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의 표면해부학 용어 비교와 개정시안

        원호연(Won Ho Yeon) 대한체질인류학회 1994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7 No.2

        의학 영역과 체육학 영역에서 쓰이는 해부학 용어를 우리나라의 고유어와 토박이 말로 더듬어 제4차 용어 개정시 반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 통일을 염원하는 시점에서 학술용어를 통일시켜야할 당위성도 시급하다. 이 조사연구에서는 대한해부하회에서 그 동안 개정한 제3차 개정용어와 북한의 용어를 비교하여 제4차 새 해부학용어 개정시에 표면해부학 용어를 더욱 알기 쉽고, 쓰기 편한 우리의 고유어로 개정될 수 있도록 그 개정시안을 마련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 KCI등재

        제품디자인의 아이코닉(Iconic) 디자인 속성과 전략적 가치 연구 -시장 선도 전자기업의 제품을 중심으로-

        원호연 ( Won Ho Y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현대 산업에서 분야별, 시대별 아이코닉 디자인으로 평가 받는 제품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기업의 제품디자인에 나타난 아이코닉 디자인의 속성과 전략적 가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아이코닉 디자인의 개념과 이론을 고찰하고 이것의 특징과 디자인 기호학의 분류를 기준으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디자인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대상제품의 관련 디자인속성과 전략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개념 측면이다. 전문가들은 아이코닉 디자인은 고유의 디자인 이미지 형성과 전략적 요소를 가지며, 이는 제품 외형, 실루엣 및 포컬 포인트의 디테일 디자인요소 등의 도상적 이미지로 구성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 기업의 대상 제품에 대해 기호학의 해석과 도상적 이미지를 도출하고, 아이코닉 특성인 ‘주목성(차별성), 지속성(연관성) 및 확장성(인지도)’를 기준으로 디자인의 속성을 분석하였다. 초기부터 독자적 디자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세대별 모델에 일관성을 가지며 높은 인지도를 유지한 다이슨의 제품과 애플의 아이폰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각각 오랫동안 고유의 디자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유지해온 필립스와 브라운 면도기는 비슷한 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미니멀한 디자인을 가진 샤오미 미에어 제품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었고, 세대별 잦은 디자인 변화를 가진 삼성 갤럭시는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아이코닉 속성이 강한 제품들은 명확한 도상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디자인 전문가들은 아이코닉 디자인이 기업의 제품 디자인 이미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디자인 정체성을 구축할 수 있는 전략적 가치를 가진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업이 아이코닉 디자인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독자적이고 차별화된 디자인 탐구를 시작으로, 형성된 디자인 이미지를 제품군에 일관성과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진화를 시켜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In the modern industry, some products are evaluated for iconic design by sector and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ributes and strategic values of an iconic design in such a company’s product design.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 and theory of iconic design were considered, and a framework was buil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design semiotics. And based on this, the attributes and strategic values of the target products were analyzed through design expert interviews and opinion investigation. In summary, first, concept aspect, the expert evaluated that the iconic design has its own symbolic design image formation and strategic elements, and could be mainly composed of product appearance, silhouette and details design of focal points. Second, an interpretation of semiotics and the iconic images were derived about target products, and the attributes of the iconic design were analyzed based on the iconic features ‘attractiveness(differentiation), persistent(association), expandability (awareness)’. Dyson's products and Apple iPhones, which formed an original design image from the beginning, were consistent with generation models and maintained high recognition, were rated as the highest. Next, each Philips and Braun shaver which built and maintained its design images has similar properties. On the other hand, The Xiaomi Mi-Air with minimal design had a relatively lower awareness, and Samsung Galaxy, which had frequent design changes by generation, was rated the lowest. Third, the experts agreed that iconic design can influence the formation of product design images and can have a strategic value to build a design identity. In conclusion, to form an iconic design image, the company needs to start building in a unique and differentiated design, and continuously evolve the design while maintaining consistency and unity in the product lines.

