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중 위암의 전이성 난소 병변과 동반된 가성 메이그스 증후군

        유래미 ( Rae Mi You ),신유정 ( You Jung Shin ),김민균 ( Min Gyun Kim ),심재윤 ( Jae Yoon Shim ),원혜성 ( Hye Sung Won ),이필량 ( Pil Ryang Lee ),김암 ( Ahm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7

        Pseudo-Meigs` syndrome is a syndrome that includes hydrothorax and ascites secondary to ovarian tumors other than solid benign fibroma.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case of a 29-years-old female who complained of abdominal distension with peripheral edema during her third trimester. Two solid masses of 15 cm dimension in the left abdomen and 7 cm dimension in the right abdomen were detected by ultrasound and chest X-ray revealed right pleural ef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firmed the ovarian masses and ascites. As the patient had regular uterine contractions, we decided to perform emergency cesarean section because of previous cesarean section history. A laparotomy was performed and pathologists confirmed the presence of a metastatic adenocarcinoma. Four days following the surgery, gastroduodenoscopy revealed a huge ulcerofungating mass was visible in greater curvature of stomach. The final diagnosis was metastatic adenocarcinoma from gastric cancer. Although pseudo-Meigs` syndrome is very rare, i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evaluating female complaining with ascites in ovarian tumor.

      • KCI등재후보

        한국인 폐경 여성에서 Drospirenone 2 mg과 17β-estradiol 1 mg 투여의 혈압, 체중, 지질의 영향

        신유정 ( You Jung Shin ),이선주 ( Sun Joo Lee ),권수경 ( Su Kyeong Kwon ),유래미 ( Rae Mi Yu ),강혁재 ( Hyuk Jae Kang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2

        연구목적: 현재 17β-estradiol/drospirenone 혼합제제는 폐경 여성의 호르몬 치료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한국여성에서의 drospirenone 제제의 심혈관에 대한 영향 및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17β-estradiol/drospirenone 혼합제제의 혈압 강하 및 지질수치 변화에 대한 효과를 24개월에 걸쳐 평가하고 약제에 대한 부작용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12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 방문하여 폐경이 진단되고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를 처음으로 처방받은 총 417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검토하였다. 혈압 측정을 시행한 125명의 환자를 이들의 혈압에 따라 그룹 1 (정상 혈압군, n = 76)과 그룹 2 (고혈압전기 또는 고혈압 1기 환자, n = 49)로 나누어 호르몬 복용 이전에 혈압과 체중, 혈액검사를 시행하고 복용 시작 1, 2, 3, 6, 9, 12, 18, 24개월 후에 측정한 값들과의 비교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지질 수치는 복용 전과 복용 시작 6, 12, 24개월 후의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고밀도 지단백 그리고 중성 지방 수치를 비교하였다. 또한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단 및 약제 변경의 사유와 투약 후 나타난 부작용에 대해 평가하였다. 통계는 기준선의 특징에 대해서는 SPSS 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고 투여 전후 혈압, 체중, 지질 수치 변화에 대해서는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사용하였다. 결과: 최초 진단 후 처방 당시 환자 평균 연령은 52.4 ± 3.9 세였으며, 복용 일의 중앙값은 279 일이었다. 폐경여성에서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의 투여 후, 그룹 1과 2에서 혈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체중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없었으며, 지질 수치의 변화는 측정한 값 중 중성지방만이 의미있는 감소가 있었으나, 각 측정시기만을 고려했을 때는 복용 후 18개월 후 저밀도 지단백 그리고 중성 지방 수치의 의미있는 감소가 있었다.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 복용 중단 또는 약물 변경한 주요 이유로는 점상 질출혈 (28%),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27%), 증상에 효과가 없었던 경우 (26%)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 복용은 폐경 여성의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 체중 감소는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리고 지질 수치 중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widely used combination hormone therapy, drospirenone and 17β-estradiol on the blood pressure, body weight, lipid profiles, and major side effect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Four hundred seventeen menopausal patients who were being treated with drospirenone/17β-estradiol at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December 2007 and October 2010 underwent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ne hundred twenty-fiv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blood pressure, as follows: group 1 (normal blood pressure, n = 76); and group 2 (stage 1 hypertension and pre-hypertension, n = 49).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body weight were checked before the treatment, and 1, 2, 3, 6, 9, 12, 18 and 24 months after taking the medication. Results: The median days of administration were 279. The combination of drospirenone and 17β-estradiol had a blood pressure-lowering effect in groups 1 and 2. However, the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Only the level of triglycerides decreased with time and th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ow 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level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18 months after the medication. The most common reasons for discontinuouing medication were vaginal spotting (28%), fear of side effects (27%), and ineffectiveness (26%).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drospirenone/17β-estradiol caused a decrease i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body weigh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urthermore, triglycerid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and there were no severe side effects of the medication reported.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102-109)

