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보조기기 이용자의 일상생활자립에 대한 평가척도 개발

        용미현,양영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2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dependent living ability index for the use of mobility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Methods : The scale development process constitutes the content of an independent living ability index for the use of mobility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develops the preliminary questions. In order to construct the preliminary question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items of the evaluation scale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and findings from expert investigation. The contents validity is evaluated by examining the answers to the composed questions. Then, a questionnaire is given to the user about the developed evaluation scale to obtain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independent living ability index for the use of mobility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s completed. Results : A total of 28 items was selected through bot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e mobility component had 12 items: two items in home mobility, four in work/school mobility, three in community mobility, and three items in outdoor mobility. The usability component had 16 items: five items in the usability of ambulation aids, five in the usability of manual wheeled mobility, and six items in the usability of powered wheeled mobility. They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verifi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reliability and validity Conclusion :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n independent living ability index on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mobility ATDs and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s methodological significance is at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n objective index using statistical methods in the method development process. Its theoretical significance is at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hat systemizes the mobility component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nvironments. Its practical significance is borne from its original intent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independent living ability in various environments. The fact that clinicians and users participated in the item developmen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활동과 환경을 고려하여 이동보조기기 사용에 따른 수행을 측정하는 문항을도출하여 타당도가 확보된 이동보조기기 사용에 대한 일상생활자립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동보조기기 평가척도 개발은 평가항목을 추출하고,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동보조기기이용에 관한 일상생활자립 평가척도 문항구성을 위해 문헌조사 및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성된 문항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내용타당도 검증 후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그 다음 개발된 평가척도에 대해 이용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 타당도를 구한 후 최종적으로 이동보조기기이용에 대한 일상생활자립 평가척도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이동보조기기 이용자의 일상생활자립에 대한 평가척도 문항은 28문항으로 선정되었다. 즉, 이동성 12문항으로 주거 이동성 2문항, 학교/직장 이동성 4문항, 지역사회 이동성 3문항, 실외 이동성 3문항이 선정되었다. 사용성은 16문항으로 보행보조도구 사용성 5문항, 수동이동기기 사용성 5문항, 전동이동기기사용성 6문항이 선정되었다. 확정된 문항은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이동보조기기 적용 후 기능적 성과 및 치료적 중재에 대한 객관적인 결과를 확보할 수 있는 도구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평가척도 개발 과정에서통계학적인 방법들을 사용하여 객관성 있는 척도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가 있고,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이동성에 관한 항목을 체계화한 것에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의 개연성을 반영하기 위해 임상가들과 이용자들이 문항개발에 참여하여 활용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실제적인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

        용미현(Mi-Hyun You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1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능력은 더 증대되며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분석결과 임상실습 만족도는 임상실습 내용, 임상실습 후 만족감,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지도방법, 임상실습 시간, 임상실습 평가, 임상실습 중 자신의 내적갈등 순이었다.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만족도의 차이는 전공 만족도와 실습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임상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연구의 내용이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It is report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clinical practice, the more the ability to perform their work. It is important to assess student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clinical practice. The research data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clinical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9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ho completed clinical train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1, 2017 to August 13, 2017.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was used to measure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more female, university more. Satisfaction with major was the most satisfied and the training period was the most 24 weeks. Rehabilitation hospitals were the highest in the training institu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was higher in the order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fter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teaching method of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time,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internal conflicts in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training period.

      • 치매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수준 조사연구

        용미현 ( Mi Hyun Yong ),김은정 ( Eun Jung Kim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2 No.2

