 심사지침에서는 부당하게 비교하지 않는 비교광고에 관한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미 국에서도 경쟁법인 연방무역위원회법에 비교광고에 관한 직접적인 조항을 두고 있지는 않지 만 비교광고에 적용될 수 있는 부정경쟁행위 및 부당광고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또한 비교광고는 상표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상표의 기능 중 하나로서 광고선전기능을 들 수 있으며, 상표는 그 높은 상징성으로 인하여 광고의 주요 수단이 되고 있다. 상표법의 규제대상이 상표권 침해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정당한 권리자가 아닌 자가 상표를 사용함으 로 인하여 출처에 대한 소비자의 오인, 혼동을 야기하여야 한다. 그러나 비교광고에서는 정당 한 상표권자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표가 사용되기 때문에 출처에 혼동을 야기하지 않아 상표 권 침해가 성립되기 어렵다. 그런데 희석화가 상표보호에 도입되면서 주지, 저명상표의 경우 소비자의 오인, 혼동이 야기되지 않는 경우에도 식별력 약화나 명성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 희석화로서 상표권의 침해를 인정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상표권자의 허락 없이 비교광고에 상표를 사용한 경우에 희석화가 성립될 수 있는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입법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우리 상표법에서는 비교광고에서의 사용이 희석화에 대한 예외로서 인정되는지가 명확하지 않지만 공정한 상거래 관행에 따른 사용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부당하게 비교하는”이라는 요건에 대한 부담감으로 비교광고의 사용을 부담스러워 하는 사회분위기를 변화시키고 비교광고의 정보전달적인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좀 더 입법적으로 정당한 비교광고의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