      • KCI등재

        일측성질폐쇄 및 동측신장무형성을 동반한 중복자궁의

        전은진 ( Eun Jin Jeon ),유래미 ( Rae Mi You ),권수경 ( Su Kyeong Kwon ),윤재원 ( Jae Won Yoon ),강혁재 ( Huk Jae Kang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5

        Uterus didelphys with unilateral obstructed hemivagina, and ipsilateral renal agenesis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due to Mullerian duct malformation. The most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 is dysmenorrhea, pelvic pain, vaginal or pelvic mass after menarche. Early diagnosis is important, to preserve fertility, to prevent adhesion due to retrograde menstruation, hematometra, hematosalpinx and endometriosis which lead to distorted pelvic anatomy. These anomalies could be diagnosed with ultrason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section or incision of vaginal septum is adequate treatments to relieve symptoms and reserve fertility. We report a case of uterus didelphys with unilateral obstructed hemivagina and ipsilateral renala genesis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배꼽을 통한 단일공 복강경하 자궁외 임신 수술

        엄정민 ( Jeong Min Eom ),노현진 ( Hyun Jin Roh ),이수정 ( Soo Jeong Lee ),주원덕 ( Won Duk Joo ),이미영 ( Mi Young Lee ),유래미 ( Rae Mi You ),유항조 ( Hang Jo Yo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8

        목적: 본 연구는 배꼽을 통한 단일공 복강경하 자궁외 임신 수술의 방법, 유용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2009년 10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울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외 임신으로 단일공 복강경 수술을 시행 받은 총 6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나이의 중앙값은 33.5세 (범위, 32~36)였고 BMI의 중앙값은 20.6 kg/m2 (범위, 16.5~28.7)이었다. 자궁외 임신낭의 가장 큰 직경의 중앙값은 4.8 cm (범위, 3.0~5.4)이었고 모든 환자에서 임신낭 파열과 복강내 출혈을 보였다. 수술에 소요시간의 중앙값은 77.5분 (범위, 59~95)이었고, 수술 중 실혈량의 중앙값은 40 mL (범위, 20~50)이었다. 수술 후 재원 기간의 중앙값은 2일 (범위, 1~3)이었고, 재원기간과 마지막 추적 관찰 기간 동안에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배꼽을 통한 단일공 복강경하 자궁외 임신 수술은 자궁외 임신 치료에서 안전하고 유용하였고, 기존 다공법 복강경하 수술에 대안이 될 가능성이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nsumbilical single-port access laparoscopic surgery of ectopic pregnancy. Methods: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six patients who underwent transumbilical single-port access laparoscopic management of ectopic pregnancies. Results: The median age of 6 cases was 33.5 years (range, 32 to 36), and the median body mass index was 20.6 kg/m2 (range, 16.5 to 28.7). The median largest diameter of G-sac was 4.8 cm (range, 3.0 to 5.4). Intracorporeal rupture and hemoperitoneum were accompanied in all cases. The median time needed for the surgery was 77.5 minutes (range, 59 to 95). The median estimated blood loss was 40 mL (range, 20 to 50). The median postoperative hospital day was 2 days (range, 1 to 3). There were no complications on postoperative course and follow-up. Conclusion: Transumbilical single-port access laparoscopic surgery for ectopic pregnancy was feasible and safe. This approach might be reasona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laparoscopic surgery using 3 or 4 port in the management of ectopic pregn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