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앙리 르페브르의 정치적 공간담론을 통해본 지아장커(賈樟柯) 영화 속 공간의 정치적 함의

        왕겅이 ( Wang¸ Geng Yi ),정태수 ( Chung¸ Tae Soo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1978년 중국 개혁 개방 이후 달라진 정치-경제적 양상을 냉철하게 기록하는 중국 제6세대 대표적 감독인 지아장커(贾樟柯)의 영화에 내포된 정치적 함의를 밝혀내고자 한다. 영화는 정치에 의해서 창작되고 정치적인 것은 영화를 통해서 구현된다. 영화가 가지고 있는 정치적 기능은 바로 영화적 공간(화면)을 통해서 실현된다. 따라서 지아장커의 영화적 공간의 정치적 함의에 대해 논리적으로 논의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정치적 공간’개념을 내세운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정치적 공간담론을 본 논문의 이론적 토대로 선정한다. 본 논문에서 르페브르가 논의하는 국가권력과 폭력으로서 ‘추상공간’과 정치-자본 이데올로기로서 ‘계획 공간’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 입각해 지아장커가 1998년부터 2018년까지 20년 동안 만들었던 12편의 장편의 영화에 내포된 정치적 함의를 밝혀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상공간의 측면에서는 지아장커 감독이 기념물과 상징물, 그리고 매체들을 통해서 재현된 국가권력과 폭력, 그리고 민중들에 대한 통제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계획 공간의 측면에서는 지아장커 감독이 영화 <동(東)>(2006), <스틸 라이프(三峽好人)>(2006), <세계(世界)> (2004)에서 보여준 국가 계획 공간으로서의 싼샤댐(三峽大壩)과 세계공원(世界公園)에 드러난 폭력성과 억압성에 대해 논리적으로 고찰했다. 이를 통해 지아장커의 영화적 공간에 대해 새로운 정치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In this paper, I seeks to shed light on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China's sixth-generation representative director Jia Zhang-ke, who coldly records the political-economic aspects that have changed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n 1978. Film is created by politics, and politics is realized through film. The political function of a film is realized through the cinematic space (screen). Therefore, in order to logically discuss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Jia Zhang-ke's cinematic space, Henri Lefebvre's political spatial discourse, who first introduced the concept of ‘political space’, is selected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paper. Based on the two aspects of ‘abstract space’ as the state power and violence that Lefebvre discusses in this paper, and ‘planning space’ as a political-capital ideology, the 12 feature films that Jia Zhang-ke made over 20 years from 1998 to 2018 It reveale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film.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abstract space, director Jia Zhang-ke specifically analyzed the state power, violence, and control over the people reproduced through monuments, symbols, and media. In terms of planning space, director Jia Zhang-ke logically examined the violence and oppression revealed in the ‘Sanxia Dam(三峽大壩)’ and ‘World Park(世界公園)’ as national planning spaces shown in the films < Dong(東) >(2006), < Steel Life(三峽好人) >(2006) and < The World(世界) > (2004).

      • KCI등재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 영화에 재현된 도시 공간 (1998-2018)