      • KCI등재

        인하우스 디자인조직의 디자인 오너쉽(Ownership)에 대한 연구 -디자인 의사결정 시스템을 중심으로-

        원호연 ( Ho Yeon 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기업의 디자인경영 전략과 디자인이 시장의 핵심 경쟁력이 되면서, 인하우스(in- house) 디자인 조직의 구성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디자인의 역할과 위상도 높아졌다. 사장 직속으로 독립성이 가진 조직으로 성장하고 디자인 최고 책임자도 높은 직책과 직급으로 경영전반의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 같은 외적 성장 속에서 실제로 디자인 결정에 중요 역할을 가지는 디자인 리더쉽과 조직 위계상의 변수를 포함한 디자인 오너쉽의 현 위치와 디자인 역량을 재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디자인조직과 이해 관계팀(영업, 마케팅, 기획, R&D개발, PM팀 등)의 역할과 책임(R&R: Role& Responsibility)을 구분하고, 현 기업에서 디자인 결정 카운슬(Council)의 구성과 의사결정 기준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디자인 오너쉽의 개념 정의와 기업의 사례 조사 및 디자인 전문가에 대한 인터뷰조사를 통해서 현재 디자인 기능적 위치와 오너쉽의 상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디자인의 조직과 위상은 높게 평가된 반면에 디자인의 결정권과 리더쉽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었다. 둘째, 중요 디자인 결정에 있어서 조직적 위계체계와 역할에서 오는 여러가지 주관적 변수들이 아직도 있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기업은 부서 간 R&R과 바른 결정 방법의 재정립과 또한 디자인 오너쉽을 강화하기 위해서 디자인조직은 신뢰도와 역량을 키우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현 디자인조직의 오너쉽에 대한 실질적 진단과 더 나아가 디자인 역량을 재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후속연구는 기업의 이해 관계팀 입장에서 바라보는 디자인의 기능과 역할 평가를 통해, 디자인 신뢰도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한다. With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becoming more critical to business and design becoming a cor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the role and position of in-house design organizations have expanded. With increased independence often reporting directly to the CEO, the CDO is taking on a more influential role in company management. In this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ownership of design leadership and factors of organizational hierarchy in important design decision making. For this study, the R&R (role & responsibility) of design and cross functional teams was classified first and the council and criteria for design decisions was defined. Then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function and the notion of design ownership was analyzed with the use of company cas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design experts. In In summary, first, while the organization and reputation of design was evaluated highly, the influence of design in decision making and leadership remains low. Second, because design is still an important part of the decision, there are several objective variables resulting from the organizational hierarchy and role.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it is important for a company to redefine the R&R of each team for better decision making and the design team needs to gradually strengthen its confidence and competence if it is to increase its ownership over design. Through this study, there will be further opportunity to rethink the design capacity of the current ownership of the design organization. In subsequent research, the design reliability of design R&R will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 functional teams.

      • KCI등재

        제품디자인에 적용된 패션 하이브리드 디자인 경향과 특성 연구 -모바일제품 CMF(Color, Material, Finishing) 디자인을 중심으로-

        원호연 ( Ho Yeon 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전통적으로 전자제품 제조업과 패션업계와는 다른 산업구조와 각자의 비즈니스모델로 발전해 왔으며 각 분야의 디자인도 서로 다른 역할과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전자 제조업은 기술 집약형 산업으로 대량생산을 기준 하에 경쟁력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능위주 제품을 생산해 왔고 제품디자인도 이에 따라 소비자의 사용성, 경험 그리고 생산의 효율성에 집중된 개발을 해왔다. 반면 패션디자인은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모델개발과 시기적 출시 경쟁을 기준으로 섬유, 천, 나무, 가죽 등의 감성적 소재를 활용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면서 서로 다른 구별된 디자인 영역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두 산업간 융합 현상과 하이브리드(hybrid) 디자인 경향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그환경적 요소로는 첫째, 스마트혁명을 통해 산업간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둘째 두 산업의 접점분야인 웨어러블(wearable)산업이 확장되고 있다. 셋째 소비자의 감성과 경험이 중요한 감성테크 및 감성디자인의 시대로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모바일 특성인 개인화에 따라서 소비자의 개성과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차별화할 수 있는 디자인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위와 같은 융합 배경 속에서, 제품과 패션 하이브리드 디자인 경향과 특성고찰을 위해서 산업 간의 디자인 협업, 산업 동향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서 파악하였다. 점차적으로 디지털 제품의 CMF(Color, Material, Finishing)디자인이 차갑고 기계적 느낌에서 인간적, 감성적, 자연적인 소재와 색상으로 적용됨을 파악할 수 있었고, 기능위주의 기계적 제품에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의 수단과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의 변화를알 수 있었다. 디자인 융합화를 통한 제품의 다양성 시도와 CMF 의 새로운 조합으로 소비자의 감성적 경험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제품과 패션디자인의 하이브리드 기능과 역할이 중요해지고, 디자이너도 융합적 사고와 역량의 확장이 필요한시점이 되었다. 향후 가전, 운송, 가구 등의 다른 이종산업 간의 하이브리드 디자인 경향과 특성을 추가 연구하고자 한다. Product manufacturing and fashion industries have different industrial structure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their particular business models. The manufacturing sector has been developing product oriented hardware and software features based on the mass production under competitive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However the fashion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in a variety of models in seasonal market competition based on trends and lifestyle. The design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se two industries have become clearly differentiated. But the hybrid design trend of these two industries has accelerated recently. In its environmental factors. First, industrial convergence gets accomplished through smart evolution. Second, converged wearable industry has been growing. Third the era of emotional tech and designs which consumer`s emotion and experience are important has been came. Fourth, the differentiated and variety of design approaches that can express individuality and emotions of consumer in accordance with personalization as one of the mobile attribute are required. The hybrid design trend and characters had been analyzed through industrial case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Gradually the CMF(Color, Material, Finishing) trend of mobile products evolve to become more human, emotional, natural look and feel. In addition personal mobile devices are recognized as fashion item of self-expression and method of emotional communication. The role and functionality of product and fashion hybrid desig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maximize the consumer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the diversity of design convergence in combination with CMF. Also the extension of the converged thinking and design skills for designers will be required at this point. In follow up research, the hybrid design trend of two different kinds of industries, consumer electronics, transportation, furniture etc, will be studied.

