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적인 것 너머의 종교학, 그 가능성의 모색: 종교학의 ‘생태학적 전회’를 상상하며

        유기쁨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5 No.35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인간적인’ 현상으로서 종교를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 종교학은 그간 꾸준히 연구 범위를 넓혀왔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는 실제적인 생태환경 악화의 문제를 통해 인간중심적 사고의 한계를 심각하게 경험하고 있다. 많은 현대인들은 생태적 위기를 경험하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간중심적 시각에 문제가 있었음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인간적인 것 너머로 확장된 시야에서 인간을, 그리고 인간적인 것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가 전 방위에서 요청되고 있다. 실제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로서 생태환경의 악화는 오늘날 종교를 논의하기 위해서도 매우중요한 맥락을 형성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이 생태학적 시각과 종교연구의 접목이다. 이 글은 종교연구에 생태학적 시각을 접목해서 진행되어온 학계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른바 ‘인간적인 것 너머의 종교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그런데 생태학이라는 단어가 포괄하는 내용은 광범위하며, 생태학적 접근법은 단일하지 않다. 이 글에서는 생태학으로 통칭되는 여러 층위의 이야기들을 엄밀히 구분하기보다는, 그러한 복합적 층위의 생태학과 종교학이 만나서 새롭게 탄생할 수 있는 이야기의 층위들을 상상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른바 자연과 문화의 관계에 주목해서 진행되어온 연구의 갈래를살필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생태학적 시각을 자신의 연구에 접목시킬 때, 종교를 포함한 인간의 문화가 자연과 상호관계 속에 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연구를 진행해왔다. 곧인간의 문화는 “자연”이란 개념 자체가 구성되는 방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연 세계 자체는 “종교” 개념이 구성되는 방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II장에서는이처럼 자연과 문화의 상호 관계에 주목해서 진행되어온 연구 흐름을 살피고자 한다. 그런데 생태학과 종교연구의 만남이 ‘자연과 문화’의 상호관계의 구도에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자연과 문화의 분리를 암묵적으로 전제한 뒤 그것들을 다시 연결하려는 기획에 문제를 느껴온 학자들이 있다. 그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III장과 IV장에서는 고전적인 ‘문화와 자연’의 이분법을 넘어서 생태학적 시각을 종교연구에 접목할 수있는 가능성을 살펴보려 한다. III장에서는 문화의 중재 없이 개인의 직접적인 경험을 중시하는 흐름을 살피고, 이를 종교연구에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려 한다. IV장에서는 이른바 ‘유기체+환경’의 생존단위에서 종교현상을 재정위하고, 문화, 나아가 인간적인 것 너머로 확장하는 종교학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려 한다 The religious studies, which started from an attempt to explain the religion in terms of ‘the distinctive human’ phenomenon, has been steadily expanding its scope of researches. However, this human-centered perspectives and reasonings have caused the ecological problems and we are now seriously confronted with the ecological crises. And the changes are greatly asked in the human -only-oriented viewpoint. The deterioration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re urgently practical problems and involved in complex issues, which eventually draw our attentions into the context of the religious studies. What is important in here is how the ecology and the religious studies work together in the same arena.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rvey the research trends how to combine the ecological perspectives with the religious studie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what is so-called ‘the Religious Studies Beyond the Human’. Here, I try to figure out the various layers of the ecological views and explore its possibilities and the proposals and offerings done by the relig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I firstly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culture. The scholars of the ecological studies have importantly focused on the fact that human cultures, including religion, are in a keen relationship with nature. Human culture plays an crucial role in a way, in which the notion of “nature” is itself consisted, and the natural world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way, in which the concept of “religion” is constructed. In Chapter II, I will look at research tendenc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culture. However, the encountering between the ecology and the religious studies does not proceed only in the direction of elucidating the interrelationship of 'nature and culture'. But some scholars felt the problems in tacitly presupposed separation of nature and culture and then propose to plan to reconnect this separation. In Chapter III and IV I am applying the ecological perspective to the religious studies over beyond the classical 'culture and nature' dichotomy. In Chapter III, I look at the direct individual experience of the ecological agendas without the intervention of culture and look for the possibilities to incorporate Arne Naess's the “deep” awareness of the deep ecology into the religious studies. In Chapter IV, I explore to redefines the religious phenomenon on focusing on the so-called ‘organism+ environment’ format, and look for the possibilities of establishing the notion of ‘the Religious Studies beyond the Human’.

