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석 변영태의 번역 활동과 외교 의식

        유서현 춘원연구학회 2023 춘원연구학보 Vol.- No.26

        이 글은 시인·번역가·외교관으로서 일석 변영태가 남긴 텍스트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 의의와 한계를 논의한 글이다. 크게 두 가지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최초로 한국인 번역자가 출간한 영역 설화집인 변영태의 Tales from Korea(1935)의 특성과 가치를 밝히려 했다. 변영태는 1935년과 1936년에 각각 번역 설화집 Tales from Korea와 번역 시조집 Songs from Korea를 출간했는데, 그간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이 된 것은 Songs from Korea 뿐이다. 그러나 Tales from Korea는 앞선 외국인 선교사 번역자들의 설화집과는 분명한 차별점을 지닌 최초의 한국인 역자의 설화집으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 변영태는 역자의 개입을 최소화한 번역, 조선인 화가(청전 이상범)의 삽화 수록, 새로운 한국어 로마자 표기 방식의 제안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외국인 역자들이 왜곡되게 전달해온 조선의 문화와 문학을 바로잡고자 했다. 둘째, 본고는 해방기·전쟁기의 변영태의 외교 의식을 청년기에 발표한 논설·시에서 드러난 의식과의 관련성 속에서 파악하여 논의의 폭을 넓히고자 했다. 변영태가 외교관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1940년대 말부터이지만 그는 1920년대 청년기부터 국제 정세에 큰 관심을 표하고 있었다. 이 시기 그는 『동아일보』에 연재한 논설문을 통해 중국에서의 이익을 두고 갈등을 벌이는 두 제국 미국과 일본의 관계를 날카롭게 비판하고, 자작 영시에서는 중국에서 일어난 반제국주의 운동에 강한 연대감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태도의 기저에는 타국의 자치권을 침범해서는 안 된다는 믿음이 깔려 있으며 해방기의 글들에서도 자치의 개념은 계속 강조된다. 그러나 자치에 대한 변영태의 논리는 한국전쟁을 지나면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한국의 자치권을 위협하는 가장 큰 세력이 공산주의 국가라는 인식이 강해지면서 한국의 자유를 위해 미국의 보호를 요구한다는 모순된 국면에 도달한 것이다. 동아시아의 운명을 좌우하는 강대국들의 틈에서 한국의 이해관계를 어떻게든 그들의 시야에 넣고자 한 그의 치열한 고투를 들여다볼 때, 그의 번역과 외교, 그리고 그의 의의와 한계가 서로 결부된 채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의 (재)구성 염상섭의 『홍염』· 『사선』론

        유서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1

        Yom Sang-seop’s linked novellas Hongyeom (Red Flame) and Saseon (Dead Line), have long been excluded from research as poor works mired in the popular and everyday. However, it is worth re-illuminating the following aspects of these works. First, in relation to the Korean War, Hongyeom-Saseon focuses not on the visible enemy (North Korea and the Communist Camp), but on invisible bearers of responsibility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n Government). These works remind us that late June, 1950 was not only the eve of the Korean War but also a period in which a United States anxious about the 1950 Sino-Soviet Treaty deepened the Cold War while preparing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At the same time, the novellas reveal ho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lying too heavily on the US and UN, compounded the confusion in the early days of the war by acting irresponsibly. Second, Hongyeom-Saseon offers insight into the contemporary mind of Yom Sangseop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s a centrist and supporter of the 1948 North-South Conference and peaceful unification. Yom presents several specific events occurring in 1948 and 1950 which are connected by the idea of unification via left-right coalition. This context also explains the centering of the novellas’ discussion of the May 30, 1950 elections on the rise of “independent (=centrist)” candidates and peaceful-unification candidate Cho Bong-am. Lastly, Hongyeom-Saseon’s romance narrative not only reveals the limits of Yom Sang-seop’s imagination as a male intellectual in the 1950s, but also offers contemporary readers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a new politics within it. Yom conveys his concerns about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cold war by overlapping ‘those responsible for breaking the peace on the peninsula’ with ‘those responsible for breaking the peace of the family.’ In the process, middle-aged women characters who break away from the family become the central object of criticism in the two novellas, yet because these characters become the focal point of the narrative, oppositional decoding is made possible. Turning our attention from the love triangle of SeonokHonam-Chwiwe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ok and Chwiweon themselves, it is possible to see in Hongyeom-Saseon’s romance narrative not simply the presence/absence of the patriarch, but also a process of women’s identity formation via imitation and recognition between two women. 염상섭의 『홍염』·『사선』은 일상성·통속성에 매몰된 태작으로 치부되어 오랫동안 연구사에서 소외되어왔다. 그러나 이 연작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재조명될 가치가 있다. 첫째, 『홍염』· 『사선』은 한국전쟁에서의 가시적인 적(북한과 공산진영)이 아니라 전쟁을 불러온 비가시적인 책임자들(미국과 남한정부)을 주목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1950 년 6월 말이 단지 한국전쟁의 전야가 아니라 중소조약 체결 이후 불안을 느낀 미국이대일강화조약을 준비하면서 냉전을 심화시킨 시기임을 상기시킨다. 또한 미국과 유엔에 지나치게 의존하던 남한정부가 한국전쟁 초기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면서 혼란이 가중되었음을 폭로한다. 둘째, 『홍염』·『사선』은 해방기에 남북협상 및 평화통일을 지지했던 중간파 염상섭의 현재적 심경을 엿보게 해준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요한다. 염상섭은1950년과 1948년에 벌어진 특정 사건들을 한 데 선별해 제시하는데, 이 사건들을 묶어주는 주제가 바로 좌우합작 통일론이다. ‘무소속=중간파’의 대두 및 평화통일론자 조봉암을 주된 키워드로 삼아 5.30 선거가 거론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마지막으로, 『홍염』· 『사선』의 연애서사는 1950년대 남성 지식인인 염상섭의 정치적 상상력의 한계를 드러내는 동시에 오늘날의 독자들이 새로운 정치성을 발견해낼 수 있는 가능성의 장이다. 염상섭은 ‘한반도의 평화를 깨뜨린 책임자’와 ‘가정의 평화를 깨뜨린 책임자’를 중첩시키는 전략을 통해 냉전기 한반도에 대한 그의 문제의식을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가정을 이탈하는 중년 여성들은 작품의 핵심적인 비판 대상이 되지만, 이들의 모습이 주요하게 초점화된다는 바로 그 점으로 인해 도리어 대항적 해독(oppositional decoding) 또한 가능해진다. 선옥-호남-취원의 삼각관계가 아닌 선옥과 취원의 관계 발전으로 시선을 돌리면 『홍염』· 『사선』의 연애서사는 남성 가부장의 존재/부재가 아닌 여성들 간의 모방과 인정을 통해 여성의 주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 KCI등재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부모의 피드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유서현,이소희 한국코칭학회 2023 코칭연구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parents' feedback characteristics in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based on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provide data to help parents figure out their feedback characteristics for themselves and to offer desirable feedback.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a literature study and workshop to identify parents' feedback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selected 107 items through content validity and item analyses by experts.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was calculated based on item internal consistency. The overall Cronbach ɑ was .93, and each type was in a range of .56∼.84. The scale developed in the study was tested for its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Vision Enneagram Type Inventory for Adults (VETI-A) and cross-validation between the groups. The present study develops a parental feedback scale based on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s a practical tool to help parents figure out their feedback characteristics during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and promotes their profound understanding for their positive and developmental feedback and also tests the scale in reliability and validity,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본 연구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부모의 피드백 특성을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하여 살펴보고, 부모 스스로 자신의 피드백 특성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피드백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및 워크숍을 실시하여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부모의 피드백 특성을 추출하고,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문항 분석을 통해 최종 107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의 신뢰도는 문항 내적 합치도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전체 Cronbach ɑ 계수는 .93, 각 유형별 .56∼.84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는 비전에니어그램 성인용 척도(VETI-A)와의 공인타당도를 실행하였으며, 집단별 교차타당도를 실행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부모의 피드백 척도는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있어 부모 자신의 피드백 특성을 파악하고,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전쟁과 ‘빨치산 전쟁’

