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태생학적 연기설 재검토- Mahānidāna경, Mahātaṇhāsaṅkhaya경을 중심으로

        우동필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3 No.-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by tracing the origins of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of Twelve Nidānas (paṭiccasamuppāda) in Nikāyas. Since the interpretation from Abhidhamma, Twelve Nidānas has been regarded as a reincarnation theory that explains the embryologic process. Though major commentators and researchers have been rejecting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are regarded to be a difficult issue either to accept or reject because of the expressions such as "consciousness [viññāṇa] descends into the mother’s womb" in Mahānidāna-sutta and "the infant was born from an union of three conditions that are the mother and father and the spirit-being (gandhabba)" in Mahātaṇhāsaṅkhaya-sutta.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ontext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former expression is to be an explanation that consciousness resumes activities of the language-recognition and comes back from Form·Formless Realm (rūpa·ārūpadhātu) to Desire Realm (kāmadhātu) among ‘Three Realms’ (Tayodhātavo). Here the mother’s womb can be understood as a conscious space such as the womb (yoni) expresses the space of a deep understanding (manas) of the law (dhamma). The latter is to be an explanation in context that the consciousness should be understood under human conditions targeting the thought of Sati who misinterpreted it as the subject of reincarnation. In this sutta, embryologic description is added after the explanations of Twelve Nidānas, to correct Sati's idea of regarding it as transcendental being. Considering these contexts, it can be seen that the Twelve Nidānas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with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refore, this study claims that Twelve Nidānas should be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whole teaching and the context of each scripture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 which is only a later work. 본 연구는 『니까야』(Nikāya)에서 [십이]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에 대한 태생학적 해석의 기원을 추적하여 그 대안적 이해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비담마(Abhidhamma) 해석 이후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을 설명하는 윤회 이론으로 간주되어 왔다. 비록 주요 논사들과 연구자들이 태생학적 연기설을 거부하고 있을지라도, Mahānidāna경의 ‘식(識, viññāṇa)이 모태(母胎, matukucchi)에 하강[下降, avakkanti]한다’는 표현이나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부모(mātāpita), 간답바(gandhabba)의 3가지 조건으로부터 개체가 발생한다’는 설명은 분명하기 때문에, 태생학적 연기설은 수용하기도 거부하기도 어려운 문제로 전해졌다. 이 경전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를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일반화할 수 없는 맥락들을 발견한다. Mahānidāna경의 ‘식이 모태로 하강한다’는 설명은 색계・무색계에 들어선 수행자의 의식이 욕계로 돌아와 언어-인지 활동[名色]을 재개한 것에 관한 설명이다. 법(法, dhamma)에 대한 깊은 이해[意, manas]의 위치를 자궁(yoni)으로 표현한 것[如理作意, yoniso manasikāra]과 같이, 여기서 모태는 의식적 공간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태생학적 설명은 식을 윤회의 주체로 잘못 이해한 사띠(sati) 비구를 대상으로 하여 그의 잘못된 생각에 대치한다. 십이연기에 부가된 태생학적 설명은 식의 생물학적 조건을 설명함으로써 식을 초월적 존재로 오해한 사띠의 생각을 치유하게 된다. 이 경전의 맥락들을 고려할 경우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것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 이해는 태생학적 연기설의 시각을 벗어나 경전의 전체 교법과 각 경전들의 맥락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십이연기 전개설 비판- 『DN 15경』을 중심으로 -