        연구목적: 치매환자 가족의 치매에 대한 지식수준을 조사하고 전문가에 의해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부산경남 지역에 위치한 복지관 및 주간 보호 센터 등 치매노인 관련 기관에 방문하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우편 발송하여 조사되었다. 치매의 인구학적 특성, 치매 원인, 치매 증상, 치매 진단과 치료에 대한 치매환자 가족의 지식수준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치매환자 가족의 지식수준은 중간이상이었고, 치매지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은 자가 치매인식과 부양책임이었다. 결론: 치매환자 가족의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towards dementi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of an educational program provided by a specialist. Subjectiv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families visiting the Senior Welfare Center and the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Busan, Gyeongnam. The question retrieval method was post. Questionnaires with a total of 100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the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period was from July 26th to September 11th of 2010. Research: In the level of knowledge for dementia, average 21.20 out of a total of 30 was revealed, and this is the average 70.67 points out of 100. In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level of knowledge related characters of population, people who know about the dementia, or think corporate responsibility, had the higher level of knowledge. In difference of the level of knowledge related characters of population, women and the middle-aged had the higher level of knowledge, and married people had the higher level of knowledge. The level of knowledge was revealed high among people who have higher academic careers, the jobs in management, or professional work as well as sales service. People whose incomes was middle class had the higher level of knowledge for dementia. In the case of people who acquired information by a specialist or care for demented elderly person, the level was high.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of study, we identified that systematic education by a professional will improv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 KCI등재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용미현 ( Mi Hyun Yong ),차수민 ( Su Min Cha ),양영애 ( Yeong Ae Yang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2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6 No.2

        목적: 본 연구는 부산 지역 노인의료복지시설 중 노인전문병원에 입소하고 계신 노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알아보고, 삶의 만족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시설의 전문성, 일상생활동작과의 관계를 알아보아 병원에 입소한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8월 20일부터 9월 14일까지 부산지역 노인의료복지시설 중 노인전문병원에 입소하고 계신 65세 이상 인지정상 노인 1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시술통계, T-test, ANOVA 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교, 외출빈도,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개인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가족교류(p<.01)와 주관적 건강상태(p<.01), 일상생활동작(p<.01)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족들의 지지, 건강상태를 증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일상생활동작훈련 강화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the life .of the .old man who is in a geriatric hospi- tal in the Busan area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ilities .of expertis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dmitted to hospital Based an these, Methods :The study period was August 20-September 14. The target is in a geriatric hospital -in Busan area and whether the normal subjects aged 65 and alder, 117 people were surveyed. Analysi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Y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Religion, frequency .of going ou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Family correspondence(p<.0l), subjective health st8tus(p<.0l),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p < .01)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Family support health promotion programs, strengthen the training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life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Elders.

      •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과의 상관관계: FMA, MFT와 K-MBI를 중심으로

        용미현 ( Mi Hyun Yong ),김덕주 ( Deok Ju Ki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뇌졸중 재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3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뇌졸중 환자 49명을 대상으로 상지기능 검사로는 FMA, MFT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검사로는 K-MB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지기능 척도인 MFT와 일상생활활동 척도인 K-MBI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상지기능 척도인 FMA와 일상생활활동 척도인 K-MBI 간에 관련성은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간에는 상관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에 작업치료 중재 시에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고, 또한 일상생활활동 참여를 통해 상지기능의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 From 1 July 2013 to 30 August 2013,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tests were performed to 49 patients a stroke. FMA and MFT was used for examination of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MBI has been used for check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Results :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e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MFT and K-MBI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Correlation between the FMA and the K-MBI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In this study, correlations betwee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In occupational therapy, the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will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ll improve upper extremity function.

      • 정상노인집단과 치매노인집단에서의 MMSE-K와 시계그리기 검사 간의 상관관계

        용미현 ( Mi Hyun Yong ),유찬욱 ( Chan Uk Yoo ),박은정 ( Eun Jung Park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검사로서 많이 사용되는 MMSE-K와 시계그리기 검사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검사로서 많이 사용되는 MMSE-K와 시계그리기 검사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 시계그리기 검사가 단시간에 할 수 있는 노인인지 기능검사로 효율적인 검사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치매병동에 입소하신 65세 이상 알쯔하이머 치매노인 50명과 지역사회 노인정을 방문한 65세 이상 정상노인 50명을 대상으로 MMSE-K와 시계그리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시계그리기 검사는 Rouleau 등의 10점 채점체계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 T검정,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매노인과 정상노인 두 집단 간의 MMSE-K 점수와 시계그리기 점수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내 MMSE-K 점수와 시계그리기 점수 간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론: 시계 그리기 검사는 단시간에 행해져야 하는 환경에서 노인의 인지기능 검사를 위한 효율적인 검사 도구로 여겨진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rrelation of the clock drawing test with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elderly and demented elderly. Methods: Normal elderly and demented elderly aged 65 and over were administered with the MMSE-K and clock drawing test. Rouleau, such as clock drawing test scoring system was used for 10 points. Analyzed using the SPSS 12.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MMSE-K and clock drawing scores from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rrelation between MMSE-K and clock drawing test in each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clock drawing test can be an effective and simple cognitive tool for the elderly patients.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양예슬,용미현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Methods : For this purpose, 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August 16, 2020 to October 16, 2020, targeting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mong them, a total of 21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incorrect or missing answer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consciousness, work ability,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had an effect on job satisf action. The job commitment of the sub-category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promotion opport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and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sub-category of professional pride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job itself among job satisfaction, and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sub-category of will of service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pay level among job satisfaction.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had an effect on job stress.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sub-item expertise recognition had the mo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ystem among job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sub-item job commitment had the most influence on inadequacy of compensation and workplace culture among job stress.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sub-item professional pride had the mo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ystem among job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sub-item will of service had the most influence on relationship conflict among job stress. Conclusion :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to prepare improvement plan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job stress in their work environment. Research on ways to efficiently manage occupational therapists' job stres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is continuously needed.

