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어(論語)』 `계로문사귀신(季路問事鬼神)`장(章)에 관한 연구

        유흔우 ( Heun Woo-yoo ) 한국공자학회 2016 공자학 Vol.31 No.-

        이 논문은 『論語』 『先進』 `季路問事鬼神`章(『11ㆍ12』)에 대한 역대 주석서들의 분석을 통하여 孔子의 자각적인 생사관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11ㆍ12』 는 季路(子路)가 鬼神을 섬기는 것에 대해 묻자 孔子가 “사람을 섬기지 못하는데, 어떻게 귀신을 섬기겠는?”『(未能事人, 焉能事鬼?』)라고 反問하고, 또 계로가 죽음(死)에 대해 묻자 “삶을 아직 모르는데, 어떻게 죽음을 알겠는가?”(未知生, 焉知死?)라고 反問한 것이다. 孔子의 이러한 변명(apology)은 이후 孔子 및 儒家가 鬼神存在와 死後를 회의하거나 부정하기 때문에 生을 주로 담론하고 死에 대해서는 보류하고 논하지 않는다(存而不論)는 인상을 심어주게 되었다. 하지만 『논어』에서 공자는 生보다 死를 두 배나 더 말하고 있다. 공자가 귀신의 존재를 긍정했다는 주장은 공자가 사후 세계를 존재론적으로 인정했다는 말이다. 사후 세계를 인정하는 경우 죽음은 삶의 최종적인 결론이 아니라 또 다른 성장을 위한 과정이나 단계에 불과하게 된다. 하지만 이것은 孔子가 子路에게 反問으로 대답한 眞意라고 보기 어렵다. 사실 귀신존재 문제에 대한 공자의 태도는 회의론·불가지론·부정론·긍정론 등이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공자는 괴이함과 용력과 반란과 귀신을 말하지 않았다.”(『7 21』) 귀신을 말하지 않았다는 것은 귀신 존재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않았다는 말이다.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 것이 반드시 회의론이나 불가지론이 되는 것은 아니다. 王夫之는 기존의 주석가들이 모두 生死개념을 잘못 파악하였다고 말하면서, `生`은 `죽기 이전을 통 털어 말하는 것`(未死以前統謂之生)이고, `死`는 `삶의 끝`(生之終)이라고 한다. 趙佑는 자로가 `죽음에 처하는 마땅함`(處死之當)에 대해 물은 것이라고 한다. 필자는 王夫之와 趙佑의 生死해석이 孔子의 진의에 가장 잘 부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孔子및 儒家에서 `죽음`은 삶의 영원한 정지를 의미한다. 孔子가 子路에게 반문한 것은 인생에서 `끝(終)`이 있음을 상기시킨 것이다. 이는 공자가 죽음을 사실 차원의 문제에서 바라본 것이 아니라 의미 차원에서 사색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반드시 죽을 수밖에 없다는 필연성, 얼마나 살지 모른다는 가변성,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예측불가능성, 어디서 어떻게 죽을지 모른다는 편재성 등등은 죽음의 內包性이다. 이러한 죽음의 내포로 인해 불안과 공포, 그리고 허무가 발생하게 될 수도 있지만 儒家는 인생에 `끝`이 있다는 의식을 지속적으로 상기하면 오히려 인생에 대한 강렬한 使命과 노력의 충실성을 적극적으로 촉구시킬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孔子의 自覺的生死觀에서 촉발된 것이다. 유가는 이로부터 `죽음`을 `편안함(安)` 또는 `休息`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이러한 죽음관은 죽음이 `끝`, 즉 육체와 정신 모두의 완전한 소멸을 의미한다는 물리주의의 죽음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죽음관은 善生(well-being)을 통해서 善死(well-dying)를 확보하고, 善死는 또 다른 新生을 위한 과정이 아니라 바로 善終(well-ending)을 의미한다는 생사관이라 할 수 있고, 합리적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모두 그렇다고 동의할 수 있는 合意的인 관점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hapter 12 `Jih-lu and celestial and eternity spirits` in the Analets and focuses on the ideas of `life and deaths` in Confucianism. Briefly summarizing, Chapter 12 contains the answers of Confucius for the questions by Jih-Lu: Jih-Lu asked back to Confucius "Before you have learned to serve human beings, how can you serve earthly spirits": And Confucius answers it as "When you do not know Life yet, how can you know about death?. This apology of Confucius (and Confucianism) gave us an impression that Confucianism barely discusses the matter of Death, but focuses only on the matters of Life. However, in fact in Analects, the matters of Death are mentioned more than double Life is mentioned. Some scholars argue that Confucius has been agreed with the existence of the celestial spirits, and this can be taken to be the statements as Confucius recognizes the existence of the after world. If this is true, the death is not the endpoint of Life: Instead, it is a course for the next. It is possible to interpret Confucius`answer towards Death in multiple ways. However, if we take his statements such as "These things the Master did not speak of: anomalies, prodigies, disorder and spirits" seriously, we can realize that Confucius doesn`t agree or disagree for the existence of the celestial spirits. Henceforth, his answer cannot be taken as the denial of the celestial spirits. Wang-Fuzhi said that the scholars misinterpret the life and death view of Confucius and he state that Life states the course of Life before Death, and Death is the end of Life. Zhao-You then interprets Jih-Lu`s question as his inquiries for the rightful death. I will take these two views seriously, and will interpret the Chapter 12 as follows: For Confucianism, Death means "To cease permanently to be alive". Henceforth Confucius`s answer to Jih-lu`s questions emphatizes the ending of Life. In other words, what is intended in Confucius`s answer is to point out the meaning of Death. Here Death connotates the unavoidable death, uncertainty of the life and death. Such uncertainties inspires fear and vanity. However Confucius provides views of life and death here as the recognizing the ending can be a motivation to makes us to put efforts on the matters of Life. From this Confucius can take Death as comfort or rest. Such view on death is in line with the arguments of physicalism, which argues that Death means the end of bodies and spirits. I took such view and wrote this article, and crucially argue that the course of finding well-dying from well-being is important. This can be summarized as "Well-ending", and it is reasonable and agreeable view on the matters of Life.

