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전광역시 동⋅서지역 교육격차의 변화 모습

        우중호(Jung-ho Woo),김도균(Do-ky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동⋅서지역 교육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 및 교육실태가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 분석하여 대전광역시의 교육격차를 보여주는 지표들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면담을 통해 교사들이 체감하는 교육격차의 변화 모습과 해결 방안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통계청의 자료와 대전광역시교육청의 교육통계연보를 활용하여 대전광역시의 동⋅서지역의 생활 및 교육실태에 해당하는 지표들의 변화 모습을 알아보고, 대전광역시교육청 관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으며, 동부와 서부의 학교에 모두 근무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교육격차의 변화를 고찰하여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대전광역시 서부(서구, 유성구) 지역과 동부(중구, 동구, 대덕구) 지역의 생활 및 교육실태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동부가 서부보다 낙후되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생활 및 교육실태의 차이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전광역시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교사들은 대전광역시의 동⋅서지역 교육격차가 더욱 커짐을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었다. 결론 교육에 취약한 학생에 대한 보장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지원 기준을 보다 세밀화하고 행정구역별, 학교별 교육 격차의 수준과 원인을 심도 있게 조사하여 학교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연계성 있는 추진과 학생의 교육 경험의 확장, 가정 내 학생의 학습에 대한 관심도 제고 등과 같은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 문제는 교육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대전광역시의 현 상황을 모든 구성원들이 인식하고 함께 해결해나가야 할 문제임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living and educational conditions that affect the education gap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ries to find out how the education gap in Daejeon is changing through interviews with loc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In order to study the changes in living and educational conditions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data from the Statistics Korea and the Educational Statistical Yearbook of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re used. Also,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target was a teacher who worked at an elementary school in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had experience working at both schools in the east and west. Through FGI, We suggest a way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Results The living and educational conditions of Seo-gu (Seo-gu, Yuseong-gu) and Dongbu (Jung-gu, Dong-gu, Daedeok-gu)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In almost all regions, the east was inferior to the west, and the difference was deepening over time.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lt that the educational gap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was widening. Conclusions Guarantee policies for vulnerable students should be more aggressively implemented. Support standards should be refined and the level and causes of educational dispariti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school should be in-depth investigated so that customized suppor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take a multi-pronged approach, such as promoting policies that guarantee basic academic ability, expanding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raising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at home. Finally, since this problem is not limited to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all member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should be aware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solve it together.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서.논술형 평가 인식 및 활용에 대한 연구

        김도균(Do-kyun Kim),우중호(Jung-ho 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서⋅논술형 평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A광역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설문 결과에 대한 더 구체적인 교사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점집단면접(FGI)를 추가로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는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FGI 결과는 논의하고자 하는 중요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교사들의 일반적인 의견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서⋅논술형 평가를 스스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현장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실제 평가에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스스로 서⋅논술형 평가에 대하여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초등학교에서 서⋅논술형 평가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실제로도 서⋅논술형 평가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서⋅논술형 평가란, 학생이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방식을 통해 문제 해결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었다. 셋째, 교사들은 초등학교 3~4학년 정도를 서⋅논술형 평가가 가능한 수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초등학교에서의 서⋅논술형 평가를 활용하는 방식은 대부분 기존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일부 수정하는 방식이었다. 결론 첫째, 교사들이 서⋅논술형 평가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개발된 서⋅논술형 평가 도구의 개발을 통한 교실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서⋅논술형 평가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늘어나는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채점기준표의 작성과 활용에 대한 상세한 안내와 연수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and use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A Metropolitan cit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dditionally conducted to find out more specific teachers thoughts on the survey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organized around the important content to be discussed, in an attempt to derive general opinions of teachers.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thought that they were well aware of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and they thought it was necessary in the field and used it for actual evaluation. In addition, teachers who thought they were well aware of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themselves thought that the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was more necessary in elementary school, and were actually using more of the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Second, the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that teachers thought was that students could evaluate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the way in which students express their thoughts in writing. Third,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3rd and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ere at a level where the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were possible. Fourth, most of the methods of using the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s were to use existing data as it is or to partially modify it. Conclusions First, teachers should be able to pay continuous attention to the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classroom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 s level. Third, as interest in and use of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is increasing, the most necessary thing is detailed guidance and training on the rubrics.

      • KCI등재

        교실 수업에서 구두 피드백의 정도와 유형 분석

        김도균(Do-Kyun Kim),이다영(Da-Young Lee),김수진(Su-Jin Kim),우중호(Jung-Ho W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실 수업 속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피드백의 정도와 유형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A광역시의 중등 국어과 수업 영상 속 피드백을 살펴보았다. 영상 속 교사의 구두 피드백을 피드백 전략(시기, 대상)과 피드백 내용(초점, 비교 대상, 기능, 영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피드백의 횟수는 한 차시 수업 당 4.78회, 10분당 1회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피드백 유형을 살펴보면 피드백 초점은 과제 자체, 비교 대상은 준거 참조, 기능은 판단적, 영향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피드백이 가장 많았다. 셋째, 피드백의 정도와 유형은 교사별로 매우 달랐다. 학생에게 적합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피드백의 효과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피드백 자체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업 속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피드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ctually to identify the degree and type of feedback that occurs in the class. For the study, we looked at the feedback in videos of secondary language classes in A metropolitan city. Oral feedback from teachers in the video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feedback strategies(timing, audience) and feedback contents(focus, comparison, function, valance).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feedback made in the classroom was 4.78 times per class, once per 10 minutes. Second, we looked at the types of feedback teachers give in class. Teachers feedback focus was on the work itself, the comparison is criterion referenced, the function is judgment, and the valance to be positive. Third, the degree and type of feedback were very different for each teacher.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to students,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feedback itself as well as the effects of feedback.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have looked at the feedback that actually occurs in the classroom.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