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성인 무증상 현미경 혈뇨에서 고칼슘뇨증과 고요산뇨증

        유준호 ( Yu Jun Ho ),원영웅 ( Won Yeong Ung ),윤여욱 ( Yun Yeo Ug ),이동규 ( Lee Dong Gyu ),한상웅 ( Han Sang Ung ),김호중 ( Kim Ho Jung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4

        목 적 : 성인 무증상 현미경 혈뇨 환자에서 고칼슘뇨증 및 고요산뇨증의 빈도와 동반질환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성인 무증상 현미경 혈뇨 환자 36명을 정상칼슘군과 고칼슘뇨군 그리고, 정상요산뇨군과 고요산뇨군으로 각각 나누어 단백뇨, 이형 적혈구, 혈뇨정도, 혈청 칼슘, 혈청 크레아티닌과 동반질환에 따른 24시간 요 칼슘 및 요산 배설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36명 중 정상칼슘뇨군은 27명 (75%), 고칼슘뇨군은 9명 (25%)이었고 정상요산뇨군은 25명 (78%), 고요산뇨군은 8명 (22%)이었다. 고칼슘뇨군은 남녀 각 6명, 3명, 고요산뇨군은 모두 남자였다. 정상칼슘뇨군과 고칼슘뇨군 그리고 정상요산뇨군과 고요산뇨군을 비교 하였을 때 나이, 이형 적혈구, 혈뇨정도, 혈청 칼슘, 그리고 혈청 크레아티닌은 각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고요산뇨군에서 정상요산뇨군에 비해 단백뇨 정도가 증가하였다. 현미경 혈뇨 환자에서 동반질환으로는 고혈압 11명, 요로결석 5명, 단순 신낭종 3명, B형 간염 보균자 3명, 당뇨병 2명,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 1명, 그리고 막성신증 1명이었다. 당뇨병 환자에서 24시간 요 칼슘 배설량의 증가와 B형 간염 보균자에서 24시간 요 요산 배설량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고혈압과 요로결석, 신낭종, 유무에 따른 24시간 요 칼슘 및 요산 배설량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성인 무증상 현미경 혈뇨 환자에서 고칼슘뇨증 및 고요산뇨증의 높은 유병률이 관찰되었다. 고요산뇨군에시 단백뇨의 증가 및 고칼슘뇨군과 고요산뇨군과의 차이점을 살피는 것과 함께 24시간 요 칼슘 및 요산 배설량을 측정하는 것이 현미경 혈뇨 환자에서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주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 Peritoneal fibrosis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in patients undergoing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irfenidone treatment for reducing peritoneal fibrosis, we examined the changes of peritoneal permeability (for glucose and urea nitrogen) and peritoneal thickness in a rat model of chronic peritoneal dialysis. Methods : Thir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 group Ⅰ (n=6), control rats with normal chow; group Ⅱ (n=10), rats dialyzed with standard 4.25% glucose solution maintained on normal chow; group Ⅲ (n=8), rats dialyzed with standard 4.25% glucose solution and maintained on pirfenidone-mixed chow (pirfenidone 350 ㎎/㎏/day). Dialysis exchanges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day with an instillation volume of 25mL for a period of 12 weeks.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peritoneal membrane were carried out in tissue specimens obtained at the time of sacrifice. One-hour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 was done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tudy to compare the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these groups. Results : The peritoneal permeability of glucose and urea nitrogen was much higher in rats subjected to peritoneal dialysis (both in group Ⅱ and group Ⅲ), as compared with control rats (group Ⅰ). In group Ⅱ where rats received peritoneal dialysis without pirfenidone treatment, rats had the highest level of peritoneal permeability for glucose and urea nitrogen, suggesting the peritoneal hyperpermeability. In contrast, rats in group Ⅲ dialyzed with pirfenidone treatment had an improved peritoneal hyperpermeability indicating that pirfenidone treatment may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peritoneal hyperpermeability. Consistent with this, rats subjected to peritomeal dialysis were associated with a marked thickening of peritoneal membrane in both parietal (group Ⅰ : 13.7±3.3 ㎛, group Ⅱ : 59.5±26.2 ㎛, group Ⅲ : 36.5±11.2 ㎛) and visceral (group Ⅰ : 3.1±0.9 ㎛, group Ⅱ : 10.9±5.2 ㎛, group Ⅲ : 6.1±1.7 ㎛) peritoneum. In particular, submesothelial region in peritoneum was significantly thickened by accumulation of collagen, demonstrated by Masson`s trichrome staining. Pirfenidone treatment during peritoneal dialysis, however, significantly reduced the accumulation of collagen in mesothelial region of the parietal peritoneum. Conclusion : Peritoneal dialysis with high glucose containing dialysate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peritoneal collagen accumulation in mesothelial region and an increased peritoneal permeability for glucose and urea nitrogen. In contrast, pirfenidone treatment during peritoneal dialysis signficantly reduces peritoneal thickness as well as peritoneal hyperpermeability, suggesting a protective effect against peritoneal fibrosis induced by chronic peritoneal dialysis. (Korean J Nephrol 2003;22(4):374-381)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