        왕겅이(Wang, Geng Yi),정태수(Chung, Tae Soo)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영화는 도시에서 탄생하며 자신의 표현방식(영화적 공간)을 통해 도시를 재현한다. 도시와 영화는 이러한 친연관계가 있어서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공간담론을 토대로 영화에 접근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할 영화는 개혁 개방 이후 중국사회의 변화를 냉철하게 기록하는 중국 제6세대 대표감독인 지아장커(賈樟柯)의 12편의 장편 영화작품들이다. 지아장커 영화를 선택하는 이유는 그의 영화에 재현된 도시 공간은 르페브르의 도시적 공간담론에서 논술하는 것과 놀랄 정도의 일치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시적 공간의 소외와 도시공간에 내포된 변증법적 특성은 지아장커와 르페브르의 공통적인 관심사이다. 르페브르가 도시는 소외의 온상이라고 지적하며 산업화(사물의 생산)와 탈산업화(기호적 소비)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도시적 소외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또한 그에게 있어서 도시는 정지되어 있는 공간이 아니라 유동적이고 변증법적인 공간이다. 도시적 공간의 변증법적 특징에 대해 그가 ‘주변-중심’, ‘생산-소비’, ‘(재)영토화-탈 영토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 입각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지아장커는 르페브르가 지적하는 도시적 공간이 갖고 있는 소외성과 변증법적 특성을 자신의 영화적 공간으로 재현한다. 도시적 공간의 소외성의 경우, 그가 영화에서 개혁 개방 이후 도시로 유입된 농민공(農民工)과 자본주의 논리에 순응할 줄 모르는 주변인(邊緣人)이라는 인물군상을 자신의 영화의 주인공을 설정함으로써 자본으로부터 나오는 도시적 소외를 그려냈다. 다른 한편, 르페브르가 지적하는 ‘주변-중심’, ‘생산-소비’, ‘(재)영토화- 탈 영토화’라는 세 가지 도시적 공간의 변증법의 경우, 그의 영화에서 농촌과 도시의 대비, 그리고 낡은 것의 해체와 새로운 것의 형성 과정을 보여주면서 도시적 공간의 ‘주변-중심’의 변증법적 관계를 그려냈다. 그리고 영화에서 도시에 있는 노동자들의 노동과정과 대중광고, 명품 브랜드를 함께 보여줌으로써 도시적 공간의 생산-소비의 변증관계를 재현했다. 또한 감독이 영화에서 중국본토적인 것과 자본주의 세계화로 인해 중국으로 유입된 외래 자본, 문화, 이데올로기 등 함께 대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도시적 공간 속에 끊임없는 (재)영토화- 탈 영토화의 변증법적 관계를 그려냈다. 이처럼 르페브르와 지아장커가 이러한 비슷한 관심사가 있어서 본 논문에서는 르페브르의 도시적 공간담론을 바탕으로 지아장커 영화에 접근함으로써 개혁 개방 이후 중국 도시 공간 표상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Film are born in cities and reproduce the city in their own way. Because cities and film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is paper seeks to approach films based on Henri Lefebvre’s Urban space discourse. More specifically, the films will be 12 feature films by China’s sixth-generation representative director, Jia Zhang-ke’s films who records changes in Chinese society in a cool manner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The reason for choosing Jia Zhang-ke’s film is that the urban space reproduced in his film is surprisingly consistent with Lefebvre’s urban spatial discourse. In particular, the alienation of urban space and dialectical characteristics implicit in urban space are common interests of Jia Zhang-ke and Lefebvre. Lefebvre pointed out that cities are hotbeds of alienation and intensively discussed urban alienation in terms of two values: industrialization (production of things) and deindustrialization (symbolic consumption). Also, for him, the city is not a stationary space, a fluid and dialectical space. He specifically analyzed the dialect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based on three aspects: “ambient-centered”, “production-consumption”, and “re-territorialization-de- territorialization.” Jia Zhang-ke recreated the alienation and diale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space pointed out by Lefebvre into his cinematic space. In the case of urban space alienation, he recreated urban alienation from capital by setting the main characters of his film, “farmers-turned migrant workers” and “the marginal person” who were not compliant with capitalist logic after the opening of the refor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ialectics of three urban spaces, which Lefebvre points out, “periphery-centre”, “production-consumption”, and “re-territorialization-de-territorialization” his film depict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of urban space by showing rural and urban contrasts, and the dismantling of old and forming new. And the film recreate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urban space by showing the labor process of workers in the city, mass advertising, and luxury brands together. In addition, the film depict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of mainland China and foreign capital, culture, and ideology that flowed into China due to capitalist globalization, depicting a constant re-territorialization-de-territorialization in urban space. As Lefebvre and Jia Zhang-ke have similar interests, in this paper, would like to attempt in-depth analysis by approaching Jia Zhang-ke’s film based on Lefebvre’s urban spatial discourse.

