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서양 춤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연구

        유미희 韓國舞踊敎育學會 1999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10 No.1

        In this research this writer took system of sexual discrimination as one of framework for historical analysis and intended to study mode of perception on women as expressed through dances. To this end dances in festival of ancient Greece and Country Circle Dance(Ganggnag Sulrae Dance) of Korea were chosen as subject of this study and women's image as presented in mythology was studied. And then significance of dance in terms of science of women was identified by examining dance and women in mythological rituals the East and West.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at dance of the Greece and Country Circle Dance recaptured primordial image of nature in memetic connection with goddess. The first image which was discovered in nature by man was feminine divinity and universe being formed with godess at its center and this was seen as man's aspiration on cyclic order of the nature. Dance in mythological rituals of the East and West were such aspiration of man and in particular acts of soaring high by powerfully sprinting upward from ground in group circle dance was mode of man's cognition aspiring for abundance through awakening vitality and spirits of the land. form of dance blended with wine and songs were common style in the mythological rituals in the East and West. Imitation of sexual motions(imitative actions) were gesture of ancient people creating it by combining mystical power of women and bodies of real world. For this reason dances in ancient time were cultural code for perceiving world and feminine principles manifested in such dances were feminine in nature such as blessing, reproduction, consideration and peace etc, and as such they may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finding solution to contradictions prevalent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최승희의 민족무용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유미희 한국무용기록학회 2004 무용역사기록학 Vol.6 No.-

        본 논문은 제국주의적 시각에서 자주적 정체성 회복을 위한 내셔날리즘(nationalism)의 일환으로서의 민족무용이 아니라 동일한 유전적, 언어적, 그리고 문화적 연대를 공유한 인간 집단의 무용양식을 의미(Drid William, 신상미역, 2002: 37)하는 것으로서의 민족무용(ethnic dance)에 한정하여 무용에서의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의 양상을 살펴보고 있다. 근대의 무용가 최승희의 한국, 중국, 일본의 민족무용, 즉, 동양무용을 중심으로 그 작품성향과 작품활동을 고찰함으로써 20세기 초엽의 오리엔탈리즘의 특색을 고찰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최승희 평전, 공연팸플릿, 공연평 등 문헌적 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이론적 배경으로서 오리엔탈리즘의 개념과 역사적 전개를 살펴본 후 근대무용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즉, 최승희 민족무용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의 특색과 그 의의를 결과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근대무용의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여 한국 무용사학의 새로운 관점을 마련하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두고 있다. 창작대상을 한국무용, 중국무용, 일본무용으로 확대하면서 동양예술에서 풍겨 나오는 선의 조화, 색채, 정적인 미를 표현하고자 하는 최승희의 동양무용론은 수 천년 동안 전해져온 민족적 혼을 양식화시킴으로써 동양미 표출에 강한 집념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보살춤>을 비롯하여 최승희의 중기(1930, 40년대)의 한국적, 중국적, 일본적 색채의 작품성향과 그 활동은 서양의 현대무용가 루스 세인트 데니스가 추구했던 동양무용과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즉 각 민족의 전통적 소재를 바탕으로 하여 평온하고 침착한 동양의 이미지를 명상성, 관능성과의 적절한 배합과 그 형태적 전환으로 일관하면서 동양미의 특색을 드러냈으며, 이는 문화의 함양을 기본으로 민족의 정체성을 추구하는 문화적 민족주의의 성향을 보이고 있다. This thesis is aimed to examine the phases of Orientalism of ethnic dances played by a human group which has the same inheritance, language, and cultures(see Drid William, trans. Sang-mi Shin, 2002: 37), not of racial dances which are a part of nationalism to restore the independent identity of a race from the perspective of imperialism .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ism early in the 20th century are investigated after considering the propensities and activities of a modern dancer Seung-heui Choe's ethnic dances and Oriental dances covering Korean dances, Chinese dances, and Japanese dances. The author has researched into documentations such as Seung-heui Choe's critical biography, performance pamphlets, performance evaluation, etc. to know the concept and historical developments of Orientalism and grasp the Orientalism found in modern danc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thnic dances of Seung-heui Choe. It is to propose various viewpoints of modern dances so as to establish the contextual foundations on which the Korean dance history may be understood. The Oriental dance theories of Seung-heui Choe try to express the harmony of lines, colors, and static beauty of Oriental arts while expansively dealing with Korean dances, Chinese dances, and Japanese dances. Her theories conventionalize the spirit of races that has a tradition of thousand years in order to clearly represent Oriental beauty. The works and activities of Seung-heui Choe including her 「Buddhist Saint Dance」in her middle years have similarities to Oriental dances pursued after by a Western modern dancer Ruth Saint Dennis. Her works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beauty whose image is peaceful and quiet, on the base of traditional materials of each race. Contemplations and sensualities of the image are also finely combined and converted in theirshapes. Her consistent objective in doing so is to manifest cultural racism that searches for the identity of a race based on the cultivation of the appropriate cultures.

