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급, 지역, 학교 유형에 따른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양상 탐색

        옥현진 ( Ok Hyounjin ),김자영 ( Kim Jayoung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3

        초중등 학교교육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향후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행 초중등학교에서의 다양한 학습 경험이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소재 초중고 학생 2만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디지털 리터러시의 세 측면(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참여)을 중심으로 학교급, 지역, 학교 유형에 따라 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학교급과 디지털 리터러시 각 영역의 발달 양상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도시지역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읍면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교와 비교했을 때 혁신학교나 민주시민교육 실천학교의 프로그램은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지털 교과서 시범학교 프로그램은 일반학교에 비해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이나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re is a growing need to strengthen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As su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ositively affect students’ digital literacy improvement as part of foundational research to promote systematic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a survey of 20,0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region, and school type, focusing on thre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ment aspects of each area of school-level and digital literacy differed and that the digital literacy of learners in urban areas was higher than that of rural areas. Compared to ordinary schools, programs at innovative schools 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schools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digital literacy, but digital textbook pilot school program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ordinary schools. These results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 KCI등재

        현재 그리고 미래 읽기 공간의 성찰과 발견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7

        읽기 공간은 그동안 읽기 및 읽기 교육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읽기 공간은 읽기를 지원하는 물적 토대이자 읽기 행위가 이루어지는 물리적 또는 가상의 장소로서 읽기 행위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읽기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읽기와 읽기 공간 간의 교섭 양상에 대한 탐색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읽기가 읽기 공간과 상호교섭 해 온 양상을 크게 집단적 읽기, 사적(私的) 읽기, 사회적 읽기의 세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3장에서는 지금 그리고 미래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읽기양상에 대한 보다 전면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그동안 상대적으로 간과 해 온 읽기 공간, 즉 도서관, 사이버 공간, 초중등 학습자 이외의 독자들의 공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들 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읽기양상에도 더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읽기 연구의 대상과 읽기 교육의 내용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우리 고유의 읽기 공간과 읽기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관련 학문 분야와의 적극적인 소통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Reading space has not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topic in reading research and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reading space, a physical foundation for reading and the place where reading activity occurs, has a considerable impact on reading,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interaction between reading and reading space into three different types: collective reading, personal reading, and social reading. This study also suggested three new spaces for reading such as library, cyberspace, and preschooler’s and adult’s reading space and emphasized reading research in those spaces. Based on the reflection and prospection, several suggestions have been made: need for the investig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areas of reading research and the contents of reading education;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traditional reading space and reading; and interaction among other academic areas.

      • KCI등재

        모둠 토론에서 초등학생들의 끼어들기 양상

        김윤정 ( Yunejung Kim ),옥현진 ( Hyounjin Ok ) 한국화법학회 2015 화법연구 Vol.0 No.30

        This study provide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discussion education by explo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ruptions in group discussions. In total, 17 group discussions in 4 different classrooms were observed and audio-taped.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in three different categories (function, format, and agents of the interruption) and several sub-categories were extracted to show multi-faceted aspects of interruption. The results show that interrup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discussions occur very frequently, in various ways and in non-cooperative manners. Thus, systematic education to correct this is indispensable. Contents and specific teaching plans and strategies regarding interruption are discussed and topics for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 KCI등재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위한 시론 : 리터러시 평가에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유상희(Ryu, Sanghee),옥현진(Ok, Hyounjin),서수현(Seo, Soohyu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8 교과교육학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상황적 리터러시 관점에 기반하여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에서 고려할 수 있는 지점으로 상황의 중핵성, 평가의 실제성, 참여자의 주도성을 제안하였다. 상황의 중핵성은 평가 과제 개발에 있어서 상황이라는 요소가 얼마나 문항 구성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가와 관련되며, 평가의 실제성은 제시되는 텍스트와 평가 문항이 얼마나 피평가자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 또는 언어 사용 목적과 유사한지와 관련된다. 그리고 참여자의 주도성은 언어 사용자가 구체적인 의사소통 사건에 얼마나 주체적으로 참여하며 상황을 역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과 관련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개발하기 위한 방향으로 상황화된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평가, 실제 리터러시 생태계를 반영한 지문과 문 항을 제시하는 평가, 참여자가 주도성을 갖고 상황을 구성하는 평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s a preliminary exploration, aims to explore significant theoretical approaches to situation from the situated literacy perspective in order to find possible meaningful directions for situation-based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s three key elements for situation-based assessment: the core level of the situation, the authenticity level of the assessment, and the agency level of the test-takers. The core level of the situation defines to what degree the situation is regarded as the core value in developing assessment tasks. The authenticity level of the assessment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assessment tasks have an authentic purpose and/or are similar to literacy practices that happen in the test-takers’ daily lives. The agency level of the test-takers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assessment tasks provide possibilities for test-takers’ active/ agentive construction of situations. Focusing on these key elements, this study proposes meaningful directions for situationbased assessment: assessment providing specific communication scenarios, reflecting actual literacy ecosystems, and allowing test-takers opportunities for constructing interactional situations.