      • KCI등재

        투고논문 : 여헌(旅軒) 『역학도설(易學圖說)』의 역서관(易書觀)에 관한 연구

        유흔우 ( Heun Woo Yoo )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이 논문은 여헌의 『역학도설(易學圖說)』이 가지고 있는 역서관(易書觀)을 연구한 것이다. 여헌의 역서관은 "역서천지모상설(易書天地模像說)"로 요약할 수 있다. 거기에는 두 가지 함의가 포함되어 있는데, 하나는 『주역』의 괘효(卦爻)가 천지(天地)·만변(萬變)·만사(萬事)·만물(萬物)이 존재하는 "원인(原因)"과 변화의 "이치(理)"를 모상(模像)한 것이기 때문에 천지·만변·만사·만물의 도리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다른 하나는 『주역』을 통해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천지·만변·만사·만물을 안다는 의미이다. 여헌은 특히 이 후자를 "사업(事業)"이라고 하는데, 그의 『역학도설』은 그 "사업"의 일환으로 편찬된 것이었다. 여헌의 역서관에는 『역전(易傳)』의 인식론과 방법론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있는데, 여헌은 특히 "원인(故)과 이치(理)의 결합", "일반(一般)과 개별(個別)의 통일", "유장(類長)"을 중시한다. 그 과정에서 일종의 감성인식이라고 할 수 있는 "관찰(觀察)"과 유비추리(類比推理)에서의 연역법(演繹法)을 중시하고 있다. 여헌은 이상과 같은 역서관과 사유 방식에 따라 『역학도설』을 『주역』의 발생론(發生論), 부호론(符號論), 사론(辭論), 대전론(大傳論), 역학론(易學論) 등등뿐만 아니라 음율(音律), 역법(曆法), 천문지리(天文地理), 의학(醫學), 수학(數學) 등등까지를 모두 망라하는 책으로 만들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그의 "역도일원모형론(易道一原模型論)"의 전형을 찾아 볼 수 있다. 여헌의 역서관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모형론(模型論)적 역학관(易學觀)이 가지고 있는 특징의 일단을 엿볼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Chang Hyungwang`s viewpoint on the book of "Changes(『易』)",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His viewpoint presented in his work,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can be briefly described as the opinion that the book of "Changes(『易』)" is a model of the sky and the earth, represented as nature(易書天地模像說). His opinion has two important meaning. On the one hand, this implies that the hexagrams in the book of "Changes(『易』)" are entirely covered and accordant with the principles of nature. This implication can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hexagrams of "Changes(『易』)" are the symbols to imitate truly the images of nature, including the fundamental causes and reasons for all the existence and various changes in nature. On the other hand, this viewpoint means that the book of "Changes(『易』)" is the effective materials to get the knowledge of nature in the epistemological sense. Chang Hyungwang put an emphasis on the latter meaning so that he called the study on "Changes(『易』)" as `Task(事業)`. His work,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is the one of `Task(事業)` planed from his point of view. A sort of epistemological thoughts and methodology of "Changes(『易』)" is synthetically reflected in his specific view on "Changes(『易』)", focusing on the combination of cause and reason, the unity of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and so on. In the course of examination, he regarded the observation and the deductive reasoning by analogy as an important part for studying "Changes(『易』)". Accroding to his viewpoint of "Changes(『易』)", Chang Hyungwang wrote his book,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as a sort of encyclopedia exhaustively encompassed most of the existing sources of traditional thoughts in "Change", including the origins of "Change", the theories of symbols, the studies of explanations in the hexagrams of "Changes(『易』)", the methodological study of "Changes(『易』)" as well as other categories of studies, that are musicology, astronomy, oriental medicine and so on. From this feature in his book, he seriously thoughts that the truth in "Change" could be united as the one for every different principles in all the area of natur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易』)", analyzing his viewpoint in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모종삼의 칸트 철학과 유학 비교