        유서현(Yu, Seohyun)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1

        이 글은 한국전쟁기 빨치산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전쟁의 구도 속에서 빨치산을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한국전쟁과 ‘빨치산 전쟁’을 나누어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는 글이다. 분석 대상이 되는 텍스트는 빨치산의 증언을 기반으로 한 역사 기록물인 이태의 『남부군』, 정지아의 『빨치산의 딸』, 권운상의 『녹슬은 해방구』이며, 빨치산에 대해 오늘날까지 축적 된 연구와 지속적으로 대조되면서 독해될 것이다. 그러나 어떤 역사 기록물도 객관적 역사 서술의 가능성에 대한 아포리아를 통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 글은 세 텍스트를 통해 빨치산의 어떤 ‘진실’을 밝혀내는 것이 아니라 세 텍스트가 보여주는 관점의 차이와 그 의미를 탐구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본론의 2장과 3장에서는 『남부군』, 『빨치산의 딸』, 『녹슬은 해방구』에 대한 작품 분석을 통해 빨치산 전쟁이 한국전쟁의 틀로는 온전히 파악되지 않는다는 본고의 문제의식을 논해보고, 4장에서는 작가의식의 차원에서 세 작품에 재접근함으로써 논의를 확장하고자 했다. 2장에서는 해방기부터 이미 존재했던 빨치산의 활동이 1948년 이후부터 남북한 정부 각각에 의해 한국전쟁의 구도에 점차 편입·동원되어간 과정을 서술한다. 3장에서는 전쟁이 전개됨에 따라 빨치산과 북한 당국 사이에 생겨난 균열의 지점들을 알아보고, 휴전에 이르기까지 빨치산이 수행한 전쟁의 독자적인 측면을 살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빨치산의 역사가 작가 각각의 자기 정당화 논리에 의해 상반된 방향으로 의미화되고 있음을 고찰한다. This article argues that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artisan Movement during the Korean War,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Korean War and the ‘Partisan War,’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of considering the Partisans as an element of the Korean War. I analyze texts which constitute historical records based on Partisan testimonies, namely Lee Tae’s Nambugun, Jeong Ji-a’s Bbalchisanui ddal, and Kwon Un-sang’s Nokseuleun Haebanggu, and provide a reading which carefully compares them with the accumulated research on the Partisan Movement. However, in the sense that no historical record can pass through the aporia of objective historical description, this article aims not to uncover the ‘truth’ of Partisan through the three texts, but to analyze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three text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at difference. In chapters 2 and 3, through analysis of Nambugun, Bbalchisanui ddal, and Nokseuleun Haebanggu, I argue that the Partisan War is not fully understoo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Korean War. Chapter 2 describes the process by which the activities of Partisans, which had already begu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re gradually incorporated and mobilized into the structure of the Korean War by the governments of North and South Korea from 1948 onwards. Chapter 3 examines the conflicts that arose between Partisans and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s the war unfolded, and discusses the independent aspects of the ‘Partisan War’ until the ceasefire. In chapter 4, I expand the discussion by re-approaching the three works with a focus on the authors. In this chapter I explain that the history of the Partisan Movement is given differing meanings and orientations by each author’s logic of self-jus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