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타임랩스 기법을 이용한 영상제작에 대한 연구 : 작품 ‘Time Remapper’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왕성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oday, the advent of new video production media by technical development starts changes of video production environment and video expression technique. Since the Digital Single Lens Reflex camera(DSLR) became able to record video performed by film camera and video camera before, the availability of it are spreading to not only an expert, but also the public. DSLR can produce high resolution video by easy using lens of various view angle, at a relatively small charge, and by simple equipment; thus it is changing video production technique to the easy and various way. Recently, the ‘Time-lapse photography’ which takes a photograph of a high-definition picture at regular intervals and it is played as normal speed video in oder to show the long march of time in short time receives attention. This study is to research video production by Time-lapse photography, based on the fact that Time-lapse photography is useful expression technique to express temporality and spatiality in video as media on the basis of time. First, it is to arrange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researching the concept of Time-lapse photography and production method, to analyze the existing Time-lapse photography work case by classifying it into material, the subject, and production technique. It is to arrange the feature of each category, and to derive the feature and an advantage of Time-lapse photography from the analysis result. After collecting the feature of each arranged category as one, it was naturally connected, applied to the work, and produced as a new video work on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video.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to offer the feature and the advantage of Time-lapse photography as expression technique for video production, and to produce the new video work distinct from other existing work case on basis of the feature and the advantage. Futhermore, this can seek the new way to expand the existing video expression technique which has been into general use. 오늘날 기술 발달에 따른 새로운 영상 제작 매체의 등장은 영상 제작 환경과 영상 표현 기법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제작 매체 중 디지털카메라(DSLR)는 필름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가 수행하던 영상 촬영이 가능해지면서 전문가는 물론 일반인들에게까지 그 활용도가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디지털카메라는 다양한 화각의 렌즈 사용이 쉽고, 비교적 적은 비용과 간편한 장비로 고해상도의 영상 제작이 가능하여 영상 제작 기법을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고화질의 사진을 일정한 간격을 두어 촬영하고, 이를 정상 속도의 영상으로 재생하여 긴 시간의 흐름을 짧은 시간 안에 보여주는 ‘Time-lapse(타임랩스) 기법’이 주목받고 있다. 논자는 타임랩스 기법이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매체인 영상에서 시간성과 공간성을 표현하는 데 유용한 표현 기법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타임랩스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먼저 타임랩스 기법의 개념과 제작 방식을 연구하여 이론적 배경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기존 타임랩스 작품 사례를 소재, 주제, 제작 기술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해본다. 분석 결과를 통해 각 범주의 특징을 정리하고 타임랩스 기법이 가진 특징 및 장점을 도출한다. 정리한 각 범주의 특징을 하나로 모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작품에 적용하고, 영상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주제로 한 새로운 영상 작품을 제작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작품을 통해 영상 제작을 위한 표현 기법의 하나로써 타임랩스 기법이 가진 특징 및 장점을 밝히고, 이를 적용하되 기존 작품 사례와는 다른 새로운 영상 작품을 제작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 널리 쓰이고 있는 영상 표현 기법이 어떤 방식으로 확장 가능한지 알아본다.

      • 일차원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전력선 부분 방전 탐지

        왕성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력선의 유지·관리는 매년 증가하는 전력 사용량에 따라 점차 대두되는 문제 중 하나이다. 전력선의 손상은 부분 방전 (partial discharge)으로 이어지며, 잦은 부분 방전은 전력선 전체의 정전 또는 화재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체코의 오스트라바 VSB Technical University의 ENET Centre에서 제공한 전력선의 전기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분 방전을 탐지하였으며, 신호 데이터에서 특징을 추출하는데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일차원 합성곱 신경망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러나 합성곱 신경망은 활성화 함수로 쓰이는 ReLU 함수와 최대 풀링으로 인해 음의 정보가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음의 정보의 손실을 막고 이를 학습하기 위해 일차원 합성곱 신경망을 병렬적 구조로 학습하는 병렬 최대-최소 합성곱 신경망을 제안하여 기존 방법과 F1-Score와 MCC (Matthews Correlation Coefficient)값을 통해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병렬 최대-최소 합성곱 신경망은 학습해야하는 모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성능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Maintaining and managing power lines is one of the problems that is gradually emerging with increasing power usage each year. Damage to the power line leads to partial discharge, and frequent partial discharge can cause power failure on the entire power line or fire. In this paper, the electrical signal data from the power line provided by ENET Centre in VSB Technical University in Ostrava, Czech Republic was analyzed to detect partial discharge using a on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at is excellent performance in extracting characteristics from the signal data. However,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has the problem of losing negative information due to the ReLU function as an activation function and maximum pooling. To prevent loss of negative information and to learn it, we proposed a Parallel Maximum-Minimum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at learns in a parallel structure, comparing performance with existing methods using F1-Score and MCC (Matthews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and confirming that parallel maximum-minimal neural networks increased performance without greatly increasing learning parameters.

      • 랜드스케이프 건축기법을 이용한 조선왕릉 전시관 계획 : 서울 선정릉을 활용하여

        왕성현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문화유산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며, 인류가 이룩한 문화적 성취를 전달해주고 있으며, 오랜시간 역사속에서 만들어진 가치는 상당하다. 세계문화유산 중 조선왕릉은 2009년에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2019년 현재 유네스코 10주년을 맞이하고 있다. 조선왕릉은 접근이 용이하고, 보존이 잘되어 있고 수려한 경관을 가지고 있어 도심속의 숲 같은 존재이다. 그러나 현재 조선왕릉을 포함한 한국의 유네스코 등록문화재들의 방문객들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조선왕릉 중 중부지역의 방문객수가 제일 많으나 최근 방문객수가 감소하고 있는 선릉의 경우에도 선릉이 현재 갖고 있는 문제점 많은 방문객수를 감당하지 못하는 전시관의 규모, 휴게공간 부족, 주출입구의 변경에 다른 동선유도의 문제등을 가지고 있다.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릉의 방문객들의 인터뷰 및 현황에서는, 전시공간이 부족하며, 교육목적으로 방문한 학생들의 교육공간이 부족하였고, 출입구 변경에 따라 주동선이 바뀜에 따라 선릉의 프로그램적 특성에 따른 동선유도가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문화재 활용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한다. 문화재 활용이란 문화재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가치를 찾고, 그 가치를 돋보이게 하는 것으로써, 조선왕릉의 문화재 활용은 조선왕릉 전시관을 통해 잠재적 가치를 돋보이게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방문객수가 점차 감소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해서 건축적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