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OLED용 Chrysene / Pyrene 유도체의 합성 및 분광특성

        유지웅 ( Ji Woong Yoo ),이상남 ( Sang Nam Lee ),손세모 ( Se Mo Son ) 한국화상학회 2015 한국화상학회지 Vol.21 No.1

        Chrysene 및 Pyrene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열적 안정성은 phenanthrene기를 도입한 BC6이 mp: 406oC 이었다. 용액상태에서 Host-Dopant 시스템으로 각각의 분광특성을 측정하여 NP5-BC1, NP5-BC5 system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들의 밴드갭은 3.04, 2.66, 2.67eV 이었다. Chrysene and Pyrene derivatives for OLED are synthesized, BC6 of chrysenes is thermally stable, mp: 406oC. Spectral characteristics of Host-Dopant system, such as NP5-BC1, NP5-BC5 system in solution are resulted excellently, band gap, 3.04, 2.66, 2.67eV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수직관 외벽 응축열전달에 대한 증기-공기 혼합물의 유속 영향 평가

        유지웅(Ji-Woong Yoo),박일웅(Il Woong Park),이연건(Yeon-Gun Lee)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5 No.8

        한국의 차세대 혁신형 원전 iPOWER에서는 방출된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수직 전열관 다발로 구성된 원자로건물 피동냉각계통을 도입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 전열관 외벽에서의 응축열전달계수에 기체혼합물의 속도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강제대류 응축실험을 수행하였다. 길이 1 m, 외경 40 ㎜의 응축튜브를 사용하여 압력 2~4 bar, 공기의 질량분율 10~58%의 범위에서 평균 열전달계수를 측정하였다. 압력, 공기 질량분율, 평균 벽면과냉도 등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증기-공기 혼합물의 속도에 따른 열전달계수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The passive containment cooling system (PCCS) of the Korean innovative power reactor, called iPOWER, employs multiple bundles of a vertical heat exchanger tube to condense the released steam on its outer surface. In this study, a series of forced convective condensation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as mixture velocity along the condensing surface of a vertical cylinder o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Using the condenser tube of 1 m in length and 40 ㎜ in outer diameter, the mean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measured at 2~4 bar for the air mass fraction ranging from 10 to 58%. The variation of the mean heat transfer coefficient with the velocity of the air-steam mixture was studied while maintaining other conditions the same, including the pressure, air mass fraction, and average wall subcooling degree.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시대인식과 이론적 배경

        유지웅 ( Yoo Ji-woong ),황갑연 ( Hwang Gap-yeo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2

