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명박 정부 지방분권정책 평가 -성과와 과제-

        유경화 ( Kyung Hwa Yu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7 No.-

        새 정부 출범 1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 역대 정부의 지방분권정책에 대한 평가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지금 시점에서는 지난 정부의 성과와 과오를 되짚어봄으로써 새 정부의 정책, 특히 지역균형발전과 연계한 지방분권정책 추진의 바람직한 방향과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데서 출발한다.본 연구의 평가대상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부터 2012년도 하반기(12월말)까지로 하며, 평가방식은 주로 2차 자료인 지방분권촉진위원회의 "2012년도 지방분권과제 추진상황 점검, 평가 결과"를 활용한 내용분석방법으로 이루어졌다.평가 결과 형식적으로는 4개 분야 20개 과제 56개 세부추진항목 중 39개 항목이 완료되어 추진성과가 약 69% 달성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하지만, 핵심지방분권과제인 재정분권, 자치입법권 강화, 자치경찰제 도입, 정치의 분권화, 지방의회 운영의 활성화, 일반자치와 교육자치 통합, 기관위임사무 폐지, 특별지방 행정기관 정비 등의 실적에서는 높은 평가를 기대할 수 없었다.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 지방분권의 발전이 미흡한 이유로는 통치권자의 지방분권의지의 약화,중앙-지방정부간 갑과 을의 관계 고착화, 전문가, 시민단체, 중앙언론이 지방분권에 소극적 입장을 견지,국회가 각 중앙부처에 포섭되어 지방분권의 의지가 취약하다는 점 등을 지적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이명박 정부의 지방분권 정책평가 결과 나타난 시사점을 명시하고, 박근혜정부에서 추진하여야 할 지방분권 과제 및 방향을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다.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을 확대와 행정역량 및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지방분권개혁, 주민자치적 측면을 강화한 지방분권개혁,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한 지방분권개혁, 지방의회의 위상 및 역할 강화의 필요성 강조, 지방분권형 개헌추진 요구,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연계 및 자치경찰제의 실시를 위해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접근의 필요성 강조,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 양 정책이 선 순환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추진체계가 재정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At this moment of first year of new government, the local decentralization policies of governments in history are being evaluated variously.With this background, this paper starts from the need of a study to provide the desirable direction and guidelines for policy enforcement of new government, especially local decentralization policies connected with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by looking back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s in history. The subject of appraisal on this paper is on the period from the establishment of Lee government to the second half (the end of December) of the year 2012, and the evaluation system is content analysis mainly using the secondary source from the decentralization advancement committee, "the results of a check and evaluation on policy enforcement situation of the local decentralization project of the year 2012." The result has shown that 39 subsections out of 56 subsections of 20 projects in 4 areas have been completed, which makes 69% of progress result.But the performance of the core local decentralization subjects cannot be expected to have highly rated, including the reinforcement of self legislative power, the introduction of local police system, the political decentralization, the vitalization of local council management, the integration of general and educational autonomy, the abolition of agency delegated affairs, and organizing the specialized local administrative agency.With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several factors caused insufficient progress of local decentralization, including weakened presidential will for local decentralization, the persistence of master-servant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reluctant stance of experts, citizen organizations, and central press for local decentralization, and the weakened will of the National Assembly being taken to the central departments.It has been emphasized including the decentralization revolution to expand autonomy and to reinforce administrative capability and responsibility of a local government, the decentralization revolution reinforcing the citizen autonomy aspect, the decentralization revolution regarding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the necessity for reinforcement of status and role of a local council, the demand for promoting constitutional revision for decentralization, the necessity for systematic and phased approach to implementing the local police system and to integrating the general and educational autonomy, the reestablishment of central government propulsion system to maintain virtuously circular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decentralization policy and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 정당의 공천과정에 관한 연구 -19대 총선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을 중심으로-