      • KCI등재

        앙리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 영화에 재현된 사회적 공간

        왕겅이 ( Wang Geng Yi ),정태수 ( Chung Tae Soo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현대영화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이론을 토대로 지아장커(賈樟柯) 영화에 접근함으로 써 그의 영화적 공간에 영화학적 해석을 넘어서 사회학적 함의를 부여하고자 한다. 지아장커의 영화에 접근하는 데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이론을 선택하는 이유는 바로 두 사람이 사회적인 것과 공간에 대한 관계의 탐구한다는 비슷한 점이다. 다시 말해 지아장커는 영화적 공간을 통해서 개혁 개방 이후 달라진 중국사회의 양상을 재현하는 것이며 르페브르는 공간 속에 은폐되어 있는 사회성을 지적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이론은 지아장커의 영화적 공간에 내포된 사회성을 밝히기 위해 적당한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르페브르가 지적하는 사회적 공간의 ‘모순’과 ‘사회적 관계’라는 두 가지 측면에 입각해 지아장커가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0년간 만든 8편의 장편영화작품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혁 개방 이후 달라진 중국 사회구조적 모순과 계급관계를 지아장커가 어떻게 영화적 공간을 통해 재현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give his cinematic space a sociological implication beyond cinematic interpretation by approaching Jia Zhang-ke’s film based on Henri Lefebvre’s theory of social space. The reason for choosing Lefebvre’s social space theory to approach Jia Zhang-ke’s film is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ocial and space. In other words, Jia Zhang-ke recreates the different aspects of Chinese society after Reform and opening-up policy through a cinematic space, and Lefebvre points out the sociality hidden in the space. Therefore, Lefebvre’s theory of social space can be a suitable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the (Chinese) social space represented in the Jia Zhang-ke’s film. In this paper, based on the two aspects of the social space that Lefebvre points out, “contradiction” and “social relationship,” Jia Zhang-ke attempts to approach eight feature films made for 10 years from 1998 to 2008.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clarify how Jia Zhang-ke reproduces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and class relations in China that have changed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through a cinematic space.

      • KCI등재후보

        앙리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의 영화에 재현된 몸과 공간의 상호성

        왕겅이 ( Wang Geng Yi ),정태수 ( Chung Tae Soo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1 No.-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토대로 지아장커의 영화에 접근하고자 한다. 르페브르에게 있어서 공간은 인간의 신체적 행위를 통해 남과 관계를 맺어서 형성된 사회적 질서이다. 남과 관계를 맺는 것은 그 자체가 사회적인 것이기 때문에 공간과 사회가 자연스럽게 결합되고, 이를 통하여 사회적 공간은 탄생한다. 필자가 이 논문을 통해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사회적 공간을 생산하는 데 인간(몸)의 역할과 몸과 공간의 상호관계이다. 이에 대해 르페브르에 따르면 공간과 사회적인 것을 연결시켜준 것은 바로 인간의 실천(몸짓)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몸은 사지를 지배하는 ‘대량 에너지’와 뇌가 주도하는 ‘미세에너지’를 통해서 사회적인 것과 공간을 연결시키며 생산한다. 영화는 배우(인간)의 행동으로 사건(사회적인 것)과 장소(공간)를 연결시켜줌으로써 사회적 현실을 재현한다. 이처럼 영화의 사회적 현실의 재현방식과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이론은 어느 정도유사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는 지아장커의 영화속 몸과 공간의 관계성을 입증하는 데 있어 르페브르의 공간담론은 매우 적절한 분석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rl반으로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사회적 현실을 냉철하게 기록하는 중국 제6세대 감독인 지아장커(賈樟柯)의 <세계(世界)>(2004), <동(東)>(2006), <스틸 라이프(三峽好人)>(2006), <무용(無用)>(2007), <24시티(24城記)>(2008)이라는 다섯편의 장편 영화에 접근하고자 한다.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이론을 토대로 그의 영화에 재현된 몸과 공간 사이에 내재된 상호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Jia Zhang-ke’s films based on Henri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For Lefebvre, space is a social order formed by connecting with others through the physical actions of humans. Because it is social in itself that meets relationships with others, space and society are naturally combined and social space is born. so I want to reveal through this paper is the role of human beings (body) in producing social space and the reciprocity of body and space. According to Lefebvre, it is human practice (body move) that connects space and society. More specifically, the human body connects and produces space with social things through “massive energy” that dominates the limbs and “fine energy” led by the brain. The film reproduces social reality by linking events (social) to places (space) with the actions of actors (human beings). As such, it is somewhat similar to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theory to the way movies reproduce their social reality. Therefore, it is sufficiently possible to apply hi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to movies.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hi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Chinese sixth-generation director Jia Zhang-ke’s < World世界 >(2004), < Dong東 >(2006), < Still Life三峽好人 >(2006), < Useless無用 >(2007) and < 24city24城記 >(2008) approaches to Chinese social reality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of 1978. Based on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theory, he will be able to analyze in depth the inherent reciprocity between the body and space reproduced in his 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