        이 논문은 간재 전우의 삶에서 타학파 성리설에 대한 비판, 수도(守道)와 전도(傳道)의 선택 그리고 파리장서(巴里長書)에 대한 서명 거부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러한 선택들에 대한 전우의 문제의식과 그 선택들의 이론적 배경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하고 있다. 『간재집(艮齋集)』에는 타학파 성리설을 비판하는 수많은 글들이 남아있다. 조선 성리학자 가운데 양적으로 전우만큼 타학파 성리설을 비판하는 글을 많이 발표한 인물도 드물 것이다. 또한 화서학파의 유인석을 비롯해 당시의 유림들이 전우에게 의병활동에 나서 줄 것을 요청했지만 위정척사의 구체적인 방법론에서는 수도와 전도를 선택해 당시 주변 학자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전우가 선택한 것 가운데 가장 많은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해방 이후에도 계속해서 논란이 되었던 것은 파리장서에 서명을 거부한 것이다. 성리학자들은 늘 자신의 철학적인 입장을 토대로 선택하고 행동한다. 전우가 타 학파 성리설을 비판한 수많은 글을 발표한 것도 그리고 수도와 전도의 방법론을 선택한 것, 파리장서에 서명하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의식도 전우의 철학적 입장에 기인할 것이다. 그렇다면 전우의 선택과 그의 성리설은 어떻게 연결되는 것일까? 전우가 이 세 가지 선택을 한 것은 망국의 원인을 리(성리학)에게 전가시킬 수 없다는 것, 그리고 심본성(心本性)과 명덕심설(明德心說)의 이론적 배경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전우의 선택들이 당시의 시대정신에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는 긍정도 부정도 할 수 없지만, 이론과 실천의 정합성만큼은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성리학자라 평가할 수 있다. Assuming the symbolism of criticisms of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choice of keeping and transmitting Dao, and refusal to sign on the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in the life of Ganjae Jeon Woo, one of the utmost figures in the Neo-Confucian community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 time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theoretical grounds of his acts. Jeon Woo published a number of works to criticize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There were no Neo-Confucian Scholars of Joseon that published more works to criticize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than Jeon Woo. He was also ask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s a specific methodology of protecting the orthodox and repelling the heterodox, but he made a passive choice of keeping and transmitting Dao and accordingly received a lot of criticism from scholars around him those days. But the most criticized and controversial choice of his eve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was his refusal to sign on the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The investigator figures that his Neo-Confucian theory was deeply connected to his almost obsessive criticism of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his methodology of keeping and transmitting Dao, and his decision of not signing on the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re was his consistent theoretical background in his three choices: the cause of fallen Joseon could not be attributed to Neo-Confucianism, and the mind and nature or principle should serve as the root. There is no positive confirmation that his choices matched the spirit of the times those days, but there is no doubt that he was a consistent and systematic Neo-Confucian scholar at least in compatibilit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18세기 중반 기호 낙론계 심론 - 심기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유지웅 ( Yoo Ji-wo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이 논문은 18세기 중반 기호 낙론계 심론, 특히 심기에 대한 논의 양상을 도암 이재(陶菴 李縡, 1680~1746)와 그의 문인들인 백수 양응수(白水 楊應秀, 1700~1767), 미호 김원행(渼湖 金元行, 1702~1772)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기호학파 낙론계의 사적 흐름에서 18세기 중반은 낙학의 종지(宗旨)가 비교적 선명하게 부각된 시기였다. 특히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이었던 미발과 성범심에 대한 낙론의 입장은 미발심체선, 성범심동으로 귀결되며, 이러한 입장의 이면에는 결국 심과 기(질)의 관계 즉 심기를 어떻게 해명하는가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재, 양응수, 김원행은 낙론의 입장인 미발심체선과 성범심동을 공유하지만 그 논증 구조에서는 상호간의 입장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이재는 심을 기 자체만으로 해명하지 않고 항상 성(리)과의 합일을 통해 성인과 범인의 심이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심과 기질을 구체적으로 구별하여 설명하지 않음으로써 오는 언어표현상의 문제점도 발견된다. 반면 이재의 문인들인 양응수와 김원행은 심기에 대해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양응수는 심을 구성하는 기를 신기(神氣)와 혈기(血氣) 두 개의 기[心有二氣]로 전제하고 신기를 통해 성인과 범인의 심이 동일함을 설명하고 혈기를 통해서는 성인과 범인의 심이 다름을 설명한다. 그 결과 양응수의 입장은 동문들로부터 심(체)에 선악이 있다는 호론과 동일하게 귀결된다는 비판을 받는다. 반면 김원행은 심을 구성하는 기를 청탁(淸濁)이 섞여 있는 것을 전제하는 기질과는 차별적으로 이해하여 심기 그 자체의 도덕적 영역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심기에 대한 김원행은 입장은 인간 누구나 보편적으로 동일한 마음이 실재함을 존재론적 차원에서 확인하려는 낙론의 입장을 충실하게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재를 비롯한 양응수, 김원행 모두 호락논쟁의 과정에서 낙론의 입장을 반영한 성리설을 제시하지만 그에 따른 세부적인 논증 구조와 관련해서는 각각 차별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diversity in the theory of the mind of the Nak School in the middle 18th century with a focus on Doam Yi Jae, Baksu Yang Eungsu and Miho Kim Wonhaeng. The main point of the theory of the Nak School was highlighted with relative clarity in the middle 18th century. All of Yi Jae, Yang Eungsu, and Kim Wonhaeng discussed in the study maintained that the state of the mind-substance before aroused feelings, which reflects the position of the Nak School, should be good and that the sages and ordinary people should have the same mind, but they presented diverse discussions about their positions about the mind, especially its interpretations based on Li and Ki. First, Yi Jae refused to elucidate the mind only with Ki itself and tried to highlight the good of morality more clearly always through the unity of Ki and Li. His pupils, on the other hand, Kim Wonhaeng and Yang Eungsu developed their discussions in a direction of offering more detailed explanations about Ki that made up the mind. Kim, in particular, understood Ki that made up the Mind differently from temperament whose premise was the general mix of clear and muddy, developing his discussions in a direction of securing the moral domain of the mind itself. Unlike him, Yang Eungsu set a premise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Ki, which made up the mind, including mind-vital force and blood-vital force and explained that the sages and ordinary people had the same mind in the aspect of the former and different minds in the aspect of the latter. As a result, his theory of the mind was criticized for sharing the same logic with the Ho School, which argued that there should be both good and evil in the mind, by his alumni.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Yi, Kim, and Yang all proposed Seong Li theories reflecting the position of the Nak School's theory but had differences from one another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ind based on Li and Ki.