        유경화 ( Kyung Hwa Yu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후보 공천과정을 분석하여 공천의 특징과 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한 정당 내부의 역학구도 및 정당유형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정치적 함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4년에 치러진 17대 총선에서 도입된 경선은 대선 직후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이유로 치러지지 않았던 18대 총선을 거쳐 다시 19대 총선에서 재시행되었다. 19대 총선에서의 경선 제도는 외관상 개방적 후보선출권과 민주적 후보선출 방법을 채택하는 듯 했지만, 각 당의 당헌·당규를 파악해 본 결과 사실상의 공천권은 공천심사위원회가 갖고 있고, 그 공심위의 영입주체로서의 당 지도부의 영향력 역시 크다는 점에서 여전히 극복되지 못한 공천과정의 배타성과 비민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천과정은 민주화 이후 시행된 하향식 공천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더 나아가 한국 주요정당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정책 결정 및 의제 설정 권한이 당 지도부에 집중 되어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중요 사안을 결정하는데 당원들이 참여하는 기제가 마련되어 있기 보다는 막강한 당지도부의 영향력으로 인해 당내 민주주의가 이루어지기 힘든 제도적 어려움은 여전히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정당의 후보공천 과정에서 대표성과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각 정당마다 정당지도부에 의해 선출된 공천심사위원회의 전략공천이나 일방적 후보 결정방식은 개선되어야 하고, 각정당의 공천 규정과 기준도 안정적으로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정당이 지지율 상승과 선거에서의 승리를 위해 개방성 강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여건과 진정성 없는 의지의 표현은 오히려 지지율 하락과 당내 민주주의의 발전방안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 또한 강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ndidates selection process of Saenuri and Minjoo party in Korean 19th general election and to find out features and types of candidates selection, eventually to visualize political implic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Public participating candidates selction system” in the selection of parliamentary candidates, first introduced in the 17th general election, was abandoned in the 18th one due to lack of time to launch, nevertheless, it was re-introduced with reinforced in the 19th generel election. The voting system that reintroduced candidates selection in the 19th election seemingly shows open selectorate and democratic selection method, however, through analyzing party constitution and regulations, it is found that the real selectors were not public but are candidates selection screening committee and party leaders who nominate nomination committee``s members, showing exclusive and undemocratic candidates selection process. It means there is no much difference in the 19th candidate selection process and top-down nomination system which was used right before the voting system after Korean democratization. This candidates selection process of 19th election shows that the authority of most political activities is concentrated on party leaders. They have so much power on decision-making and setting agenda that it is difficult for general party members to participate in the party decision. In conclusion, to increase political party``s representation and trust, strategic nomination or one side candidate selection by the candidate nomination committee of each central party should be improved and each party``s rule and criterion for candidate selection should be institutionalized more stably. Moreover, while trying to strengthen openness for triumph in the party polls and raising approval rating, it must be emphasized that unprepared circumstances and non-authentic expressions to public do nothing but rather suggest decline of approval rating and are nothing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democracy in the parties.

      • KCI등재
      • 지방선거와 정당공천에 관한 연구 -정당공천의 한계와 개선방안-

        유경화 ( Kyung Hwa Yu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8 No.-

        2014년 6.4지방선거를 앞두고 기초단체 선거에 정당공천제를 유지할 것인가 폐지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국회를 비롯한 정치권의 가장 뜨거운 화두였으나, 결국 중앙정당들은 공천을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 지방선거를 치렀다. 이 과정에서 특히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공천과 관련한 정당내부의 불협화음으로 국민에게 큰 실망을 안기기도 했다. 지방선거에서 정당공천을 찬성하는 쪽은 풀뿌리 민주주의 그리고 정당정치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반면, 정당공천제를 반대하는 쪽은 지방정치의 중앙정치에의 예속화, 공천과정의 비리. 지역분활구도의 고착화, 신진인사의 장벽현상 등의 부작용등을 주된 근거로 설명하여 왔다. 하지만, 통치기관의 구성원리를 대의제로 채택하고 있는 현대 대의제 민주주의 체제에서 각 선거에서의 정당의 후보공천은 핵심적 요소이며, 국민과 국가의 중개자로서의 정치적 기능을 수행하여 국민의 다원적 정치의사를 유도.통합함으로써 국가정책의결정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는 정당의 본원적 소명을 우선적으로 인식해야 한다. 지방선거에서 정당공천을 금지하자는 논의를 둘러싼 논쟁의 핵심적인 배경은 지방정치인의 부정부패 및 비리로 인한 문제점들의 발생이지만, 이러한 문제는 우리나라 정당정치의 비민주화가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정당의 민주화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들을 도입하고 공천방식을 개선하는 것에서 해결해야 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무엇보다 정당의 선거참여는 당연한 것이며 책임정치 실현에 있어서 필수적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때문에 정당공천제의 지속 여부에 대한 논의보다는 정당공천제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이고 민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Faced with 6.4local elecitin of year 2014, it had been a hot potato in political communities, besides the National Assembly, whether to maintain public recommendation or get rid of it. Eventually, a majority of political parties decided to preserve it on the election. Through this process, a major opposition party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NPAD, 새정치민주연합)disappointed people with their discordant opinions about the public recommendation among theemselves. The people supporting the public recommendation on a local election view the idea as a good typical example of grass-roots democracy and importance of party politics, while the people opposing the idea consider to to be raising forece dependency of local government upon a central government, more highly possible corruption, solidification of pre-existing spatial and subcultural segregation, higher initial difficulty for newer opliticians and so on. Despite many possible disadvantages noted above, the public recommendation should be a core element of modern representative system of democratism in eace election, for which the principal systems of government organs are based on the representative system. Besides, it should be also acknowledged that oplitical parties, as media between people and a country, have their primary duty that is to have a decisive and opsitive effect on national oplicies through carrying out their oplitical functions and aggregating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