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정책의 연구 동향

        유혜린(Hyeryn Yu),이정화(Jeonghwa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정책연구는 다양한 지식을 이용해 이론과 실제의 괴리를 좁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어떤 분야에서든 정책 연구의 활성화는 해당 분야의 더 나은 정책 수립 및 정책으로 인한 삶의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유아교육과 보육 분야에서 정책을 주제로 한 연구는 타 주제에 비해 관심도가 낮기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수행된 정책연구의 동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정책 연구의 활성화를 제안하고 나아가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정책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2011년까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연구의 대상과 분석 기준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발간된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정책 관련 학술논문 121편이다. 연구자들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 수행 연도와 영역, 연구주제, 연구방법이라는 분석 틀을 만들었고 이 준거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정책 관련 연구는 여전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가운데 보육정책 관련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정책의 현황과 효과, 인식, 담론,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었다. 다만 보육정책 영역에서는 보육과정 정책에 대한 관심이, 유아교육정책 영역에서는 재정정책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영역 모두에서 특별한 요구를 갖는 아동, 예를 들면, 빈곤층 아동, 다문화가정의 아동, 장애 아동 등을 위한 정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문헌 고찰의 비중이 높으나 양적연구와 혼합연구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최근에 활성화되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이나 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정책 분석 등도 시도되고 있었다. 이는 유아교육정책 및 보육정책을 통합적, 다각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는 시도로 향후 더욱 활성화될 수 있기를 제안하였다. Policy research aims to solve social problems by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using various knowledge. Therefore, revitalization of policy research in any field can promote better policy establishment in the field and change of life due to policy. However, research on polic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has less interest than other topics, so this study suggests vitalization of policy research by analyzing the trends of policy research conducted over the past 10 years, and furthermore, explores a alternative direction of policy research. It was intended to explore a new direction of policy and early childhood care policy research.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ers selected the research subject and analysis criteria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trends of policy research up to 2011.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21 academic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childcare policy published from 2012 to 2021. For the analyses the authors set the analysis criteria of the publication year, area of the study,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ize the trend of the research which 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121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is criteria.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policy-related research is still not actively conducted, childcare policy-related research occupies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Second, it was observed that a various sub-themes of policy research were covered such as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effects of policies, perception, discourse, and network analysis. In particular, there was a lack of interest in policy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both areas fore example, children from the po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with disabilities, etc.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literature review was high, but quantitative and mixed studies increased. Recently, the methods using big data analysis and analysis with theoretical models were also tried. This is an attempt to analyz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in an integrated and multi-faceted way, suggesting that it must be further activ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과 타당화

        유혜린(HyeRyn Yu),이정화(Jeonghwa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 유아교사와 유아교육기관 관리자 대상 Focus Group Interview,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유아교사 342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문헌고찰과 FGI를 통해 개발된 척도 시안(7개 요인 32개 문항)의 문항양호도를 살펴본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6개 요인이 도출되어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 척도는 6개 요인, 29개 문항으로 확정하였으며, 신뢰도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공인타당도, 예언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신뢰도 분석을 통해 본 척도가 신뢰로운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 척도는 인지크래프팅, 교육과정 계획 크래프팅, 교육과정 운영 크래프팅, 유아 관계 크래프팅, 동료 교사 관계 크래프팅, 부모 관계 크래프팅의 6요인 29개 문항, 5점 평정형 척도로 구성되었다. 결론 본 척도는 유아교사들이 자신의 잡 크래프팅을 자가평가하고 잡 크래프팅을 하기 위한 예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다양한 여러 실증연구에 활용되어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을 향상하기 위한 개인⋅조직⋅국가적 차원의 지원 방안이 모색되길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Job Crafting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is possible to measure job crafting perform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ind the value and meaning of their jobs and work. Methods To develop the job crafting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with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tent validity, and preliminary survey of 203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developed scale, 342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Results The final Job Crafting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is a 5-point Likert scale which consists of 29 items of 6 factors including Cognitive crafting (5 items), Curriculum planning crafting (4 items), Curriculum implementing crafting (8 items), Child relational crafting (4 items), Teacher relational crafting (4 items), and Parental relational crafting (4 items). Conclusions This scale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n examp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elf-evaluate their own job crafting and practice job crafting. In addition, we hope that it will be used in various empirical studies to find support measures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levels to improve the Job Craft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IPA 기법으로 들여다본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정화(Lee Jeonghwa),유혜린(Yu Hyery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이란 교사와 유아가 교육 현장에서 서로 관계를 맺고 영향을 주고받는 모든 과정과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영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얻는 양질의 경험들은 대부분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은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매우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PA 기법을 이용해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이는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더 나은 교사-유아 상호작용 실제를 도모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실제적 방향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의 만 3~5세 담임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이정숙(2003)이 개발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7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IP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척도의 30개 문항 중 13개 문항이 1사분면에 위치하여 지속유지 문항으로 나타났고, 7개 문항이 2사분면에 위치하여 집중개선 문항, 또 다른 7개 문항이 3사분면에 위치하여 점진개선 문항, 나머지 3개 문항이 4사분면에 위치하여 과잉지향 문항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정리하였고, 특히 집중개선이 필요한 문항과 점진개선이 필요한 문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이들의 인식과 실행 정도를 확인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점검하여 향후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eacher-child interaction can be said to be all processes and methods in which teachers and children related and influence each other in educational settings. Since most of the high-quality experiences the children get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re achieved through teacher-child interaction, it can be seen that teacher-child interaction is an essential variable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IPA technique.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expected to provide specific and practical directions for w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a perception surve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developed by Jeong-sook Lee(2003) was conducted on 455 teachers working for 3-5 years old children in kindergartens located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IPA method using SPSS v. 27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30 item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scale, 13 items wer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and were found to be continuous maintenance items, 7 items were located in the second quadrant and were identified as intensive improvement items. Another 7 items were located in the third quadrant and were interpreted as gradual improvement items. The remaining 3 items were located in the fourth quadrant and were observed as over-oriented items. We especially discussed the items requiring intensive and gradual improvement and suggest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two kinds of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