      • KCI등재

        초등 각 교과의 쓰기 활동 양상 분석

        노들 ( Roh¸ Deul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50

        각 교과의 학습 과정에서 쓰기 활동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국어과 쓰기 영역의 역할도 중요해지고 있다. 타 교과의 쓰기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어과와 타 교과 간의 상호 이해와 소통이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본 연구에서는 타 교과의 쓰기 활동 요구를 파악하고 지원 방안을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초등 4학년과 6학년의 각 교과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쓰기 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 체육, 도덕 등의 교과에서 쓰기 활동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설득 목적의 쓰기 활동에 비해 정보 전달이나 친교 및 정서 표현 목적의 쓰기 활동에 대한 빈도가 훨씬 높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 교과의 쓰기 활동 수준을 장르 유형과 매체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초등 국어과의 범위를 넘어서는 활동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타 교과의 쓰기 활동에서 학습자의 쓰기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얼마나 충실히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타 교과에서 학습자의 쓰기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 국어과 쓰기 영역에서 타 교과 쓰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writing is highlighted in the learning process of each subject area, the role of writing education is also gaining importance in supporting thes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Arts. As i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rts and other subject areas to facilitate writing activities in the subject areas,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writing activities in elementary fourth and sixth-graders’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writing activities in subject areas such as society, physic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was higher, and that the frequency of writing activities for informative and literary texts was much higher than for persuasive tex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evel of writing activities in other subject areas based on genre and media types showed that there are activities beyond the scope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Finally, the analysis of how faithfully information is provided to support learners’ writing process in other subject areas confirmed that the relevant information is generally insufficiently presented. Accordingly, we discussed what needs to be improved to promote learners’ writing activities in other subject areas and to support other subject areas’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Arts.

      • KCI등재

        A 초등학교 학생들의 거꾸로 학습 사례 분석: 가정에서의 학습 양상을 중심으로

        이은영(Eun Young Lee),옥현진(Hyounjin Ok)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육방법의 하나로서 거꾸로 학습의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거꾸로 학습은 가정에서의개별 학습과 교실에서의 심화 학습으로 구성되므로 성공적인 거꾸로 학습을 위해서는 가정 학습에 대해서도 상당한 관심을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이 교실과 가정에서 거꾸로 학습을 수행하는 양상, 거꾸로 학습 과정에서 학부모의 지원 양상, 거꾸로 학습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거꾸로 학습 개선을 위한 학부모의 요구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거꾸로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녀의 거꾸로 학습에 대한 학부모의 지원 양상 및 지원 수준은 가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여기에는 부모의 양육 태도나 자녀의 수 등이 영향을 미쳤다.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거꾸로 학습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정보 접근의 어려움, 자녀와 부모 간에 학습이나 과제의 충실도에 대한 인식 차, 시간의 제약, 다자녀 가정의 어려움 등으로 요약되었다. 학부모들은 거꾸로 학습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거꾸로 학습의 개선을 위해 필요한 부분들을 여러 측면에서 제안해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학교현장에서 거꾸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과 거꾸로 학습의 개선을위해 필요한 학술 논의의 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flipped learning a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for the future society. Since flipped learning consists of individual learning at home and deep learning in the classroom, it is necessary to pay considerable attention to learning at home for more successful flipped learning. In this study,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parent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asp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ing flipp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at home, parental support patterns in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parent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and parental demands for learning impro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flipped learning, parents support patterns and levels of support for their children s flipped learning differed depending on parenting attitudes and the number of children. The difficulties that parents faced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ir children s flipped learning were summarized as difficulties in accessing information,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fidelity of learning or tasks, time constraints, and difficulties in families with multiple children. Parents evaluated the flipped learning positively in general but they suggested room for improvement in flipped learning from various aspec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last part of the study looked into the parts to consider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at school and the topics of academic discussion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flipped learning.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특성과 가정 변인 간의 관계

        양길석(Yang, Kilseok),옥현진(Ok, Hyounjin),서수현(Seo, Soohyu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1