      • KCI등재

        북미 심층생태학의 전개와 특성: 생태학과 종교/영성의 결합을 중심으로

        유기쁨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1970년대 초반에 북유럽 철학자인 네스는 생태문제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을 주장하면서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이란 용어를 처음 고안해냈다. 네스의 심층생태학이도입되기 전, 북미에서는 한편으로는 문제의 심층적인 원인을 찾아 심층적인 해결을 도모하려는 분위기가 일각에서 조성되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 근대의 한계를 경험한 사람들 사이에서 대안 영성을 모색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었다. 그러한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에서 심층생태학은 생태학과 종교/영성을 결합하는 독특한 방향으로 성장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아느 네스가 제안한 심층생태학과 북미의 상황에서 전개된 심층생태학을 구별해서 살피되, 특히 심층생태학에서 종교/영성이 중요하게 결합되게 된 맥락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네스의 생태학에서 중요한 개념을 살피고, 심층적인 변화를 위해 네스가 제안한 생태지혜의 특징과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네스의 심층생태학이 도입되기 전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을 살피고, 북미 심층생태학의 전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드볼(Bill Devall)과 세션스(George Sessions)의심층생태학의 특징과 주요 전략을 분석할 것이다. 심층생태학이란 용어를 처음 제안한 네스는 생태위기에 직면해서 종교나 영성을통하지 않고서 심층적인 물음을 묻고 심층적 해결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러나 북미 심층생태학에서는 이를 위해 생태적인 영성의 발견 및 계발을 중요시하였고, 네스의 복잡한생태철학적 논의보다는 종교/영성과 결합된 북미의 심층생태학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In the early 1970s, Arne Naess, the Nordic philosopher, invented the term, “Deep Ecology”, which claims on the deep approaches to the ecological problems. Before introducing Naess’s “the deep ecology” to North America, there was an atmosphere of searching to deep-rooted causes of the ecological problems and solving them deeply. On the other side there was also a trend of seeking the alternative spirituality rather than the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s. In such North American socio-cultural milieux, the deep ecology has grown into an unique direction that is tended to interactively combine and reconcile the ecology and the religion/spirituality. In this paper, I try to look at the deep ecology initially proposed by Arne Naess and try to differentiate the tenets of the deep ecology, particularly developed in the context of North America from the perspective of reconciliation of religion/ spirituality and the ecology. To do this, I first delineate the critical concepts in Naess's ecology, and look at the features of Naess's ecosophy. Next, I examine the socio-cultural soil of North America before the introduction of Ness's deep ecology and analyze how Bill Devall and Session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North American deep ecology on Naess’s behalf. Naess, created the new terminology of “deep ecology”, seriously faced with the ecological crisis and wanted to ask “deep” questions and explore “deep” solutions but didn’t go through the perspectives of the religion or the spirituality. However, North American deep ecologists emphasized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ecological spirituality for this purpose. The tendency of the deep ecology of North America is typically combined with the religion/spirituality which is more widely known worldwide than the complex ecological philosophical discussions claimed by Arne Naess himself.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종교계 생태 NGO의 전개와 성격 −저항과 생태 교육을 통한 사회참여−

        유기쁨 한국종교교육학회 2009 宗敎敎育學硏究 Vol.29 No.-

        본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종교 영역이 국가 영역에 개입하는 통로로서 종교계 생태 NGO의 등장 맥락과 시기별 역할 변화, 사회참여 방식 및 종단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종교계 생태 NGO들은 국가와 종단을 동시에 견제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정치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종교계 생태 NGO은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종단 내부로 전달하고 시정하는 역할과 동시에 해당 종교인들이 국가의 정치에 개입하고 목소리를 내는 창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종교계 생태 NGO들은 다양한 저항운동 뿐 아니라 생태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참여 활동들은 종교계도 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시민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를 형성하고 있다. 나아가 종교계 생태 NGO를 중심으로 종단간 연대와 협력,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남산의 근,현대 수난사 : 종교적 상징의 이식과 ‘空間化’ 과정