      • KCI등재

        상수리나무와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

        원호연 ( Ho Yeon Won ),오경환 ( Kyung Hwan Oh ),표재훈 ( Jae Hoon Pyo ),문형태 ( Hyeong Tae M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1

        상록활엽수인 가시나무와 낙엽활엽수인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8년 12월 공주의 상수리나무군락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고 2009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낙엽주머니를 수거하여 분해율, 분해상수(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비, C/P비의 변화와 영양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24개월경과 후 상수리나무 낙엽과 가시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46.3±5.4%와 37.8±2.5%로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가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개월경과 후 상수리나무 낙엽과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0.38과 0.49로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상수가 높게 나타났다.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6.8, 270.9 이었으나 24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22.5와 104.2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가시나무 낙엽의 경우 초기 C/N, C/P 비율은 각각 22.4와 41.7로 나타났고, 24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16.7와 89.9로 나타났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 함량은 상수리나무 낙엽에서 각각 8.31, 0.44, 4.18, 9.38, 1.37 mg/g, 가시나무 낙엽에서 각각 19.88, 2.73, 7.06, 8.24, 2.61 mg/g으로 가시나무 낙엽의 질소와 인의 함량이 상수리나무 낙엽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24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상수리나무 낙엽에서 각각 100.91, 114.75, 32.99, 50.63, 15.51% 이었고, 가시나무 낙엽에서 각각 43.22, 11.35, 12.98, 82.22, 44.23% 로 조사기간 동안에 상수리나무 낙엽에서는 질소와 인의 부동화가, 가시나무 낙엽에서는 질소와 인의 무기화가 진행되었다.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deciduous Quercus acutissima and evergreen Quercus mysinaefolia were studied for 24 months from December 2008 to December 2010 in Gongju, Chungnam Province, Korea. Percent remaining weight of Q. acutissima and Q. mysinaefolia leaf litter after 24 months elapsed was 46.3±5.4% and 37.8±2.5%, respectively. Decomposition of evergreen Q. mysinaefoli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deciduous Quercus acutissima leaf litter. Decay constant(k) of Q. acutissima and Q. mysinaefolia leaf litter after 24 months elapsed was 0.38 and 0.49,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Q. mysinaefoli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Q. acutissima leaf litter. Initial C/N and C/P ratio of Q. acutissima leaf litter was 46.8 and 270.9, respectively. After 24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Q. acutissima leaf litter decreased to 22.5 and 104.2,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Q. mysinaefolia leaf litter was 22.4 and 41.7, respectively. After 24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Q. mysinaefolia leaf litter decreased to 16.7 and 89.7,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P, K, Ca and Mg in leaf litter was 8.31, 0.44, 4.18, 9.38, 1.37 mg/g in Q. acutissima, and 19.88, 2.73, 7.06, 8.24, 2.61 mg/g in Q. mysinaefolia,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and P in Q. mysinaefoli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Q. acutissima. After 24 month elapsed, remaining N, P, K, Ca and Mg were 100.91, 114.75, 32.99, 50.63, 15.51% in Q. acutissima, and 43.22, 11.35, 12.98, 82.22, 44.23% in Q. mysinaefolia, respectively. N and P in decomposing leaf litter was immobilized in Q. acutissima, and mineralized in Q. mysinaefolia.