      • KCI등재

        최승희 연구동향 분석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유미희 한국무용예술학회 2018 무용예술학연구 Vol.7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researches on Choi Seunghee. From 1958 to 2018, a total of 289 researches related to Choi Seunghee were calculated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material of the Korean Educational and Scientific Information Service Institute. Among them, book, these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targeted for this study. The criteria of research trend analysis were classified by research type, topic, and date. In the classification results by the research type, literature study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63%, and in the classification results by the research topic, Choi Seunghee’s art world was the most with 33.2%. The classification results by the research date, showed that the initiative research of Choi Seunghee in the development of the new dance was conducted in 1958. There were only four studies until 1988, but there were 28 studies between 1989 and 1998, and 118 studies between 1999 and 2008, which showed a remarkable quantitative growth. Also, a total of 146 research works were produced between 2009 and 2018.

      • KCI등재

        최승희의 『조선아동무용기본』 내용분석 : 춤의 구조적 분석을 중심으로

        유미희 한국무용기록학회 2004 무용역사기록학 Vol.7 No.-

        본 논문은 최승희의 저서 『조선아동무용기본』을 중심으로 조선아동무용기본에 나타난 춤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내용은 우선 이론적 배경으로서 춤의 분석체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아동무용기본』 에 제시된 무용훈련을 위한 작품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조선아동무용기본의 특성과 의의를 전개함으로써 최승희 춤이 지니고 있는 무용사적 의의를 탐색하고 있다. 구조적 접근을 통한 최승희 춤의 분석은 거시적 측면과 미시적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거시적 분석에서는 무용훈련작품의 주제, 무용수, 시각적, 청각적 요소를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주제에 있어서 『조선아동무용기본』은 자연의 형상과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묘사하는가 하면 고학년으로 갈수록 공산주의 건설에의 헌신이라는 집단적 측면을 강조하는 사상적 이데올로기를 심화된 주제로 선택함으로써 북한의 사회주의적 교육의 한 형태로서 춤이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혁명의식의 중요성의 강조는 소년과 소녀가 모두 공동으로 참여하는 집단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소년단복과 개량한복의 의상과 일상적인 소품들이 동원되었다. 무용훈련 작품에 사용된 음악의 대부분은 가사를 담은 동요나 조선 민요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미시적 분석은 움직임의 구조와 특질로 대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나타났다. 신체사용부위, 공간, 그리고 접촉유형의 개념 등을 응용한 구조적 측면이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즉 최승희는 무용예술이 인체동작을 기본수단으로 하는 형상적 수단의 특수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아동들의 정서 교양과 함께 신체를 균형적으로 조화 있게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고개, 허리, 무릎, 다리, 발, 팔, 손에 이르기까지 상체와 하체, 그리고 중심에서 말단에 이르기까지의 움직임을 단련시키는 동작을 기본동작으로 설정하여 다양한 신체부위에 대한 인식을 중시하고 있다. 공간사용에 있어서는 팔과 다리의 제스처를 통해 팔과 다리의 고유운동공간을 인식시킬 뿐 아니라 높낮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공간에 대한 다각적인 인식을 모색하고 있다. 접촉유형은 신체의 각 부분끼리의 관계와 신체의 어느 한 부분과 물체와의 관계라든가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통해 나타난다. 아동무용기본의 무용작품에 등장하는 소도구를 이용한 휘젓기, 돌리기 등의 동작 훈련은 물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신체부분의 조절 능력을 배양하고 있다. 또한 무용작품을 통한 훈련에 있어서 인민학교에서부터 기술학교에 이르기까지 소년과 소녀로 구성된 쌍무를 비롯한 군무를 위주로 한 작품 구성, 공간적 대조와 직선, 대각선, V자형, 원의 형성 등 춤길의 변형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표현의 변화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결론적으로 아동무용기본의 무용작품은 대부분이 한복을 착용한 소녀의 의상과 기본 동작훈련에 있어서 조선장단의 사용, 그리고 생활에서 나오는 사실적인 동작의 표현으로 조선민족의 생활감정을 묘사하고 있다. 이는 아동무용 창작을 조선 민족무용 전통과 민족 무용기본에 의거함으로써 조선의 민족적 특성을 뚜렷이 구현하고자 하는 최승희의 예술적 의지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determ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s covered in the 『Basics to Children Dances in Joseon』(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asics") authored by Seung-hui Choe. First of all, I theoretically examined the analytical system of dance. Based on the examination, I conducted structural analysis of the dance works for the dance training suggested in the 『Basics to Children Dances in Joseon』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Basics to grasp the significance of Choe's dances in the dance history. Structural analysis of Seung-hui Choe dances was developed from both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s. The macroscopic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hemes of dance training works, number of dancers, and visual factors and auditory factors. It is found that themes of the dance works are derived mainly from the forms and beauty of landscape. However, when the dance works are applied to students of higher grades, the themes are focused on ideological and collective subjects such as commitment to the construction of a communist regime, showing that dances are playing an important part in socialistic education of North Korea. The importance of revolutionary ideas is embodied in group dances performed by both girls and boys dressed in boys corps uniforms and reformed Korean traditional costumes accompanied by ordinary properties. Most of music employed for dance works is children or folk songs with their words. Meanwhile, the microscopic analysis was primarily conducted on the structure and nature of dance move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Dances are characterized by body part movements, spaces, and touch patterns applied to dances. Dance training is conducted on various body regions, with a focus on movements of upper and lower parts and central and terminal parts of the body. The spaces unique to the movements of arms and feet are recognized by the gestures of arms and feet. Different recognitions of the spaces are expressed by changes in the relative height of dance movements. Touch patterns are represented by the relation between body parts, between a body part and an object, and between persons. Furthermore, the relation between dancers may be used to express the changes in floor patterns including the contrast of spaces and the formation of straight lines, diagonal lines, V-types, and circles. Conclusively, most of Choe's works are based on children dances, performed by girls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and expressed by Joseon rhythms and realistic movements derived from everyday living, describing ordinary sentiments of the Joseon race. The firm will of Seung-hui Choe is reflected on her artistic creation of children dances, clearly representing the ra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 KCI등재