        디지털 리터러시는 미래사회 핵심능력의 하나로서 이에 대한 교육 요구는 점차 커지고 있다. 리터러시는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의 능력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특히 주목한 부분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 향상에 미치는 가정의 역할이다.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가정 변인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설문 문항들을 추출하고 기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 100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 변인의 일부 항목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 발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선 이번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된 항목들을 중심으로 가정이 교육적 중재를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학습자 특성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여 영향력 있는 가정 변인 항목들을 새로 발굴하고 그 효과를 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Digital literacy will be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society. Therefore, the deman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increasing. Literacy consis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abil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affective domain is emphasiz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he household in improving learners’ affec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Several items were selected as househol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igital literacy attitude was assessed with the Digital Literacy Attitude Assessment. A total of 1008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tudy found that some items among the household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some do not. The items empirically ver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by families of learners as par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foster digital literacy. The results emphasize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influential household variable items by analyzing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more closely and verifying their effects through research.

      • KCI등재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관계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양길석 ( Yang Kilseok ),서수현 ( Seo Soohyun ),옥현진 ( Ok Hyoun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하기 위한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교육 계획을 체계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5개 시·도의 중학교 1학년 1001명이 참여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학습자의 디지털 환경 및 디지털 활동 양상 파악을 위한 설문지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자기진단 평가도구가 활용되었다. 디지털 환경에 따라 디지털 활동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디지털 환경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하기 위해 평균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디지털 활동 양상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활동에 높은 빈도로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활동 양상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제고를 위한 방안, 그리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While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is being emphasized, research o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effectively improve it have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digital environment, digital activity,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e was analyz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systematize educational plans in the future. A total of 1001 middle school students from five provinces participated and a questionnaire for learners' digital environment and digital activity and a self-diagnosis evaluation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were used.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digital activity appeared according 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test and F-test was implemented to examine how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ppeared according to the digital environment. Also one-way 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ccording to the digital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various types of digital activities with high frequenc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ctivity patter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plan for enhanc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2030년 미래 국어과 교육의 방향 탐색

        박재현 ( Park Jaehyun ),김종윤 ( Kim Jongyun ),옥현진 ( Ok Hyounjin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3

        미래 사회를 대비한 교육 계획 수립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2030년을 대비한 국어과 교육의 주요 과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 국어교육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전문가는 2030년 대비 국어과 교육에서 가장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세 가지씩 작성하여 회신하였으며, 연구자들은 공동 작업을 통해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 의견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수렴되었다. 첫째 국어 교육과정은 미래 가치를 담아낼 수 있어야 하며, 영역 통합적으로 변해야 한다. 둘째, 교사 역량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선발제도와 양성과정에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 사용에 대해 보다 유연한 관점과 자세가 필요하며 교과서 개발 및 검정 체제의 경직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넷째, 실제적 수업, 학생 존중 수업, 역량 강화 수업으로 국어과 교수·학습이 변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와 대학 입시제도 모두 실제적 국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더 나은 국어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과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critical issues to be resolved in Korean education in the 2030s through an email questionnaire that was distributed to 30 Korean education experts.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and then cate-gorized into five matters to be addressed: first,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must maintain its own values and consider integration among the domains; second,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placement tests should be revised; third, the current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should be more flexible;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should be more authentic, student-centered, and competency-based; finally, the current assessment system―including classroom-based assessment and college entrance tests―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assess student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work will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and suggestions for the education system.

      • KCI등재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노들 ( Roh Deul ),서수현 ( Seo Suhyun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4

        각 교과에서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한 학습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국어과의 도구적 역할도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상황으로까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의 토대로서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관련 연구를 촉구하는 목적에서 초등 제 교과의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활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2학년 단계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5-6학년군에 와서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에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들은 전반적으로 학습자의 실제 디지털 리터러시 발달 수준보다 높은 수준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과서에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돕는 비계가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교과마다 그 편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에 양적으로도 많이 부족할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에 대한 안내도 구체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마지막 부분에서는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 교과 리터러시에 대한 재개념화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 교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As digitally-mediated learning increases in each subject, there is a growing need to extend the role of the Korean Language Arts to the digital media-based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of digital content literacy and aimed to analyze the aspect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ubject to promote related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began to appear from the 2nd grade level and showed a sharp increase in the 5-6th grade level. It also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appeared relatively evenly in most subjects except math.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generally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actual level of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of learners. To solve this, scaffolding to help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but the variation was large for each subject. The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ere not quantitatively insufficient to support activities in other subjects, and the guidance on the learning process was not specific. Based on the results, the last part emphasized that additional analysi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of other subjects, discussion of reconceptualization of subject literacy, and ways to bridge the various types of digital gaps that may appear in the classroom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