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대항 공론장의 특성에 관한 연구

        원숙경(Suk-Kyoung Won),윤영태(Young-Tae Y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9 No.3

        조선 후기 대항 공론장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역사적, 규범적, 분석적 차원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당시 민(民)을 중심으로 형성된 대항 공론장은 반(半)봉건ㆍ반(反)외세적 성격을 띤 하부 공론장의 역할을 함을 발견하였다. 즉, 조선 후기의 대항 공론장은 당시 정치사회적 환경을 극복하고, 생존의 문제를 해결코자 한 반(半)봉건ㆍ반(反)외세적 성향이 가진 생동적인 공론장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선 후기 대항 공론장은 지속성을 유지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후 항일운동의 발판이 되었고, 나아가서는 오늘날 민중운동의 이념적 근거가 되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author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er public sphere during the late Chosun era based on three dimensions: historical, ideological, and analytical. The counter public sphere during the late Chosun era was a lively communicative sphere where the common people, who resisted the premodern ideas and foreign power, tried to overcome the oppressing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lthough the counter public sphere did not continue to grow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era, it provided a basi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ideological ground for the democratic movement today.

      • KCI등재

        포털 뉴스 이용이 전통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숙경(Suk-Kyoung Won),김대경(Dae-Kyung Kim),이범수(Bum-Soo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8 No.2

        본 논문은 포털 뉴스 이용이 전통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밝히기 위해, 먼저 이용시간 및 이용 동기 차원에서 포털 뉴스가 기존의 전통 뉴스미디어 이용해 미치는 영향 그리고 포털 뉴스와 전통적인 미디어 대체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포털 뉴스 이용 및 전통적 뉴스미디어 이용 감소가 수용자의 이용 동기 및 뉴스선택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했다. 상기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 (1) 인터넷 미디어 이용과 텔레비전 뉴스 이용과는 유의미한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 미디어 이용은 텔레비전 이용시간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포털 뉴스 이용과 관련해 신문 이용시간과 유의미한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즉 포털 뉴스 이용이 신문 이용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텔레비전 뉴스 이용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포털 뉴스의 이용 동기는 편의 및 정보 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포털 뉴스 및 뉴스미디어 이용 증감과 관련해서는, 텔레비전뉴스 이용시간과 포털 뉴스의 편의 및 정보 추구와 흥미 추구는 유의미한 부적인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텔레비전을 보는 선택하는 동기요인 중, 편의 및 정보 추구와 흥미 추구 부분이 포털 뉴스로 대체되었음을 설명한다. 각 또한 신문의 이용과 포털 뉴스 이용 동기변인 중 환경감시 요인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신문과 포털 뉴스의 환경감시 요인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임을 설명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할 때, 포털 뉴스의 이용은 미디어 이용 동기에 의해 결정됨을 시사한다. Amid the rapid growth in use of portal new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ortal news would substitute traditional news media, in particular newspapers and television new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he decrease in use of traditional news media was associated with online news use, reliance on, and motivations for portal ne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use and television news viewing, suggesting that those who are more likely to use the Internet are less likely to watch television news programs. Also, portal new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ime spent with newspaper reading, while it was not related to television news viewing.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convenience/information-seeking needs appeared as the major motivations for using portal news, which were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creased time spent with watching television news programs. In other words, those who used portal news for convenience/information-seeking needs are less likely to watch television news programs, which may indicate that portal news could be a substitute for television news in terms of convenience/information-seeking motivations.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portal news and newspapers in terms of surveillance needs. Those findings could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functional similarity" in the process of media substitution.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문화다양성 확보를 위한 선주민 대상의 다문화 미디어교육프로그램 개발전략

        원숙경(Won, Suk-Kyoung),윤영태(Yoon, Young-Ta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9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3 No.1