      • KCI등재

        기호학파 낙론계 심본선(心本善)의 이론적 구조와 도덕 실천적 의의

        유지웅 ( Yoo¸ Ji-woong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성리학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 누구나 도덕적으로 완벽한 인격을 갖춘 성인(聖人)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성인의 완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 행위의 주체가 되는 심이 도덕을 실천하는 것과 동시에 악의 원인이 되는 것들을 제거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다. 성리학에서 인간의 도덕실천과 수양을 강조하는 것은 인간이 성인과 같은 진정한 도덕주체가 되려는 노력을 통해 모든 인간들을 선에 머물도록 함으로써 도덕적 이상 사회를 구현하려는 목적의식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기호학파 낙론계 역시 도덕적 이상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전개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미발(未發), 명덕(明德), 허령(虛靈), 지각(知覺)과 같이 심의 구조와 역량을 설명하는 개념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낙론계는 심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통해 인간이 도덕을 실천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낙론계는 호론과 구별되는 심에 대한 견해인 심본선(心本善)을 주장했다. 성리학에서 인간이 도덕행위를 할 수 있는 근거는 심 안에 도덕원리이자 법칙으로서 성이 내재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는 성리학자 모두가 승인하는 바이다. 하지만 이이 성리설을 계승하는 낙론계는 성의 실재에 대해 확신을 하면서도 이것만으로는 도덕행위를 온전하게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다. 이이 성리설에서 리는무위, 기는 유위하기에 성은 무위한 것이며, 심은 유위한 것이기에 성은 유위한 심에 의해서만 실현될 수 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성이 사단과 같은 구체적인 감정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유위한 심의 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기호학파 낙론계는 도덕실천주체인 심을 통해서도 도덕실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이 성리설에서 전제하는 ‘심시기’를 낙론계 역시 계승하기에 선악이 혼재되어 있는 기를 통해 구성된 심에서 도덕 가능 근거를 확보하는 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기호학파 낙론계는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본말론(氣本末論)을 통해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를 일반적인 기질과는 차별적으로 이해하여 이론적으로 심 차원에서 도덕실천 가능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바로 “심은 기이지만,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는 맑고 순수한 것이기에 심의 본래 선하다”는 ‘심본선’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심본선의 이론적 배경과 구조, 그리고 심본선이 가지고 있는 도덕 실천적 의의는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한다. 결국 이 논문은 왜 기호학파 낙론계 성리학자들이 “심은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였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The aim of Neo-Confucianism is to enable all human beings to become sages with morally perfect characters. To attain this perfect character, human beings need constant moral self-cultivation; namely, they must make efforts to eliminate the causes of evil things. Thus, the moral conduct of human beings is dependent on the degree of their will and effort. Neo-Confucianism emphasizes each individual’s moral practice because they aim to create a morally ideal society. The Nak School (洛學), which ran from the six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also developed various approaches to create a morally ideal society. Historically speaking, this was the period when scholars had active discussions on concepts closely related to the mind (心), including jigak (知覺, cognition), myeongdeok (明德, bright virtue) and mibal (未發, the unaroused state of the emotions or thoughts). The Nak School aim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human beings to put morality into practice by having in-depth discussions on the mind. As a result, they suggested a somewhat distinctive idea, “simbonseon” (心本善). Simbonseon means that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is good because it is made up of the pure element of gi (氣), though the mind is itself gi. As noted by the general teachings of Neo-Confucianism, human nature enables human beings to morally behave. However, while the Nak School was certain about the reality of human nature, they did not think that it alone was enough to create a morally ideal society. It is because nature can only be manifested by the mind since nature is non-active. To be more specific, without the mind, nature by itself is insufficient to actualize morality. Thus, the scholars of the Nak School were deeply interested not only in human nature but also in moral characteristics of the mind. They believed that the mind has a special capacity to spiritually perceive objects. They, therefore, aimed to come up with the argument that human beings can morally behave through the mind. However, as followers of Yi I (李珥), they believed that the mind is linked with gi. Therefore, securing a pure and good state of the mind was not an easy achievement. To overcome this problem, they analyzed the min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ey secured the pure and good realm of the mind based on the roots and branches in gi. As a result, they suggested “simbonseon”, which means “innate goodness of the mind”. Simbonseon is a pure and good state of the mind, where morality could be put into practice. They presented a structure of the mind that enables human beings to put morality into practice. Accordingly, the theory of simbonseon of the Nak School can be evaluated a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mind linked with gi and providing a moral foundation for human beings in respect of the mind. There has been a wide range of discussions on the Horak (湖洛) debate. Moreover, there were new discussions on Nakron (洛論), motivated by the work on the main figures of the Nak School. However, according to most of the work, Nakron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theory of Oeam Yi Kan (巍巖 李柬). What should be noted is that Yi Kan’s Neo-Confucian theory is similar to Nakron, but he is a scholar of the Ho School (湖學), not the Nak School. Therefore, understanding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Nak School based on the theory of Yi Kan may cause misunderstandings. For example, the ideas of the Nak School can be mistakenly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Oeam’s Neo-Confucian theory. In addition, simbonseon was mentioned several times in the secondary literature on Nakron. However, the structure, the background or the moral meanings of simbonseon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Accordingly,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swer questions as follows: Why do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Nak School advocate that the mind is innately good?