        유흔우 ( Heun Woo Yoo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이 논문은 모종삼의 "도덕적 형이상학"에 나타나 있는 칸트철학과 유가철학의 비교를 살펴본 것이다. 모종삼은 "도덕적 형이상학"과 "도덕의 형이상학"을 구분하고, 칸트의 철학은 "도덕의 형이상학"에 속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도덕적 신학"이며, 이는 유가철학의 도덕적 형이상학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한다. 모종삼은 칸트 또한 본래는 "도덕적 형이상학"의 건립을 철학의 목적으로 하였으나, 그는 "자유의지 자체의 객관존재상의 절대 필연성이 어떻게 가능한가"와 "순수실천이성이 어떻게 그 자체로 실천적일 수 있는가"라는 두 가지 문제에 대답을 하지 못함으로써 그것을 이룰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칸트가 이를 이룰 수 없었던 것은 `도덕이성`의 정확한 함의에 대해 잘못 판단한 것과 양지(실천이성, 도덕이성)가 바로 사람의 본성(性)과 본심(本心)임을 파악하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 모종삼이 말한 `실천이성`(양지)은 도덕실체인 동시에 우주의 본체이고 `지의 직각`의 `드러남`이다. 칸트는 `지의 직각`이 하느님에게만 가능하다고 하여 결국 인간을 유한한 존재로 파악하고 말았기 때문에 "도덕적 형이상학"을 건립할 수 없었다. 모종삼에 의하면, 이것이 칸트철학의 최대 약점이다. 양지는 한편으로 자기부정을 통해 칸트가 말한 `인식주체`를 건립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의 직각`을 드러냄으로써 성인(聖人)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유가철학은 칸트철학보다 뛰어나며, 모종삼은 칸트가 말한 것이 철학이라면 이것도 덕을 이루는 유가의 가르침(成德之敎)이 극복한 철학이라고 한다. 모종삼의 칸트철학과 유가철학의 비교는 결국 `유가철학의 우수성`을 확인하려는 것이었지만, 칸트철학을 통해 유가철학의 부족한 점, 즉 `과학`과 `민주`를 가능하게 하는 `지성주체`를 보충하려 했다는 의의는 갖는다. 하지만 모종삼의 이러한 견해는 여전히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과학적 세계관의 도전을 너무 쉽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과학적 세계관이란 물리주의라는 존재론적 논제와 인과주의라는 방법론적 논제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만약 이러한 세계관이 참이라면, 그것이 함축하는 바는 인간은 자유 존재가 아니며, 따라서 인간이 해야만 하는 도덕적 당위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도덕적 세계관을 가진 이들에게 과학적 세계관은 지성적 도전인 동시에 장애이다. 그래서 칸트는 과학적 세계관에 제한을 가하려고 했다고 말할 수 있다. 모종삼의 말대로, 칸트는 과학을 현상계에, 그리고 도덕을 본체계에 놓는다. 이럼으로써 과학과 도덕, 혹은 현상과 실재의 이분법이 성립한다. 이러한 이분법의 대가가 과학과 현상의 영역에서 필연적이고 보편적 지식이 성립하지만, 도덕과 실재의 영역에서는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철학적 지식, 혹은 형이상학적 지식을 포기해야 한다. 모종삼의 "도덕적 형이상학"은 바로 이 지점을 파고든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comparison of Kant and Confucianism described in Mou Zongsan`s theory of moral metaphysics. Mou has distinguished the `道德底形上學(Metaphysics of morals)` from the `道德的形上學(Moral Metaphysics)`, and insisted that Kant`s philosophy could be understood not as a moral metaphysics but a metaphysics of morals and so it originally belongs to a `moral theology`. Therefore he has criticized Kan`s philosophy cannot be reached to Metaphysics of morals of Confucian philosophy. According to Mou, Kant has also aimed to establish a `metaphysics of morals`. but he has failed at it because he could not answered the next two questions; `How is it possible the absolute necessity of objective free-will itself?` and `How the pure practical reason can be practical in-itself?` To answer these questions, Kant has had to judge correctly the real meaning of `moral reason`, and so he has not considered the `Liang-zhi(良知)` as the human nature(Xing, 性) and the true mind(Ben-xin, 本心). To Mou, the practical reason is `Liang-zhi(良知)`. And it is moral substance and true substance of cosmos at the same time, and also emergence of intuitive cognitions. But Kant assumed that the intuitive cognition can be only by God, because those faculty is not possible to finite being like human. Therefore the metaphysics of morals could not be established by Kant, and this is the weakest point of his philosophy. But `Liang-zhi(良知)` can be not only a foundation of cognitive subject like Kant, but also a possible ground to be a Sage(Sheng-ren, 聖人) to man. Mou`s comparison of Kant`s philosophy with Confucian philosophy was to expose the excellency of confucian philosophy, but it was also an attempt to supply the weakness of confucian philosophy to an attack of the western scientism and democracy to confucian intellectual subjects through his criticism of Kant`s philosophy. But this attempt also has weakness its own. Because he understand these attack too superficial. The main point of western scientific world-view is grounded on the physicism and causality, and this is the main reason of giving limitation to human freedom. In this view, the moral `ought to` is impossible. And Kant`s attempt was to limit the western scientism. In this way, the science is limited in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moral is located in the noumenal world. Mou`s attempt was to get into the gab of this dualism constructed with the phenomenal and noumenal world. And it was the `metaphysics of morals`, not the `moral metaphysics`.