        2014년 이전, 다문화에 관한 교육정책은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2014년 문화다양성정책이 본격화됨에 따라 다문화에 대한 교육의 대상은 전 국민으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실제 문화다양성과 관련한 국가 정책들은 이벤트성이거나 단발적인 것이라 크게 효과를 보지못했다는 연구 결과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미디어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다문화교육 관련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한 결과, 이주민 국가에 대한 선주민의 지식부족과 미디어의 편향적 재현 그리고 선주민 대상 다문화(미디어)교육프로그램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구성원 전원이 참여할 수 있는 미디어교육프로그램, 미디어에서 재현된 이주국가의 이미지를 해당 국가 이주민이 직접 모니터링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이주민과 선주민이 서로 공생의 가치를 찾을 수 있는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등을 포괄할 수 있는 선주민 대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전략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Before 2014, the major goal of multicultural policy was educating the immigrants. As major Ethnic Diversification policy initiatives were launched in 2014, the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cluded educating the native people as well as the immigrants. Nevertheless, many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the government polices concerning ethnic diversification have been ineffective due to their lack of long-term pla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mong the experts and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xi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several major weaknesses in the existing programs: the lack of understanding among the indigenous people about immigrants’ native countries; biased representations in the media, and the lack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natives. The results also implied that overcoming those weaknesses will require implementing education programs which target whole family members in a multicultural family, a policy making process in which immigrants’ observations on the media depictions and images of their native country can be reflected, an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strategies that embrace the media education programs which focuses on building up the value system for “living together” among im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소통권 확보를 위한 미디어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원숙경(Won, Suk-Kyou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7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1 No.4

        한국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전됨에도 이주민은 여전히 이 땅에 이방인으로 남아 있다. 이들의 사회적 발언권은 여전히 약하고 주류사회에로의 유입이 힘들다.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소통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의 소통권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자 다문화미디어교육 실무자를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다문화가정의 주요 갈등원인은 언어와 상호문화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적 차원에서는 가족 간의 상호이해 미디어교육, 선주민 대상 반차별⋅반편견 교육, 이주민대상 미디어 교육강사 양성과정 마련, 이주민대상 공동체미디어 지원 등을 정책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고, 프로그램 내용적 측면에서는 이주민들에게는 자존감을 형성할 수 있는 미디어교육프로그램 개발, 선주민 대상으로는 이주민들의 국가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미디어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국가에서 충분한 예산을 배당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많았다. The immigrants are still outsiders in Korea despite that it has been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y are marginalized by the mainstream society. Their voices are neglected. One of the major causes of social problems concerning immigrants is communicatio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mong those who practice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paper proposes a direction for media education policies that promote the communication right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The interviews implied that the lack of understanding in languages and culture is the major factor that causes the conflic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ing the situation would require the policies that promote an education for family communication, anti-discrimination, and anti-stereotyping.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 training system for a media educator and the supports for the community media among the immigrants. The media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should aim to elevate the self-esteem among the immigrants and to enhance cultural acceptance and perception among former inhabitants. Above all,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would be indispensable for a sustainable long-term education plan among immigrants and former inhabitants.

      • KCI등재후보

        4대강 사업에 대한 시기별 뉴스프레임 비교 연구

        원숙경(Won, Suk-Kyoung),문종대(Moon, Jong-Da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6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0 No.3