        우동필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2 No.-

        Lambert Schmithausen representatively asserts the ‘evolution theory’ (展開說) about paṭiccasamuppāda(十二緣起) with some major researchers of Europe. He argues that 9-links or 10-links is a decisive evidence to reveal the middle stage of 12-links, because saḷāyatana(六入處) is inherent in phassa(觸), vedanā(受), and avijja(無名), saṅkhāra(行) is lacked in Mahānidānasutta(『DN 15』). However, he tries to interpret them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the second half about 『DN 15』. To the consideration of a unique characteristics of 『DN 15』, the coherence have to be set out so in a way that saḷāyatana is inherent in phassa and vedanā, as it is to clarify why it occur dukkha(苦) such as the discord and dispute in world(世間) including dukkha of individual. If saḷāyatana isn’t with inherent in phassa and vedanā, it is not able to account for why individuals take different vedanā, tanha(渴愛) and upādāna(取) each other in same things. Also the second part is to suggest on the basis of tidhātau (三界) that is manipulated by saṅkhata(有爲), which means for saṅkhāra to be qualification of viññāṇa and nāmarūpa in the first part.; paññā(般若) means deep insight into tidhātau and saññā(想) is not to aware it.; saṅkhāra is required avijja because avijja arises out of avijjāsamphassa(無 明觸) by saññā. To conclude, the inception of the theory of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fered by Schmithausen is not suitable to understand paṭiccasamuppāda, for it has a coherent system that can not be seen with that presupposition. 슈미트하우젠(L. Schmithausen)을 비롯한 유럽의 주요 연구자들은 十二緣起 展開說을 주장한다. 슈미트하우젠은 『Mahā-nidānasutta』(『DN 15경』)에 六入處 가 ‘觸, 受’에 내재되고, ‘無明, 行’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9지 혹은 10지형식이 십이연기 전개의 중간 단계를 보여주는 결정적인 증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는『DN 15경』의 특성과 후반부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DN 15경』의 특성을 고려할 때, 육입처가 촉, 수에 내재된 것은 개인의 苦뿐만 아니라 개인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다툼, 분쟁과 같은 세상의 苦를 함께 해명하기위한 것이다. 육입처가 개인들에게 내재되지 않으면, 동일한 사태에 대해 개인들이 왜 서로 각각 다른 느낌과 갈애와 취착을 가지는가를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DN 15경』에서 육입처를 개인들에게 내재시킨 이 부분은 오히려붓다의 정합성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또한『DN 15경』에서 무명과 행이 표면적으로는 드러나지 않은 이유는 후반부의 설명이 전반부의 識과 名色이 순환되는 근본원인을 해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후반부는 三界를 중심으로 설명된다. 삼계는 有爲에 의해 조작된 것이다. 行은 유위를 통해 삼계를 조작하며결국 식과 명색의 조건이 된다. 삼계를 벗어나는 것은 般若(paññā)이고 반야를 알지 못하는 것이 삼계의 想(saññā)이다. 무명은 상을 통해 無明觸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무명을 연하여 행이 있게 된다. 『DN 15경』의 연기에 대한 설명은 십이연기와 다른 설명이 아니며 십이연기의 내적 체계성을 바탕으로 나타난 설명인 것이다. 따라서 십이연기 전개설의 ‘도입’(inception)은 재고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인의 육체적 작업 능력과 휴식시간에 관한 연구

        우동필,이상도,이동춘,U, Dong-Pil,Lee, Sang-Do,Lee, Dong-Chun 대한인간공학회 2001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work capacity and rest allowance for Korean males and females. Eleven males and 13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ubjects. An ergometer exercise test and a treadmill exercise 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oxygen consumption rates. The PWC values of Korean males and females were 2605.62ml/min and 1853.01ml/min in the cycle ergometer test, respectively, and 2872.10ml/min and 2057.91ml/min in the treadmill test. The PWC values of Korean females were about 70% of Korean males. The PWC values of Korean females were74.36%-78.79% of western males in the treadmill test. and 88.66%-89.32% of western males in the ergometer test. The PWC values of Korean females were 81.34%-82.98% of western females in the treadmill test, and 87.11% of western femaleles in the ergometer test.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t allowance should be determined separately for male and female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physical work capacity.

