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회전하는 웨이퍼 위의 세정액 발달 및 분리 현상에 대한 시뮬레이션 해석

        원종찬(Jongchan Won),원윤재(Yoonjae Won),윤현근(Hyeongeun Yun),이진욱(Jinwook Lee),이학선(Hakseon Lee),강성원(Seongown Kang)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We perform resolved simulations and examined development and break-up of cleaning liquid over a rotating wafer. The effects of the rpm, flow rate, jet angle, diameter, and contact angle are examined. The effects of cleaning liquid are examined in several ways including the coverage, wall shear stress, application time. Instantaneous flow fields show development of many small-sized liquid ligaments that are affected strongly by the contact angle. For a higher hydrophobicity, a smaller coverage value and faster film break-up are observed. It is shown that the coverage value is not related to the jet diameter and strongly related to the flow rate and rpm.

      • KCI등재

        방정환 담론 변천사

        원종찬(Won Jongcha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3

        본고는 방정환을 해석 가능한 텍스트로 간주하고 콘텍스트의 변화를 주목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연관 핵심어를 중심으로 방정환 담론의 변화를 추적해 보았다. 방정환 담론은 크게 ‘영토화’(남한 지배담론), ‘탈영토화’(북한 지배담론), ‘재영토화’(남한 저항담론)의 흐름을 보인다. 방정환 담론의 영토화는 색동회 계열이 주도했다. 색동회는 보수적인 기독교단체, 교육단체, 아동문학 단체들과 협력하면서 ‘어린이 사랑’ ‘나라 사랑’을 핵심어로 하는 방정환 상(像)을 만들었다. 이때 김기전, 천도교, 개벽사 등과 관련된 방정환의 좌파적 요소는 외면되었다. 이재철은 초등교과서, 방정환문학전집, 아동문학사 서술을 통해 색동회의 방정환 담론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했다. 방정환 담론의 탈영토화는 해방 전 아동문학을 계통적으로 정리한 해방 직후의 담론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카프 계열의 박세영과 송완순은 방정환을 동심천사주의 계열의 원조라고 지적하면서 그의 영토에서 벗어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송영은 북한 아동문학의 기초를 닦는 과정에서 방정환에 대한 탈영토화를 더욱 철저하게 수행했다. 분단체제는 남북한 정권의 적대적 의존관계로 유지 재생산되었다. 방정환을 둘러싼 남북한 주류 아동문학의 상반된 평가도 적대적 의존관계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북한과 달리 남한에서는 지배담론에 대한 저항담론이 존재했다. 이를 비주류라고 한다면, 이 흐름을 대표하는 아동문학가는 이원수와 이오덕이다. 이들은 주류와 다른 자리에서 방정환의 아동문학을 이어나가려고 했다. 이들의 방정환 담론은 재영토화의 흐름을 이루었다. 87년 6월 항쟁을 계기로 주류 아동문학에 대한 저항담론이 급부상했다. 그런데 이 흐름 안에서 다양한 분화가 이뤄졌다. 세기전환기 이래 아동문단의 지형은 과거의 이념적 구도에서 탈피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의 방정환 담론은 입각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두 재영토화의 흐름에 속한다. This study considered Bang JeongHwan as an interpretable text and focused on the change of context. To do so I traced the change of Bang’s discourses with emphasis on the related keywords. Bang’s discours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erritorialization (dominated by South Korea)’, ‘de-territorialization (dominated by North Korea)’, and ‘re-territorialization (resisted by South Korea)’. Territorialization of Bang’s discourses was led by Saekdonghoe. Saekdonghoe cooperated with the conservative Christian organizations,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children’s literature organizations to create the portrait of Bang JeongHwan based on ‘love for children’ and ‘love for the country.’ At that time, Bang’s left-sided factors related to Kim KiJeon , Cheondogyo, and Gaebyeoksa were neglected. Lee JaeCheol theoretically supported Saekdonghoe’s discourses of Bang through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ang JeongHwan’s Literature Collection, and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De-territorialization of Bang’s discourses can be found in the discourses from right after liberation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hildren’s literature from before liberation. Park SeYoung and Song WanSoon of KAPF pointed out that Bang was the origin of ‘Theory of Children’s Innocence as Angels’ and demanded deviation from his territory. Also, Song Young strictly de-territorialized from Bang in the process of laying the found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s was maintained and reproduced by the antagonistic dependent relationship of the two sides. The conflicting evaluation of Bang by the mainstream children’s literature of North and South Koreas is also born from that antagonistic dependent relationship. However, South Korea, unlike North Korea, had discourses that resisted the dominating discourses. If they were the fringe group, they were led by Lee WonSoo and Lee OhDeok. They attempted to succeed Bang’s children’s literature outside the mainstream. Their discourses of Bang formed the flow of reterritorialization. The resistant discourses against the mainstream children’s literature emerged radically after the protest of June 1987. There were various channels of differentiation within this flow. The topography of children’s literature since the new century tends to deviate from the ideological structure of the past. Despite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s, all of the latest discourses about Bang are categorized into the flow of re-territori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