        본 연구는 지역에서 행해진 국책사업에 대해서 지역 언론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알아 보기위해 2008년 1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영남지역 6개 신문의 칼럼과 사설을 대상으로 프레임을 각 신문의 논조와 주제로 나누어 분석을 했다. 그 결과, 4대강 사업에 대해서 부산일보, 국제신문, 경남도민일보는 부정적인 논조를, 영남일보, 매일신문, 경남신문은 긍정적인 논조를 보였다. 특이점은 긍정적 논조를 보인 신문들의 사설과 칼럼이 부정적 논조를 보인 신문들에 비해 그 사례 수가 매우 적었다. 이는 긍정적 논조를 보인 신문들은 4대강 사업에 대해 의제화 하고자 하는 의지가 적음을 수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대강과 관련한 주제프레임 분석결과,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환경/생태/보존 프레임이었다. 지역과 직접 관련 있는 주제인 지역-중앙 간의 갈등과 지역민의 피해의 사례 수는 다른 주제에 비해 현격히 저조했다. 지역과 직접 관련이 있는 4대강 사업에 대한 지역 언론의 태도는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보다 주어진 현상에 대한 비판에 치중되어 있으며, 그 마저도 중앙언론들의 보도관행에 따라가는 양상을 보였다. 즉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국책사업에 대한 지역 언론보도행태는 지역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을 발견했다. In the current study,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the local press responded to the a national project in the local area.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tones of the arguments and the frames appeared in the op-ed columns in 6 major local newspapers of Youngnam District published from January 2008 to September 2015. In general, Busan Ilbo, The Kookje Daily News, The Kyongnamdomin Ilbo adopted a unfavorable tone while The Yeongnam Ilbo, The Maeil Shinmun, The Kyungnam Shinmun used a favorable tone in the op-ed columns related to the Four Major River Project. The overall number of articles concerning the Four Major River Project among the newspapers unfavorable to the project significantly exceeded that of articles among the newspapers favorable to the project. In other words local newspapers that were unfavorable to the project actively covered the issue while those who were favorable to the project were reluctant to make the issue important public agenda. The most frequently used frame in the articles was Environment/ Ecosystem/Conservation. The frequencies of the frames concerning the interest of the local residents such as conflict between the local and federal government or the damages on the local resid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frames. Overall, the local press seemed to be unsuccessful in representing the locality in addressing the issue concerning Four Major River Project. The local press was ineffective in setting a local agenda concerning a national project such as Four Major Rivers Project.

      • KCI등재

        대항공론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원숙경(Won, Suk-Kyoung),윤영태(Yoon, Young-Ta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푹스의 비판미디어 개념을 도입, 팟캐스트를 활용한 대항 공론장의 가능성을 <나는 꼼수다>에서 찾고자 했다. 팟캐스트를 통한 저항적 정치운동인 <나는 꼼수다>는 그 구조적 측면과 콘텐츠적 측면에서 대항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구조적 측면에서는 디지털 미디어들 간의 연동뿐만 아니라, 올드미디어의 감성을 통해 공명력(共鳴力)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비판 미디어으로서 <나는 꼼수다>는 기본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에 저항하고 있으며, 자본으로서 자유롭고 나아가 대중과 교류하는 장을 마련, 문화적 교류 및 정치적 갈등해소 하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콘텐츠 측면에서는 대중들의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때로는 축제와 같이, 세상의 불평등에 대한 배설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성적인 사안을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중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풀어간다는 점에서 대항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을 충분히 가짐을 발견하였다. Adopting the concept of critical media proposed by Fuchs, this study examined Naggomsu, a political podcast in Korea, and explored the potential of this new media as the counter-public-sphere in contemporary society. Being a part of a political protest movement, Naggomsu has som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unter-public-sphere in its structure and content. Naggomsu is interlocked with other digital media and has the sentiment of traditional radio talk show. Compared to traditional media, Naggomsu is relatively independent from the social and political establishment in Korean society, and thus relates well with the common people. Naggomsu points out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nequality of Korean society. Through comical parodies, Naggomsu combines reason and emotion, making its message appealing to the common people. The case of Naggomsu shows that a podcast broadcasting can function as the counter-public-sphere.