      • KCI등재

        초기불교와 인지­자연주의 윤리

        우동필 인도철학회 2022 印度哲學 Vol.- No.66

        본 연구는 초기불교 윤리의 특성을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에 기반을 둔 자연주의 윤리(naturalistic ethics)’[이하 ‘인지-자연주의 윤리’]와 함께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금까지 초기불교 윤리는 서양철학의 규범윤리 이론들의 관점을 통해 해석되어 왔다. 그에 따라 초기불교 윤리의 특성은 규범윤리와 마찬가지로 의무론, 공리주의, 덕 윤리와 유사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규범윤리의 토대는 주관성이 전제된 것이고 초기불교의 토대는 인지 현상으로서의 촉(觸, phassa)이기 때문에, 양자는 상이한 의미지반을 가진다. 초기불교 윤리는 촉에서 고통(苦)의 조건들을 자각하여 고멸(苦滅)을 실천하는 것을 규범성의 기준으로 삼는다. 인지-자연주의 윤리는 ‘인지 구조가 환경과 상호작용 속에서 체화되어 은유적 투사를 통해 마음으로 확장되는 것’에 관한 이해를 규범성의 원천으로 본다. 양자는 모두 외부의 규범성을 인정하지 않으며 경험의 본성에서 규범성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공유지점이 있다. 본 연구는 양자의 공약가능한 지점을 드러내면서 보다 고유한 초기불교 윤리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초기불교 윤리는 촉의 의식적이고 현상학적 지평을 토대로 한다. 둘째, 규범성의 기준은 고통의 조건화에 대한 이해와 자각이고 이는 고멸의 윤리에 대한 규범성 모형을 제공한다. 셋째, 중(中)과 연기(緣起)는 자신의 마음을 메타적으로 파악하는 관점을 제공한다. 넷째, 삼계(三界)와 출세간(出世間)의 설명은 동기론적이며 결과론적인 행위이론을 제시한다. 따라서 초기불교 윤리는 인지-자연주의 윤리와 공약 가능한 측면에서 이 특성들을 지닌 ‘고통과 고멸의 윤리학’을 제시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중과 전회-연기에 대한 철학적 탐구

        우동필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7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conditioned co­arising (paṭiccasamuppāda)’ through the analogy between a concept of ‘middle (majjha)’ in the early Buddhism and a concept of ‘turn’ in western philosophy. Typical interpretations about paṭiccasamuppāda, ‘the theory of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 and ‘mutual dependent co­arising’, have given only the ontological meaning within the framework of time and space. However, in Buddhist scriptures, paṭiccasamuppāda is presented as a systematic explanation that involves various topics such as perpetuity, causality, feelings, oneness or diversity, and being. Due to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majjha and paṭiccasamuppāda in early Buddhist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majjha, which can be understood on the same level as a concept of turn in western philosophy, would convey a viewpoint for understanding paṭiccasamuppāda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Majjha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paṭiccasamuppāda departing from the extremes both of brahmins (Brāhmaṇa) and wanderers (samaṇa): beings vs non­beings on the ontology, oneness vs individuation on the identity, causa sui vs external causes on the causality, and an eternality vs an annihilation on the eternalism. Western philosophy shifts from ontology to epistemology, from object to subject, from representation to linguistic philosophy, and from dualistic thinking to cognitive scientific explanations currently. In this process the concept of turn suggests a new exploration theme transcending limitations which linked to idea vs matter, object vs subject, representation vs language, and necessity vs contingency. Majjha and the turn are on the same level in the way that they are overcoming the confrontation of previous philosophical themes through switching to an alternative explan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understood that paṭiccasamuppāda is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philosophical problems and explains how sufferings do arise from wrong understandings about them. 본 연구의 목표는 초기불교의 중(中, majjha)과 서양철학의 전회(轉回, turn)의 유비를 통해 십이연기(十二緣起)의 철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십이연기에 관한 대표적인 해석은 삼세양중인과설(三世兩重因果說)과 상관상의설(相關相依說)이다. 십이연기의 의미에 대해 전자는 시간의 관점에서 윤회설(輪迴說)로 해석하고 후자는 공간의 관점에서 상의성(相依性)으로 해석한다. 경전에서 십이연기는 영속론, 업론, 수행론, 동일성・별이성, 존재론이 모두 포함된 교법이지만, 양자는 서로 차이가 있을지라도 십이연기에 존재론적 의미만을 부여했다. 다양한 주제와 연관된 십이연기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해의 틀이 필요하다. 그 한 가지 방법으로 기획한 것이 초기불교의 중과 서양철학사에서 행해진 전회를 비교하고 그 유비를 통해 십이연기의 철학적 특성에 접근하는 것이다. 중과 십이연기는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에 전회와 비교하여 나타나는 중의 철학적 특성은 십이연기를 철학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전해줄 것이다. 당시 바라문과 사문들은 존재에서 유・무(有・無), 동일성에서 일・이(一・異), 업에서 자작・타작(自作・他作), 영속성에서 상・단(常・斷)의 견해로 대립했다. 여기서 중은 양극단의 견해를 벗어나 십이연기 이해로 이끄는 역할을 한다. 서양철학은 존재론에서 인식론으로, 객관에서 주관으로, 표상에서 언어로, 이원론적 사고방식을 넘어 인지과학적 해명으로 전환한다. 이 과정에서 전회는 형상 대 질료, 객관 대 주관, 표상 대 언어, 필연 대 우연의 대립을 극복하며 새로운 탐구주제를 제안하는 개념으로 나타난다. 이전 철학적 주제들의 대립을 극복하고 대안적 해명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과 전회는 같은 층위에 있다. 따라서 이 유비를 통해 십이연기를 해석할 경우 십이연기는 여러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대안적 해명이며 인식, 업, 동일성, 존재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부터 어떻게 고통이 일어나는 지에 대한 설명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M138경의 anupādā paritassanā 해석 문제