      • KCI등재

        의료기관 종사자의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효과성과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양기영,용미현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일과 삶의 균형 현황을 확인하고, 일과 삶의 균형이조직효과성과 개인의 주관적 행복 간의 직⋅간접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1년 9월 3일부터 9월 2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지는 총 300부를 직접 배포하여 최종22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였고 일반적 특성 11문항, 일과삶의 균형 13문항, 감정노동 4문항, 직무스트레스 8문항, 직무만족 5문항, 주관적 행복감 2문항으로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은 감정노동인 심층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나타났으나, 직무스트레스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는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은 증가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주관적 행복을 감소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고, 감정노동과주관적 행복감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의료서비스와 같은 전문서비스 분야에 구성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현황뿐만 아니라 일과삶의 균형과 직무효과 간의 관계 연구를 확인하는데 다양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confirmed the current status of work-life balance for workers at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and confirmed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dividual subjective happiness. Methods :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3 to September 23, 2021, with a total of 300 surveys distributed. Among them, 227 surveys were ultimately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software, specifically SPSS 21.0 and Amos 22.0. The measurement tool was adap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be suitable for the circumstanc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t consisted of a total of 39 items, categorized as follows: General Characteristics, Work-Life Balance, Emotional Labor, Job Stress), Job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Results : The work-life balanc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was found not to significantly impact the profound emotional labor, but it was observed to reduce job stress. Additionally, emotional labor was identified as a decisive factor in decreas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Job stress not only diminishes job satisfaction but also has been confirmed as a factor decreasing subjective happiness. However, no direc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 : Studying the work-life balance of members in specialized service fields, such as healthcare services, not onl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urrent situation but also offers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효과 - 개별 훈련과 집단 훈련의 비교 -

        박은정,유찬욱,용미현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2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집단과 개별로 실시하게 하여 상지 기능, 인지 기능 과 일상생활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6월부터 11월까지 약 5개월간 A병원에 입원하여 뇌졸중 진단을 받은 사람 중에 재활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과제 훈련군과 개별 훈련군은 각각 13명씩 무작위 배정 하였다. 두 군 모두 동일한 내용의 과제 지향 훈련을 1일 30분씩 3주간 시행하도록 하였다. 결과 : 훈련 전 두 군의 상지 기능과 인지 기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훈련 전 일상생활 영역에 서 목욕하기(p<.001), 식사하기, 개인위생과 총점(p<.05)이 집단 훈련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훈련 후 상지 기능은 개별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두 그룹 모두 훈련 전후 상지 기능 식 사하기, 개인위생 ,목욕하기, 옷 입기, 용변처리, 이동, 보행, 계단, 총점(p<.05)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 다. 두 그룹의 훈련 전후 변화량 비교에서 개별 훈련군이 상지 기능(p<.001)과 일상생활 영역에서 식사 하기와 총점에서 더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p<.05). 결론 : 과제 지향적 훈련을 시행 시 집단 훈련군과 개별 훈련군 모두 상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력에 향상 을 가져오며, 특히 상지 기능의 향상이 클 경우에 더 높은 일상생활 수행력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다. 앞으로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종단적인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