      • KCI등재

        간재 전우의 화서학파 성리설 비판과 문제의식

        유지웅 ( Yoo Ji-woong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2

        이 논문은 화서학파(華西學派) 성리설에 대한 간재 전우(艮齋 田愚, 1841~1922)의 비판과 그 비판의 저변에 가지고 있었던 문제의식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있다. 한말 성리학계는 전례 없던 사회적 변화 속에서 학파나 지역과는 상관없이 심주리설(心主理說)이 성행하였다. 특히 화서학파는 같은 기호학계열에 속하면서도 ‘심시기’를 비판하면서 심을 리 중심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주리론적 성리학을 형성한다. 이들 학파는 ‘심시기’는 도덕 행위의 주체인 심을 단순히 기로 해석하게 되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심의 본질을 ‘리’와 ‘주재’로 통일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달리 기호학파 성리설을 고수하는 전우는 화서학파의 심주리설을 성이 아닌 심을 대본(大本)으로 여기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한다. 하지만 전우가 화서학파 성리설을 비판하는데 가지고 있었던 근본적인 문제의식은 바로 화서학파의 논리는 선은 물론이거니와 악 역시도 리의 결과라는데 있었다. 이는 곧 당시의 시대적 혼란상도 결국 리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전우가 화서학파 성리설을 리를 유위한 것 그리고 심을 리라고 결론지었기에 나온 문제의식이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Ganjae Jeon Woo(1841~1922)'s criticism of Seongri theory by the Hwaseo School and 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about it. Jeon Woo systematically established his Seongri theory under the influence of his predecessors in the Nak School as well as his master Gosan Im Heon-hoi(1811~1876). After having a debate over the Seongri theory with the Hwaseo School, he got to build a more exquisite system for his Seongri theory. He especially said that the premise of "Simbonseong" was established based on his debate with Yu Jung-gyo of the Hwaseo School, which indicates that his debate over the Seongri theory with the Hwaseo School was a very significant event for the systemization of his own Seongri theory. There is thus no denying the huge importance of the debate with the Hwaseo School in the establishment of Jeon Woo's Seongri theory system and criteria to criticize other schools. The present study examined in what aspects he criticized the Seongri theory of the Hwaseo School and what kind of problematic consciousness he had about the Seongri theory of the Hwaseo School, thus shedding clear light on the early formation process of his Seongri theory and his criteria to criticize heresy at the forefront of criticism of other schools in the Neo-Confucian circles in late Joseon.

