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학령기 어휘취약아동 및 또래 아동의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능력과의 관계

        유지원(Jeewon Yoo),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다양한 언어장애 집단의 집행기능과 언어능력과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으나, 어휘지체 아동의 집행기능과 언어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일반아동과 어휘취약 아동의 집행기능을 비교하고 집행기능의 3가지 구성요소와 읽기 및 어휘를 포함한 언어능력과의 연결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7-9세의 어휘취약 아동(15명)과 일반아동(20 명)을 대상으로 작업기억 억제능력 전환능력을 포함한 언어적/비언어적 집행기능 과제를 실시하고, 규준화된 어휘와 읽기 과제를 시행 하였다. 결과: 일반아동은 digit n-back 과제에서 어휘취약 아동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나머지 집행기능 과제에서는 두 그룹이 비슷한 수행능력을 보였다. 일반아동은 언어적 작업기억과 어휘 및 읽기능력 사이에 그리고 전환능력과 어휘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 계가 관찰된 반면, 어휘지체 아동들에게서는 이러한 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 결과는 두 그룹 사이에 집행기능과 언어능력 사이에 다른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즉, 일반아동의 경우에만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와 같은 언어능력 사이에 긴밀한 연결관계를 보여주며, 어휘취약 아동의 경우 언어가 관련된 능력에 집행기능이 효과적으로 작동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executive function (EF) skills between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and children with poor vocabulary (PV), and to explore how and what kinds of connections exist between the three components of the EF system and language abilities, including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ability, in two groups. Methods: Twenty children with TD and 15 children with PV were assessed via tests of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hifting in both verbal and nonverbal modalities, and standardized vocabulary and reading tests were also administered. Results: Comparisons between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both groups performed comparably on all EF tasks except for the digit n-back task, with the TD group having a higher accuracy than the PV group.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abilities (reading and vocabulary knowledge) and verbal working memory as well as between vocabulary knowledge and shifting for the TD group, whereas no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bilities and EF was found in the PV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EF and language abilities in two groups, while showing close links between language abilities and EF only for the TD group. This suggests that EF systems may not be efficiently involved in language related abilities in children with PV.

      • KCI등재

        Diagnostic Accuracy of Working Memory Tasks Depending on Scoring Unit and Condition in Preschool Children

        임동선(Dongsun Yim),김신영(Shinyoung Kim),유지원(Jeewon Yoo),이윤정(Yunjung Lee),이상언(Sangeon Lee),정하은(Haeun Ch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비단어따라말하기, 문장따라말하기, 매트릭스는 언어능력의 기저요인으로 주목 받아온 작업기억의 각 하위체계를 평가하기 위한 과제로, 많은 선행연구들과 임상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각 과제의 채점단위 또는 수행조건이 일치되지 않아왔던 바, 본 연구에서는 각 과제별로 언어장애를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방식을 재검토하고 정확한 시행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5-6세의 어휘발달지체 아동(N=40)과 일반 아동(N=40)을 대상으로 비단어따라말하기 및 문장따라말하기의 채점단위 및 매트릭스 과제의 수행조건에 따른 진단정확도를 민감도, 특이도, 양성우도비 및 음성우도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판별분석 결과,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는 음절 단위 채점방식에 비해 낱말 단위 채점방식이, 문장따라말하기 과제는 어절 단위 채점방식에 비해 문장 단위 채점방식의 진단정확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트릭스 과제는 집단 간 수행력 차이와 판별분석 결과가 순행 및 역행 조건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 및 문장따라말하기 과제는 시간적 효율성이 높은 채점 방식이 진단정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 임상적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agnostic accuracy of working memory (WM) tasks, including nonword repetition (NWR), sentence repetition (SR), and matrix tasks, as clinically efficient diagnostic tools depending on the scoring systems and task condition. Methods: Forty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VD group) and 4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group) were administered a series of WM tasks (NWR, SR, and matrix tasks). Different scoring units were applied to each task (syllable vs. word for NWR task and word vs. sentence for SR task) while different conditions (forward matrix vs. backward matrix) were used for the matrix task. Separat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scores calculated by the different scoring units or the different condition of the tasks as predictors. Results: 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for the NWR task yielded word units with higher overall classification values than syllable units, whereas for the SR task sentence units had a higher overall classification value than word units. For the matrix task, none of the conditions reached the level of significance in th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Conclus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support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NWR task with word units and the SR task with sentence units in discriminating among the VD group and the TD group. However, caution should be used when regarding these matrix tasks as an accurate diagnostic tool, especially in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