        우동필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2 No.-

        Bodi bhikkhu asserts that the reading of anupādā paritassanā of MN138 is an ancient error that should be discounted. Having been based on the reading of upādā paritassanā of SN22:7, he asserts that spelling of anupādā paritassanā of MN138 should be like upādā paritassanā of SN22:7 in his translation of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In this study' point of view, his rendering should require further examination. Because MN138 has uddesa and vibhaṅga, that is translated as respectively a summary and an exposition. Summary in MN138 has a wide range more than SN22:7 and Exposition in MN138 is in detail while SN22:7 has no exposition. SN22:7 only explains two parts that are upādā paritassanā and anupādā aparitassanā. In contrast to SN22:7, MN138 explains three parts that are bahiddhā and ajjhattaṃ saṇṭhitaṃ and ajjhattaṃ saṇṭhitaṃ. It seems that Comparing MN138 by SN22:7 is not suitable. Because uddesa of SN22:7 and MN138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oreover SN22:7 has only uddesa, but MN138 has both uddesa and vibhaṅga. So this study asserts that anupādā paritassanā corresponds to ajjhattaṃ saṇṭhitaṃ in this context of vibhaṅga. And this study also asserts that ajjhattaṃ saṇṭhitaṃ corresponds to rūpa-dhātu and arūpa-dhātu. In conclusion, this study asserts that problem is not the reading of anupādā paritassanā of MN138, but Bodi bhikkhu' aspects about upādā paritassanā and anupādā aparitassanā that is based on his definition of pañcakkhandhā and pañcupādānakkhandhā.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reading of anupādā paritassanā of MN138 is definitely correct 보디 비구는 M138경의 anupādā paritassanā가 잘못된 표기라고 주장한다. 그는 SN22:7경의 취해서 공포(upādā paritassanā)이고, 취하지 않아서 공포가 아니다(anupādā aparitassanā)는 설명에 근거하여 M138경의 anupādā paritassanā가 SN22:7경의 upādā paritassanā처럼 고쳐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주장은 무엇보다 anupādā의 영역에 대한 보디 비구의 이해에 근거한다. 그는 오온과 오취온의 정의에서 upādā를 세간으로 주장하고 anupādā를 출세간으로 주장한다. upādā와 anupādā로 구분된 그의 정의에서, M138경의 anupādā paritassanā는 잘못된 표기가 된다. 하지만 M138경은 요약(uddesa)과 상세한 설명(vibhaṅga)으로 구분되어 SN22:7경보다 더 넓은 주제와 상세한 설명을 가진다. M138경 anupādā paritassanā는 vibhaṅga부분에서 나타난 반면, SN22:7경 upādā paritassanā는 붓다의 설법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SN22:7경과 M138경을 단순 비교해서는 안된다. 또한 anupādā는 열반이 아닌 해탈과 연관된 개념이다. 해탈은 심해탈과 혜해탈이 있기 때문에, anupādā를 출세간으로만 이해하면 양자가 구별되지 않는다. 즉 anupādā paritassanā는 색계와 무색계에 고정된 심해탈을 가리키고, anupādā aparitassanā는 출세간의 영역인 혜해탈을 통한 심해탈을 가리킨다. SN22:7경의 upādā paritassanā는 욕계를 가리킨다. 따라서, M138경의 anupādā paritassanā 표기는 올바르다.