      • KCI등재

        기호학파 낙론계 명덕설 -왜 심인가?-

        유지웅 ( Yoo Ji-wo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9 No.-

        기호학계에서 명덕에 관한 논의가 성리학적 주제로 크게 부각된 시기는 17세기에 접어들면서이다. 명덕에 관한 논의가 그 이전 시기에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송시열을 주축으로 한 노론계 학자들이 주자학의 여러 가지 개념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명덕 역시 하나의 성리학적 주제로 주목받게 된다. 그 이유는 주희가 명덕에 관해 심 혹은 성 한 가지로 확정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기호학파의 종장인 이이 역시 심성의 총명이라고만 설명할 뿐 명확하게 규정을 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자들마다 명덕에 관해 매우 다양한 해석을 하고 있었다. 기호학파 낙론계의 명덕설은 심에 한정하여 해석함과 동시에 심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된다. 특히 김창협은 심의 허령불매한 지각능력을 핵심으로 명덕설이 전개되는데, 이는 도덕본성을 실현시키는 주체인 심의 역할과 기능에 주목한 결과이다. 이러한 낙론계 명덕설은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심성의 문제에서 리기론적 해석으로 외연이 확대되는데, 이는 당시 기호학계에서 심을 리 중심적으로 해석하는 경향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홍직필과 전우는 당시 화서학파와 명덕에 관한 논쟁을 주도하면서 김창협이 제시한 명덕설을 계승함과 동시에 명덕을 기로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낙론계 명덕설은 심론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전개된다. 낙론계는 도덕행위의 주체인 심의 역할에 주목한다. 리무위, 기유위의 리기관계에 따라 성무위, 심유위의 심성관계가 제시됨으로써 무위한 성은 오직 유위한 심에 의해 실현될 수 있기에 도덕본성을 실현시키는 주체인 심은 도덕행위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김창협은 성과 대비되는 심의 독자적인 영역을 지각논의를 통해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김창협이 지각논의를 통해 부각시키고자 했던 심의 독자적인 영역은 바로 도덕본성을 현실화시키는 심 자체가 가지고 있는 능력에 주목한 것이며, 그러한 능력을 `허령불매한 지각능력` 즉, 명덕을 통해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김창협의 명덕설은 김원행, 홍직필 그리고 전우에게도 계승되어 자칫 도덕행위의 과정에서 성의 부속물처럼 여겨질 수 있는 심을 도덕을 실현하는 핵심 영역으로 인식하여 전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is deal with a bright virtu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regard of Nakron of Kiho School. And it explains why the bright virtue has become an important philosophical theme in Nakron. In the 17th century, discussions on the bright virtue began to draw attention to the discussion of bright virtue in the process of summarizing the various concepts that can be interpreted variously in Neo-Confucianism by Song Siyeol as the main axi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not only did Chu Hsi define a mind or nature about Bright Virtue, and Lee Yi also described it as a matter of Mind-Nature-Virtue without defining cleary. In addition, the bright virtue became closely related with the theory of Mind and naturally attracted attention in the process of Horak Controversy, which was held inside Kiho School. The characteristics of Kiho Nakron`s theory of the Bright Virtue were developed in close 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mind of these schools. The characteristics of Kiho School Nakron`s theory of the mind are characterized by the goodness of nature inherent in the mind and the development of the value-minded attainment of mind, which is a direct practitioner of morality. As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the nature as inactiveness of the nature and activeness of the min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i and Qi as Inactiveness of Li and activeness of Qi, the nature that has inactiveness can only be realized by mind that has activeness, so the state of the mind, which realizes the nature, becomes a very important issue. Nakron therefore took notice of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in order to establish its own structural foundation of the mind, which can fully realize the nature, and these original state of the mind is the bright virtue. The bright virtue is filled with a moral sense unconstrained by the mind, and the mind can prove good with the nature. Nakron also interpreted the bright virtue as a spiritual perception with the mind`s ability and sees that spiritual perception comes from Qi rather than Li. This Nakron`s theory of the bright virtue had been established by Kim Changhyup and directed by Kim Wonhaeng. Through Hong Jikpil and Jeon Woo, understanding the bright virtue, which was focused on the mind, had been extended to a theory of Li-Qi, and provided, then, the basis of the bright virtue controversy in the late Joseon Korea.