        처용의 춤과 다윗의 춤에 나타난 춤의 의미 연구

        유미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는 처용설화에 나타난 처용의 춤과 성서의 법궤설화에 나타난 다윗의 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동서양 춤 의 통시적 관점을 통해 초등교육에서의 춤의 가치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중 심으로 처용의 춤과 다윗의 춤 관련 서적, 논문, 인터넷 자료 등을 바탕으로 하여 춤의 연행배경, 내용, 그리고 음악, 의상, 움직임의 특징과 같은 여러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살핌으로써 춤의 의미와 특성을 밝히고 있다. 본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처용의 춤과 다윗의 춤은 벽사(辟邪)와 진경(進慶)의 의식적인 춤으로 신과의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고 있다. 둘째, 처용과 다윗은 예술적 능력의 소유자로 길거리 가무에서 처용은 자유분방하고 절제 된 움직임을 사용하는가 하면 다윗은 빠르고 격정적인 춤으로 신에게 제사를 드리고 있다. 셋째, 처용과 다윗의 춤은 인간과 신의 조화로운 관계를 표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는 초등무용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하나로 화해와 공존을 추구하는 다문화적 시민성을 양성하는데 중요한 기제가 될 수 있다. 넷째, 춤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통해 동서양의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diachronic viewpoint of dance in the Eastern and Western worlds through exploring the meanings of dance observed in Cheoyong’s dance and David’s dance. As to research methods, the meaning of dance in each cultural region was explored mainly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dance performance,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ovement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eoyong’s dance and David’s dance were ritual dances for keeping away evil spirits and seeking blessings, and they pursued reconciliation and peace with God. Second, Cheoyong and David were extraordinary characters with outstanding artistic talents. In worshiping God, on the other hand, Cheoyong used unrestrained and moderate movements while David used solemn but quick and violent movements in his street dance. Third, Cheoyong’s dance and David’s dance expressed the human will to establish harmonious relationships, and therefore, they may be effective as an important mechanism in implementing multicultural values as a type of cultural education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