      • KCI등재

        삼계·출세간계에서 윤회와 무아- 업보를 중점으로 -

        우동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1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ṃsāra and anattan in early Buddhism with the theory of karma and vipāka. The representative interpretation about them is either contradiction theory or co-existence theory. Even though they show obvious differences from each other, they are evaluated not to deviate from the metaphysical perspectiv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saṃsāra and anattan as a teaching to show the karma-vipāka of loka and lokuttara. Buddha's saṃsāra refers to the cycle of consciousness that repeats the state of phenomenological self-awareness because it cannot escape the pursuit of the eternal self and world in ti-dhātu, not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of a creature in the realism world. The theory of saṃsāra is described as ti-dhātu, and each of loka shows vipāka according to kamma respectively. However, ti-dhātu is subordinate to the structure of dukkha because it is the basis of self-theory, even if it shows kamma-vipāka.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anattan cures the self' theory by having an insight into ti-dhātu, and shows the consciousness of the extinction of suffering as a fruit of lokuttara. Lokuttara is manifested by vipāka that takes the kamma which have an insight into ti-dhātu with anicca, dukkha, anattan. Just as lokuttara is emerged conditionally with an insight into ti-dhātu, either saṃsāra or anattan is distinguished conditionally from vipāka of the karma which is understanding and practice about anattan.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aṃsāra and anattan is not an ontological conflict, but a classification according to karma-vipāka of the thee world and super-mundane world. 본 연구는 초기불교철학에서 윤회·무아(輪廻·無我, saṃsāra·anattan) 관계를 업보(業報, kamma·vipāka)론으로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윤회와 무아의 관계에 관한 대표적인 해석은 모순설 혹은 양립설이다. 두 해석은 서로 명백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존재론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형이상학적 전제들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본 연구는 윤회, 무아 개념이 각각 세간·출세간(世間·出世間, loka·lokuttara)의 업보를 해명하기 위한 교법임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 붓다의 윤회는 영속한 자아와 세계에 관한 추구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삼계(三界, ti-dhātu) 속에서 현상학적인 인식의 자기 상태를 되풀이하는 의식의 흐름이다. 윤회설의 의미는 각 업에 따른 과보를 삼계의 각 영역들로 보임으로써 인과응보의 인과율을 성립시키는 것이다. 삼계·윤회는 업보의 인과모형을 제공할지라도 각 영역들은 자아론의 기반이 되고 있기 때문에 고통의 구조에 예속된다. 무아는 삼계의 자아 관념을 대치(對治)하며 출세간의 과보로서 고통의 출리(出離)를 보여준다. 출세간은 삼계를 무상(無常, anicca)·고(苦, dukkha)·무아로 통찰[般若, paññā]하여 그 업으로부터 발현되는 과보의 영역이다. 이 경우 출세간이 삼계를 관찰의 대상으로 삼아 조건적으로 발현되는 것처럼, 윤회·무아의 관계는 ‘무아 이해 및 실천’이라는 업보의 ‘조건적 발현’에 의해 구분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윤회·무아의 관계가 존재론적 충돌이 아니라 삼계·출세간의 업보에 따른 구분이라고 결론짓는다.