      • KCI등재

        기호학파 낙론계 심론의 특징

        유지웅(Yoo, Ji-woong)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4

        이 논문은 김원행과 전우의 성리설을 통해 낙론계 심론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고 있다. 먼저 김원행과 전우를 통해 낙론계 심론의 특징을 살펴본 이유는 김원행의 경우 김창협이 기초한 낙론을 보다 체계화하여 낙론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인물이며, 전우는 구체화된 낙론의 방향성을 이론적으로 정교화 하여 한말 도학계에서 낙론을 통해 조선성리학의 정통성을 재정립하고자 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원행을 통해서는 낙론의 방향성을, 전우를 통해서는 낙론이 제시한 방향성의 체계화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기호학파 낙론은 기본적으로 주자학을 바탕으로 이이의 학문적 입장과 더불어 김창협이 제시한 이론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낙론은 주자의 학설을 기초로 이이가 심의 기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제시한 ‘心是氣’가 중심으로 이룬다. 심시기를 전제하는 낙론계 심론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도덕행위의 가능근거로서 性善뿐 아니라 心本善을 주장함으로써 구체적 실현자인 심의 본래성에 주목한다는 것이다. 무위한 성은 유위한 심의 매개를 통해서만 실현될 수 있기에 선을 실현시키는 심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도덕실천과 관련하여 도덕본성의 실재만으로는 도덕행위가 완전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어떻게 하면 도덕본성을 심이 온전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김원행은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에 대한 논의를 통해 도덕본성을 실현하는 주체인 심의 본래성에 주목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오희상, 홍직필, 임헌회를 거치면서 보다 정교화 된다. 이 과정에서 氣本末論, 심본선 등의 이론이 제시되고, 전우에 이르러 낙론을 재정립하여 특히 당시 타 학파들과 심과 이와 결부된 명덕에 관해 치열한 논쟁을 펼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을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낙론계 심론의 특징적 면모는 ‘性卽理’, ‘心是氣’의 심성관계에서 도덕본성의 실재함을 확인하며, 실현자로서 ‘심의 본래성’에 주목하여 도덕본성을 현실에서 온전하게 실현시킬수 있는 심의 구조적 기반을 구축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study a feature of theory of mind in Nakron with theory of Kim WonHaeng and Jeon Woo who made direction of Kiho Naron’s study concrete. The reason why Kim WonHaeng and Jeon Woo selected to study is because Kim Won-Haeng is the philosopher who organized a theory of Kim Changhyeop’s Nakron to make direction of Nakron and Jeon Woo is the last scholar of Nakron. The direction of Nakron can be found in Kim Wonhaeng and the concreteness in Jeon Woo. With the premise of Simsiqi, The feature of theory of Mind in Nakron argued not only Goodness of nature but also Original goodness of mind, as basis of ethical act, to see the mind as detailed realization. Because useless nature can be expressed by link of useful nature, the mind which fulfill nature can attract many attention. With critical mind that ethical activity with existence of acting good can be completed in aspect of human’s ethical fulfillment, many scholars were concerned about the way how the mind wholly realized acting good. In this aspect, Kim Wonhaeng paid his attention to an intrinsic feature of the mind which fulfill acting good and this study got more and more elaborated by Oh Huisang, Hong Jikpil and Lim Heonheo. During this work, theories like the account of root and branches in Qi and the account that the mind is good were suggested. At the period of Jeon Woo, he synthesized Nakron theory and had an intense argument about the mind and Bright and Virtue with other scholars. With these series of process, the feature of theory of mind in Nakron was to suggest the system which emphasize a natural condition of the mind to find the structural basis of mind to fulfill acting good prac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