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업무공간의 발전경향 변형에 따른 건축 설계 연구

        유석연(Yoo Suk-Yeon)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8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ve trend of office space. The transformative trend of office space is mainly occurred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al quality by the change of needs, the programmatic mix with culture/information/nursery space, and the emerging concepts-mobility, home office, and etc- are the new trends of the office transformation. Also the contemporary ideas of work organization, work type and work mode should be defined for the investigation of design elements and space programming of new office layout. As a case study of new trends and transformative ideas, Daum Global Media Center in Jeju island is analysed. A plan is developed an office space with the new paradigm according to the new settlement in Jeju Island from the center of Seoul. Crucial elements of plan should consider the new program through the research of work organization, work type and work mode in the pursuit of the communication development covered with the global. Thus the various office spaces, such as media gallery, media hall, lounge, unit, alley, and all the circulation spaces, are presented corresponding to the transformative trends of office space. All the space programs are composed by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concept as “Wind Instrument” which is derived from the identity of Daum Corporate Identity and the placeness of the building site, Jeju Island in Korea.

      • KCI등재

        철도 부지를 활용한 경의선숲길공원 이용행태 연구

        양승열(Yang, Seung-Yeol),유석연(Yoo, Suk-Ye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생활권공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도시구조변화에 따른 폐철도부지 출현과 이를 활용한 공원조성에 주목하였다. 선형공원은 면적공원에 비해 생활권공원으로 기능하는데 유리하며, 일상적인 이용행태가 더 활발할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목적은 경의선숲길공원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유형별 특성 및 밀도 특성, 이용자구분에 따른 이용행태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시간차촬영기법을 이용한 행태관찰과 GIS를 통한 행태지도 분석을 통해 이용자 일반특성과 이용행태 유형별 특성, 그리고 이용자 구분에 따른 이용행태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평일과 휴일의 이용행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주말에 찾아가는 목적성공원이 아닌 일상적 이용이 지속되는 생활권공원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적행태로는 휴식 외에 대화 등 사회적 교류를 함께 들 수 있으며 보행자가 많은 개방적인 장소에서 많이 나타났고 그늘, 조망 등 물리적 환경 특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걷다’행위 중심의 동적행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선형의 이용패턴이 주로 나타났다. 이는 공원의 형태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휴식, 대화, 구경, 약속장소 등 정적행태 우위의 일반근린공원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적행태 우위의 선형공원에서 공원시설에 대한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며, 선형의 형태적 특성을 반영한 동선계획과 주변 도시조직과의 연계계획 등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ehavior patterns of an urban linear park, which reuse an abandoned railroad, utilizing behavioral mapping in GIS and behavioral observations through time-lap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rban linear park is used consistently without distinction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Second, resting behaviors prefer open spaces and are affected by external conditions such as shade, scenery, etc. Furthermore, open spaces are jointly used as a social interaction areas for communication behaviors. Third, moving behaviors are emerged as a linear pattern use,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near park. In addition, walk-oriented activities represent an overwhelming ratio of moving behaviors. It shows a definite difference in the conventional neighborhood park’s behavior patterns with respect to rest, talk, seeing, appointed place and so 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irculation plan of the linear park and the link with neighboring urban areas deserve more attention, while the significance of the park facilities is relatively low, due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linear park.

      • KCI등재

        하이라인 주변부 도시관리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정경훈(Jung, Kyung-Hun),유석연(Yoo, Suk-Ye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라인 도시선형공원화에 따른 주변부 도시 변화를 예측하고 계획적 관리를 위해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한 ‘웨스트첼시 특별목적지구’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고, 도시선형공원 주변부 도시관리계획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웨스트첼시 특별목적지구’의 하이라인 주변부 도시관리계획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선행연구 및 국내 도시선형공원 주변부 도시관리계획 사례와 견주어 해석하고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도시선형공원을 기준으로 주변부의 물리적 범위를 세분화하여 주변 여건에 따라 규제를 적용하였다. 둘째, ‘예술’관련 용도를 보존 · 장려하고, 건축물 입면을 전시공간으로 활용하는 등 도시선형공원 프로그램을 장려 및 지원하였다. 셋째, 도시선형공원 인접 건축물의 사생활 침해문제를 시각적 · 청각적인 부분으로 예측하여 건축물 입면의 형태와 차음성능을 규제하였다. 넷째, 도시선형공원의 선형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인접 건축물의 용적과 입면설계를 조율하여 시각적 회랑을 형성하고, 더불어 주변부 가로 · 공지와 경관적 맥락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도시선형공원 선형오픈스페이스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공간을 보존하고, 인접 보도에서 접근이 용이하도록 승강기 및 계단의 배치 · 부피 · 출입구 방향을 규제하여 보행연속성 및 접근성을 확보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urban planning characteristics of urban linear park and its neighboring area by examining New York City’s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where the conversion of the High Line’s decommissioned railroad took place. To this end, we analyze the urban management plan for the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and review the literature to compare our findings with the cases of urban management plan for the urban linear park and neighboring area in Kore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t regulation was observed for different part of the linear park, distinguished b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ring area. Second, urban linear park program was enhanced by promoting special land use of ‘art’ and displaying the facade element of the building. Third, regulations of the building facade and sound insulation were introduced in order to prevent invasion of privacy from the area of urban linear park. Fourth, building form of the surrounding urban linear park was regulated to provide a view corridor and to create a landscape scene for urban linear park and neighboring area. Fifth, a linear park was introduced to provide a green spine linking open spaces. Last, the location, volume, and the exit direction of elevators and stairs were regulated to improve walkabi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adjacent sidewal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