      • KCI우수등재

        태생학적 연기설 재검토 : Mahānidāna경, Mahātaṇhāsaṅkhaya경을 중심으로

        우동필(Woo, DongPil)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3 No.-

        본 연구는 『니까야』(Nikāya)에서 [십이]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에 대한 태생학적 해석의 기원을 추적하여 그 대안적 이해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비담마(Abhidhamma) 해석 이후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을 설명하는 윤회 이론으로 간주되어 왔다. 비록 주요 논사들과 연구자들이 태생학적 연기설을 거부하고 있을지라도, Mahānidāna경의 ‘식(識, viññāṇa)이 모태(母胎, matukucchi)에 하강[下降, avakkanti]한다’는 표현이나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부모(mātāpita), 간답바(gandhabba)의 3가지 조건으로부터 개체가 발생한다’는 설명은 분명하기 때문에, 태생학적 연기설은 수용하기도 거부하기도 어려운 문제로 전해졌다. 이 경전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를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일반화할 수 없는 맥락들을 발견한다. Mahānidāna경의 ‘식이 모태로 하강한다’는 설명은 색계・무색계에 들어선 수행자의 의식이 욕계로 돌아와 언어-인지 활동[名色]을 재개한 것에 관한 설명이다. 법(法, dhamma)에 대한 깊은 이해[意, manas]의 위치를 자궁(yoni)으로 표현한 것[如理作意, yoniso manasikāra]과 같이, 여기서 모태는 의식적 공간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태생학적 설명은 식을 윤회의 주체로 잘못 이해한 사띠(sati) 비구를 대상으로 하여 그의 잘못된 생각에 대치한다. 십이연기에 부가된 태생학적 설명은 식의 생물학적 조건을 설명함으로써 식을 초월적 존재로 오해한 사띠의 생각을 치유하게 된다. 이 경전의 맥락들을 고려할 경우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것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 이해는 태생학적 연기설의 시각을 벗어나 경전의 전체 교법과 각 경전들의 맥락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by tracing the origins of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of Twelve Nidānas (paṭiccasamuppāda) in Nikāyas. Since the interpretation from Abhidhamma, Twelve Nidānas has been regarded as a reincarnation theory that explains the embryologic process. Though major commentators and researchers have been rejecting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are regarded to be a difficult issue either to accept or reject because of the expressions such as consciousness [viññāṇa] descends into the mother’s womb in Mahānidāna-sutta and the infant was born from an union of three conditions that are the mother and father and the spirit-being (gandhabba) in Mahātaṇhāsaṅkhaya-sutta.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ontext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former expression is to be an explanation that consciousness resumes activities of the language-recognition and comes back from Form·Formless Realm (rūpa·ārūpadhātu) to Desire Realm (kāmadhātu) among ‘Three Realms’ (Tayodhātavo). Here the mother’s womb can be understood as a conscious space such as the womb (yoni) expresses the space of a deep understanding (manas) of the law (dhamma). The latter is to be an explanation in context that the consciousness should be understood under human conditions targeting the thought of Sati who misinterpreted it as the subject of reincarnation. In this sutta, embryologic description is added after the explanations of Twelve Nidānas, to correct Sati s idea of regarding it as transcendental being. Considering these contexts, it can be seen that the Twelve Nidānas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with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refore, this study claims that Twelve Nidānas should be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whole teaching and the context of each scripture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 which is only a later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