      • KCI등재

        월악산 국립공원에서 신갈나무와 소나무 낙엽의 장기적 분해 및 영양염류 동태

        원호연 ( Ho Yeon Won ),김덕기 ( Deok Ki Kim ),이규진 ( Kyu Jin Lee ),박상봉 ( Sang Bong Park ),최중석 ( Joong Suk Choi ),문형태 ( Hyeong Tae M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국가장기생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와 상록침엽수인 소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2월 월악산의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고 2006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69개월간 3개월 간격으로 낙엽주머니를 수거하여 분해율, 분해상수(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비, C/P비의 변화와 영양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신갈나무와 소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35.4±2.3%와 16.1±1.3%로 소나무 낙엽의 분해가 신갈나무 낙엽의 분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신갈나무 낙엽과 소나무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5.97과 10.50으로 소나무 낙엽의 분해상수가 높게 나타났다. 신갈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3.1, 543.9이었으나 69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8.7과 141.2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소나무 낙엽의 경우 초기 C/N, C/P 비율은 각각 151.2와 391.4로 나타났고, 분해 69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22.9와 136.5로 나타났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의 함량은 신갈나무 낙엽에서 각각 9.30, 0.23, 2.36, 3.14, 1.11mg/g,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3.02, 0.09, 1.00, 3.84, 0.62mg/g으로 신갈나무 낙엽에서 질소와 인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신갈나무 낙엽에서 각각 73.8, 60.9, 17.2, 20.3, 35.1%,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69.5, 75.3, 12.3, 10.9, 10.8%로 나타났다.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deciduous broad leaf Quercus mongolica and evergreen needle leaf Pinus densiflora were investigated for 69 months from December 2005 to September 2011 in Mt. Worak National Park as a part of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 in Korea. Percent remaining weight of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leaf litter after 69 months elapsed was 35.4±2.3 % and 16.1±1.3 %, respectively. Decomposition of P. densiflor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Q. mongolica leaf litter. Decay constant (k) of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leaf litter after 69 months elapsed was 5.97 and 10.50,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Q. mongolica leaf litter was 43.1 and 543.9 respectively. After 69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Q. mongolica leaf litter decreased to 8.7 and 141.2, respectively. Initial C/N and C/P ratio of P. densiflora leaf litter was 151.2 and 391.4, respectively. After 69 months elapsed, C/N and C/P ratio of decomposing P. densiflora leaf litter decreased to 22.9. and 136.5.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P, K, Ca and Mg in leaf litter was 9.30, 0.23, 2.36, 3.14, 1.11 mg/g in Q. mongolica, and 3.02, 0.09, 1.00, 3.84, 0.62 mg/g in P. densiflora,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and P in Q. mongolica leaf l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P. densiflora. After 69 months elapsed, remaining N, P, K, Ca and Mg in decomposing leaf litter were 73.8, 60.9, 17.2, 20.3, 35.1 % in Q. mongolica, and 69.5, 75.3, 12.3, 10.9, 10.8 % in P. densiflora, respectively.

      • KCI등재

        서산지역 금강산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의 유기탄소 분포 및 흡수량

        원호연 ( Ho Yeon Won ),김덕기 ( Deok Ki Kim ),한아름 ( A Reum Han ),이영상 ( Young Sang Lee ),문형태 ( Hyeong Tae M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충남 서산에 위치한 금강산 내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의 유기탄소 흡수량의 비교를 위해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지상부와 지하부 생물량, 낙엽생산량, 낙엽층의 낙엽량, 그리고 토양의 유기탄소 분포량, 토양호흡량을 측정하였다. 지상부와 지하부 생물량에 분포하고 있는 유기탄소의 양은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각각 115.07/34.36,28.77/8.59 ton C ㏊-1이었으며, 임상낙엽층에 각각 4.89, 6.02 ton C ㏊-1, 토양층에 각각 132.78, 59.72 ton C ㏊-150㎝-depth가 분포하여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의 전체 유기탄소량은 281.52, 108.69 ton C ㏊-1으로 나타났다. 본조사지소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연간 광합성을 통하여 식물체에 고정된 유기탄소량은 각각 10.64, 3.64 ton C ㏊-1이었으며, 낙엽생산을 통해 임상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량은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각각 2.83, 2.20 ton C ㏊-1 으로 나타났다. 토양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유기탄소량은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각각 9.77, 5.54 ton C ㏊-1 이었으며, 유기탄소 순생산량과 미생물호흡량의 차이로 추정했을 때 본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연간 대기로부터 순 흡수하는 유기탄소는 3.90, 0.81 ton C ㏊-1 yr-1 로 나타나 신갈나무림의 유기탄소 흡수량이 소나무림에 비해 현저히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Comparison of Organic carbon in the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Mt. Gumgang were investigated. Carbon in above and below ground standing biomass, litter layer, and soil organic carbon were measured from September 2013 through August 2014. For the estimation of carbon cycling, soil respiration was measured. The amount of carbon allocated to above and below ground biomass in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was 115.07/34.36, 28.77/8.59 ton C ㏊-1, respectively. Amount of organic carbon in annual litterfall in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was 4.89, 6.02 ton C ㏊-1, respectively. Amount of organic carbon within 50cm soil depth was 132.78, 59.72 ton C ㏊-1 50㎝-depth-1, respectively. Total amount of organic carbon in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estimated to 281.52, 108.69 ton C ㏊-1, respectively.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the forest via litterfall in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was 2.83, 2.20 ton C ㏊-1, respectively.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absorbed from the atmosphere of this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was 3.90, 0.81 ton C ㏊-1 yr-1 respectively. Absorption of organic carbon in Q. mongolica forest was remarkably higher than P. densiflora fores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