        유기쁨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1

        This article shows how Namsan has been exploited by state power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focusing on transplanting religious symbols and practicing rituals as apparatus of justification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Namsan was treated like an empty ‘space’ where any symbols could be implanted irrelevant to Korean people’s emotion and experience of Namsan.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the environment of Korean society rapidly has changed, Korean people’s attitude to Namsan have not changed so much. Namsan have been flourished with so many religious symbols for dissolving, substituting, or covering Japanese symbols. Through those all processes, Namsan have been treated just like a passive, empty, meaningless space. Ch. 2 looks into symbolic location of Namsan during Chosun period briefly. In Ch. 3, I analyze the process of the rearrangement of Namsan as a symbolic center of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appropriation/dissolution of Chosun’s Symbols. In Ch. 4, I show the dissolution of Japanese Symbols and the recover of new symbols onto it sinc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이 글에서는 근현대기에 남산에 부여되어 온 상징적 의미들 및 그러한 의미화의 장치로서 의례들이 수행되어온 지난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근현대기 남산은 사람들의 남산 경험과는 무관하게 수많은 종교적 상징들이 과잉으로 이식/해체/덧씌워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오히려 종교적, 상징적 의미가 희박해지며 어떠한 상징도 이식될 수 있는 텅 빈 배경인 마냥 ‘空間化’되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II 장에서는 근현대 남산 수난사의 배경으로, 조선시대 남산의 위상을 살펴볼 것이다. III장에서는 한말 일제 강점기에 남산이 식민정당화의 상징적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 및 한민족 상징의 전유, 해체 및 재구성의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IV장에서는 해방후 일본식 상징의 해체와 새로운 상징 덧씌우기가 어떻게 이루어져왔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남산이라는 공간이 다양한 목적을 위해, 특정한 종교적 장치들을 통해서, 특정한 의미를 이식하기 위한 장소로 전략적으로 재구성되는 가운데 종교적 상징의 일방적 이식이 가져오게 된 결과의 의미를 짚어볼 것이다.

      • KCI등재

        장소에 기반을 둔 풀뿌리 종교생태운동의 모색 - 지리산 실상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유기쁨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6 南道文化硏究 Vol.0 No.30

        이 논문은 지리산 실상사의 생태적 실천을 분석함으로써, 구체적인 장소에 뿌리내린 종교생태운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생태운동 에서 장소 기반의 운동이 왜 중요한 것인지를 살피고, 그러한 운동에서 문화와 종교의 중요성을 조명할 것이다. Ⅲ장에서는 한국 생태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실상사의 자리를 검토함으로써 실상사 중심 생태운동이 지닌 의의를 살펴보고, 실상사의 생태운동이 지리 산 속 사찰이라는 장소성을 적극 활용하여 일종의 그물코로서 기능하는 측면을 분석할 것이다. 이때 실상사의 생태운동에서 종교의 주요 자산이 활용되는 방식 및 실상사 생태운동이 지 리산이라는 장소를 의미화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종교공간을 중심으로 한 풀뿌리 생태운동의 특성과 한계를 살필 것이다. Ⅳ장에서는 지역의 종교공간을 활용한 풀뿌리 종교생태운동의 독특함을 드러내는 사례로서, 헤테로토피아의 물리적 구현으로 서 실상사의 공간 구성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분석할 것이다. Ⅴ장에서는 실상사 생태운 동의 의의와 한계를 짚어 보고, 장소에 기반을 둔 풀뿌리 종교생태운동의 가능성을 가늠 해볼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ecological activities of Silsang-sa (an old temple on Jiri Mountain) to find the possibility of place-based religious ecological movements. For this purpose, I analyze the topology of Silsang-sa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logical Movement. Here, the term ‘topology’ is used in a double meaning to indicate the discussions on ‘topos’. One is to look into the topos of Silsang-sa’s ecolog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logical Movement. The other is to explore the mode of signifying the place of Jiri Mountain by Silsang-sa. I will analyze the space organization of Silsang-sa as a materialization of heterotopia. By showing the main religious properties used by Silsang-sa for ecological activities, I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Silsang-sa’s Religious Ecological Movement.

      • KCI등재

        Looking for Salvation beyond a Risk-laden Reality: The Religious Nature of Korean Internet Culture

        유기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Korea Journal Vol.47 No.2

        This paper reviews the various phenomena arising from the rapid diffu-sion of the Internet in Korean society since the late 1990s, with the viewthat Korean Internet culture has some aspects that can be seen as reli-gious. Here, I approach the religious nature of Korean Internet culturein two dimensions. Firstly, I regard Koreans enthusiasm for cyberspaceitself as a religious phenomenon. For background on this, I argue thatmodern Koreans experiencing excessive anxiety due to the stress ofcomplex risks seek relief by connecting to cyberspace as an alternativeform of reality.Secondly, I examine what might be regarded as religious phenome-na among the events taking place in Korean cyberspace today. For this,I focus on some notable features of Korean cyberspace. Of special noteis the spread of the myth that one can become a different person andenjoy a better life through online consumption, and the formation of anew consumer culture of impulse shopping. I also examine how themyth of another reality in cyberspace generates inner power throughtwo dimensions of online rituals. I believe that analyzing the religiouscharacter of Korean Internet culture, along three axesits background,myth, and ritualswill enable us to reflect on its present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