      • KCI등재

        旅軒 張顯光 易學 研究의 성찰과 전망

        유흔우(Yoo Heun Woo) 한국인물사연구소 2010 한국인물사연구 Vol.14 No.-

        The study on the thoughts in the book of "Change"(『易』) is the one consistent in the courses of learning that Chang hyungwang had carried on from beginning to end. In his youth, he determined that the study on thoughts in "Change"(『易』) is supposed to be one of the best tasks to devote himself above all, considering his ultimate goal of learning as becoming a best man in the world through the study of "Change"(『易』). This is the reason why he compiled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易學圖說』), a sort of encyclopedia that the existing sources of traditional thoughts in "Change" are arranged in. On the firm basis of its work, he wrote "A theory on nature and reason"(『性理說』), stating with his creative thoughts. In order to examine his thoughts more accurately and professionally,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reflect carefully on the contents and the thoughts in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易學圖說』). However, there are several difficulties that we cannot go easily on this approach. These difficulties can be presented as three points of views. Firstly, this book of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易學圖說』) has massive materials and contents about thoughts in "Change"(『易』). Secondly, this book is organized with two main categories, diagrams and their explanations. Thirdly, this book is compiled by Chang hyungwang with many resources from existing materials, but it is not a creative work by him in his own words. These above facts make scholars difficult to approach the thoughts of Chang hyungwang on "Change"(『易』). Above all, third problem has especially brought up serious obstacle to people who try to find out the originality of his thoughts. Thus, some scholars has often made a choice to interpret the correlation of features in "Change"(『易』)" with his concepts and thoughts ill nee-confucianism, However, changing our way of thinking into sorts of viewpoints in natural science, third problem couldn’t bother any more. Considering that it cannot help focusing on the close examination in the book of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易學圖說』) in order to understand Chang hyungwang's ideas and thoughts better, it is very reasonable and necessary to overcome those difficulties the book has. One of aspects shows its solution. When contemplating his way of collecting its resources and contents for this book, it is clear for us to know that the resources was not just listed without any intention, but meticulously selected with his deep and critical concern. There was his own strict criteria to stand for Neo-Confucianism’s ideas on "Change"(『易』). This fact proves thoroughly that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易學圖說』) cannot be classified simply as encyclopedia, but it can be evaluated more than it. Therefore, a reliable way of examining Chang hyungwang’s ideas in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易學圖說』) should be driven into the close examination on his peculiar criteria for the purpose of revealing the unequaled features in his thoughts. This paper aims at placing this examining way on a firm base with possible methodology.