      • KCI등재후보

        타자의 시선으로 재현된 이주민

        원숙경(Suk-Kyoung Wo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1

        미디어에 의한 재현은 우리사회에 편입되는 새로운 사회적 현상을 성찰하는 기회를 부여한다.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의 이주민들에 대한 보편적 정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것이 영상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근거로 대중영화로 일반인들에게 호응을 얻었던 <방가?방가!>와 <완득이>에서 나타난 이주민의 재현 사례를 통해 미디어가 다문화 사회를 어떻게 이데올로기화 하는 지를 조명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방가?방가!>와 <완득이>에서 나타난 이주민을 나타내는 문화적 상징과 정체성을 구성하는 정서적 요소들은 <방가?방가!>에서는 잘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만 <완득이>에서는 잘 표현되고 않았다. 이산의 정서 역시 <방가?방가!>에서는 부정적이지만 잘 표현되고 있었다. 이주민 2세의 영화인 <완득이>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결여되어 있었다. 이주민들의 사회적 지위 또는 환경은 두 영화 다 이주민들을 둘러싼 환경은 여전히 열악하고 힘들며, 이들의 사회적 지위 역시 하층계급으로 재현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주민 자체에 대한 재현은 기존의 연구에서 나타났던 것과 달리, 주체적이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이 차별화된다. 또한, 이주민과 정주민 간의 정서적 교감을 형성하고 동등한 시선에서 살아갈 수 있는 트랜스 내셔널적인 공간적?정서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재현방식은 우리사회의 타자이며, 수동적이고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그려지는 이주민의 사회적 담론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media’s representation of reality provides us opportunities to reflect on new social phenomena. Korea is rapidly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We can examine general perceptions of th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by observing how the immigrants are depicted in popular Korean movies. The researchers studied the representation of immigrants in two popular Korean movies, <Banga?Banga!> and <The Punch>, to examine how immigrants are perceived in Korea. The study concluded that <Banga?Banga!> presents the cultural sentiment and identities of the immigrants well, while <The Punch> failed to present the cultural aspects of immigrants in depth. For example, Diasporan sentiments, despite being depicted in a negative way, were well addressed in <Banga?Banga!>, whereas <The Punch> did not touch on this theme. In both movies, the immigrants were represented as a lower class people living in a harsh environment. Furthermore, both movies depicted the immigrants as independent and active social beings, as opposed to their characterizations in previous films as passive outsiders. Also, it is noteworthy that the two movies suggest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transnational community where immigrants and natives communicate actively and maintain mutual respect. The representation of immigrants in the two movies, therefore, proposes an alternative discourse on th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by avoiding previous characterizations of immigrants, thu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 more transnation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재난보도의 보도준칙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원숙경(Suk-Kyoung Won),윤영태(Young-Tae Yoo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1

        언론보도에서 언론윤리는 실천적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재난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는 언론윤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한국의 경우 2014년 ‘세월호 대참사’를 통해, 일본은 2011년 ‘동일본대지진’을 통해 언론윤리와 보도준칙에 관한 검토를 시행하였다. 한국 재난보도 윤리를 고찰하기위해 일본의 사례와 비교?연구하였다. 우선 재난보도에 강조되어야 할 요소를 탐색하고, 일본 재난보도준칙과 최근 재정된 한국 재난보도준칙을 비교해 앞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가를 찾고자 했다. 양국의 재난보도 경험을 통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양한 매체의 활용 및 연동의 필요성 그리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였다. 재난보도준칙은 일본의 경우 매 새로운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재난보도의 가이드라인을 보강되었고, 한국의 경우는 2014년 세월호 대참사를 계기로 새로 제정되었다. 양국의 재난보도준칙을 비교한 결과, 한국의 재난현장 중심의 보도준칙이라면, 일본의 경우 재난에 대한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대비할 수 있는 방재중심의 보도준칙이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앞으로 재난보도는 피해중심의 보도가 아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보도 중심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Journalism Eth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acticing journalism. In the case of disaster, in particular, journalism ethics provide essential guidelines for media coverage of events. The Sewol Ferry disaster in Korea in 2014 and the Great Earthquake in eastern Japan in 2011 prompted the two countries to reflect on their journalism ethics and establish disaster reporting guidelines. This study compared the disaster reporting guidelines adopted by Korea and Japan after these disasters in order to review the essential components of disaster reporting guidelines and to project possible inclusion of new elements. The authors found that the media coverage of the cases mentioned above lacked a full utilization of diverse media and consideration for the victims. Japan has revised disaster reporting guidelines several times since 2011, while Korea established a new set of disaster reporting guidelines in 2014. Japanese guidelines were focused on prevention plans over the long run while those of Korea were concentrated on reporting the damage and repair process. Based on the review and comparison of the disaster reporting guidelines, the authors suggested that the media coverage of a disaster such as Sewol Ferry should focus more on the prevention and relief than damag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