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 G. 융의 동시성에 관한 연구­「주역」과 노장에 대한 C. G. 융의 이해를 중심으로

        요시무라 미카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문화 Vol.0 No.16

        The way of thinking based on the totality of human and nature, which was the common sense in the premodern world view, has been considered to be not worth finding in the modern world keeping pace with the scientific world view. The synchronicity concept is able to be considered to interpret it in the modern way again. The ultimate notion with the totality undifferentiated between human and nature or worth an fact is the way of thinking such as the way of thinking of the Yi-king based on the oriental philosophy or Taoism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scientific world view. However, it can be understood completely by the synchronicity concept connected with the totality. Because human and nature are not separated and fact and worth are not cut off in this world view, human being does not become the existence of being controlled physically or does not get involved in the principle of skepticism without the meaning or worth. The synchronicity concept has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by accepting the totality philosophy sacrificed at the sacrifice of the physical richness brought about by the scientific world view and establishing the comprehension method balanced for human being. On the other hand the synchronicity concept has been called Tao in the oriental philosophy. Accordingly the deep connection between Tao which is the general and universal principle and the synchronicity concept is studied carefully by referring to the literatures on Yi-king and Taoism. This time this paper has tried to clarify that the oriental philosophy reveals the real state of the universe through the study and consideration above-mentioned and has the anticipated vision that should be reconsidered as the way of thinking that is important and essential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동시성원리는 과학적 세계관이 대두한 근대세계에서는 더 이상 고려하지 않는, 전근대적인 세계관에서 흔한 상식이었던 자연과 인간의 전체성에 토대를 둔 사고방식을 다시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양사상의 태극(太極)이나 도(道)처럼, 자연과 인간, 가치와 사실이 미분화된 전체성을 가리키는 궁극적 개념은 과학적 세계관에 적합하지 않는 사고방식이지만, 인간의 심층심리나 자연의 심오한 질서는 인과율을 벗어나고, 그것으로 완전히 포착되지 않는 의미로 연관된 전체성을 가정해야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세계관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분리되지 않고 사실과 가치가 단절되지 않기 때문에, 물리법칙에 불과한 존재로 인간이 환원되어 의미나 가치를 상실한 회의주의에 빠지지 않게 된다. 과학적 세계관이 가져다 준 물질적 풍요의 댓가로 희생되고 있는 전체성을 다시 도입함으로서, 균형잡힌 인간의 이해방식을 건설하는 것이 동시성원리의 의미이다. 또한 동시성원리는 동양철학에서 도의 이름으로 불려온 것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원리인 도(道)가 동시성원리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을 주역뿐 아니라,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문헌을 통해서 고찰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검토와 고찰을 통해서 동양사상이 우주의 전체적 실상을 잘 전달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와 미래의 중요하고 본질적인 사유로 재조명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구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현장의 유식사상

        요시무라 마코토(Yoshimura,Makoto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9 불교와 사회 Vol.11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장의 번역서, 그가 번역 과정에서 남긴 기록, 유식 경전에 관한 주석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의 유식사상을 추정하고, 특징을 기술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크게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현장은 무루종자설을 통해 오성각별설을 지지하였다. 둘째, 그는 구식설을 부정하고 무루종자설을 가미한 팔식설을 제시함으로써 심식설을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그는 삼성설과 관련해 무성의 해석을 지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review Xuanzang’s translations, the records he left i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the explanatory notes on the scriptures to estimate and characterize Xuanzang’s thought of Consciousness-On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 supported the theory of The five different natures (五性各別說) through the ‘asasravabija’ theory (無漏 種子說). Second, he seems to have established The theory of consciousness (心識說) by denying ‘the Nine Vijñānas’ theory and suggesting ‘the Eight Vijñānas’ theory added the ‘asasravabija’ theory. Third, he is believed to have supported Moo-sung's interpretation of Three-nature Theory (三性說).

      • 陽明文庫の漢籍

        芳村弘道(요시무라 히로미치),노요한(번역자)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6 동아한학연구 Vol.- No.11

        후지와라노 가마타리(藤原鎌足, 614-669)에서 시작되는 일본 제일의 귀족이었던 후지와라씨(藤原氏)의 본류는 헤이안(平安)시대 말기에 이르러 가계가 둘로 나뉩니다. 그중 하나가 고노에케(近衞家)로, 대대로 攝政 · 關白의 직을 계승하도록 허락된 집안의 필두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래로 고노에케는 면면히 이어져 현재 31대에 이르고 있습니다. 고노에케에는 긴 세월 동안 지켜 내려온, 십수만 점에 이르는 고문서 · 고기록 · 고미술공예품이 있습니다. 이것을 일괄하여 보존관리하는 특수한 역사자료관이 교토에 있는 陽明文庫(요메이분코)입니다. 양명문고의 풍부한 자료군에서 漢籍도 질적으로 양적으로 모두 자랑할 만한 장서를 볼 수 있습니다. 양명문고의 한적은 무로마치(室町)시대 이후에 입수된 것으로, 대개 두 개의 장서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는 주로 무로마치 시대부터 에도(江戶)시대 초기에 걸친 중세 한학 관련 古版本 · 古寫本입니다. 다른 하나는 에도시대 중기, 제21대 當主 고노에 이에히로(近衞家凞, 1667-1736)의 수집으로 이루어진, 그의 학예와 결부된 한적입니다. 이 중에는 세계에서 오직 양명문고에만 존재하는 ‘천하의 孤本’과 중국에서는 전래가 끊어져 일본에만 남아 있는 ‘佚存書’도 적지 않으며, 國書 중에서도 품질이 우수한 것을 소장한 것으로 저명한 이 문고는, 또한 일본 유수의 한적 선본의 소장기관입니다. 본고는 그 중 주목할만한 장서를 골라, 각 본의 특색을 분명히 하여 설명을 가한 것입니다. Clan of Fujiwara, one of the most prestigious family in Japan originated from Fujiwarano Katamari (藤原鎌足, 614-669), separated into two branches at late Heian Era. One is Konoeke (近衞家) whose members had a hereditary right to act as regent (攝政) and lord (關白), and the 31st generation of the family is still standing today. Konoeke owns a collection of thousands of inherited old documents and art objects, and there’s this storehouse in Tokyo called Yomeibunko (陽明文庫) where the legacy is preserved and managed. Among the collection, a series of paleographs in classical Chinese are notable. The documents were established after Muromachi Era, and can be categorized in two parts. Part of the collection is early typography or transcription of middle age Sinology from the period of Muromachi to early Edo, while the other part consists of documents collected by and related to Konoe Iehiro (近衞家凞, 1667-1736), the 21st head of the family, in the middle of Edo. Among those, there are several “one and only” paleographs and documents lost in mainland China. Since Yomeibunko has prestigious fame for its high quality collection even compared to other libraries in Japan, the thesis offers the list of significant paleographs and explains each document’s characteris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