      • KCI등재

        백서(帛書)『주역(周易)』 『역전(易傳)』의 괘기설(卦氣說)에 관한 연구

        천승민 ( Cheon Seung Min ),유흔우 ( Yoo Heun Woo ) 한국공자학회 2017 공자학 Vol.32 No.-

        이 논문은 帛書『易傳』에서 卦氣로써 『易經』을 해석한 사례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힌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卦氣說에서의 “卦”는 『주역』의 64卦를 가리키고 “氣”는 節氣와 陰陽二氣를 가리키는 이중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괘기설은 漢易의 기본학설로써 孟喜에게서 시작되어 焦?·京房에서 크게 드러나고 『易緯』에서 심화되었으며, 東漢의 馬融·荀爽·鄭玄등에서 흥기되어 虞飜에서 극치를 이루었고, 明末淸初의 遺老黃宗羲에서 완성된것으로 말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반적인 견해는 괘기설에 趨時變易을 중심으로 하는 四象卦氣, 즉 四時卦氣와 陰陽災異등을 점치는데 치중하는 易卦節氣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지만 구분되는 두 가지 괘기설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백서 『역전』의 卦氣說은 卦時說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四時卦氣說의 실질적인 起源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괘기설이 孟喜·京房으로부터 비로소 시작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백서 『역전』의 괘기설을 분석하는 작업은 괘기설이 董仲舒의 讖緯神學을 공고히 하는데 이용되고 점치는데 사용되었다는 일반적 견해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마련해 준다. 백서 『역전』의 괘기설은 일종의 우주관에 관한 중국 고대의 학설로써 “時”의 관념을 핵심으로 한다. 백서 『역전』의 괘기설은 天道를 추측하여 人事를 밝히고자 하는 易學古法과 일치하는 것으로써 天道의 人文化를 대표하는 것이라고 말해도 무방하다. 괘기설의 기원 문제나 정의의 문제는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논란을 정리하는 데서도 일정 정도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s Gua-qi theory(a theory elucid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easonal points and lines of the hexagrams) of Pre-Chin`s Yi learning(先秦易學) by analyzing Yi Ching as Gua-qi(卦氣) in Yi Zhuan(易傳) in Silk Manuscripts(帛書). `Gua(卦)` in Gua-qi theory refers to 64gua(卦) of Yi Ching and `qi (氣)` has a dual meaning to refer to the twenty-four seasonal divisions(節氣) and Yin and Yan(陰陽). Gua-qi theory is a basic theory expounded by experts at Yi of the Han Dynasty from the approach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Championed by MENG Xi (孟喜), brightened by JIAO Gan(焦?) and JING Fang(京房), deepened by Yi Wei(易緯), expanded by MA Rong(馬融), XUN Shuang(荀爽), and ZHENG Xuan(鄭玄), and culminated by YU Fan(虞飜), this theory manifested related Yi learning experts` cosmic as well as ultimate humanistic concern. What discussed in this article shows that the Gua-qi theory was used as the main Yi-Ching interpretation method in Yi Zhuan in Silk Manuscripts, not by MENG Xi and JING Fang. And Gua-qi theory in Yi Zhuan in Silk Manuscripts were the core of the notion of `time(時)` as an ancient Chinese doctrine of a kind of cosmic unlike the Han Dynasty, which was a kind of prophetic-mixed divinity that fused the mixing of Yin and Yan disasters theory. In the six types of Yi Zhuan in Silk Manuscripts, the word `Gua-qi` is not used. However, the Gua-qi theory has already been revealed in the Yi Ching interpretation, and it was an important interpretation `method` of Pre-Chin`s Xiang Shu Yi Learning(先秦象 數易學) to make man`s work clear by reasoning of the heavenly way. It can be said that this `method` was for the humanism of the heavenly way, and it was the preparation of the Gua-qi theory which was the mainstream of Xiang Shu in Han Yi Lear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