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오혜인(Hyein Oh),신나나(Nana Shin) 한국보육지원학회 202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9 No.2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ers’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lay beliefs and preschoolers’ happines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preschoolers between the ages of 3 and 5 and their mothers. Mot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at assessed their beliefs about pla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y provided, as well as their child’s playfulness and happines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ir preschoolers’ happiness. Additionall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their preschooler’s happiness. The children's playfulness was also identifi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their preschooler’s happiness. Furtherm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preschoolers’ happiness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ers’ playfulness. Conclusion/Implic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aimed at modifying mothers' play beliefs and the home environment.

      • KCI등재

        COVID-19와 <자기만의 방>에서 소외되는 여성들에 대한 연구 : 엄마대학원생들의 학업-육아 양립경험을 중심으로

        오혜인(Hyein Oh),김만준(Manjun Kim),이청아(Cheong-ah Lee),이학건(Hakgeon Lee),조예상(Yesang Cho)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11 No.4

        COVID-19가 세계를 휩쓸면서 엄마대학원생에 대한 소외와 배제는 더욱 심화되었다. 엄마대학원생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존재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가운데 COVID-19로 인하여 돌봄 부담까지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엄마대학원생이 경험해 온 다양한 문제와 외적 제약들을 드러내는 가운데, 학업-육아 양립에 대한 제도적 기본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 팬데믹 속 학업 수행 중인 엄마대학원생의 경험을 편견 없이 탐색하고자 문헌연구 및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이전 엄마대학원생들은 대표적으로 경제적 어려움, 절대시간의 부족, 정서적 어려움, 나를 돌볼 여유가 없는 모성, 인식과 문화 부재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COVID-19 이후 발생한 변화를 살펴본 결과 크게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하였다. 우선 대학 행정・교육 시스템이 전면 온택트(ontact)화 되면서 엄마대학원생의 물리적, 시간적 에너지 소모가 줄어들었으며, 일의 효율이 높아져 추가 소득을 벌기도 하였다. 그러나 ‘모성’이라는 굴레에 얽매인 재난 약자로서의 모습이 주되게 발견되었다. 팬데믹 이후 모성에 시간을 쏟느라 가용 가능한 시간자원이 더욱 줄어들었고, 정서적 어려움은 한층 심화된 것이다. 또한, 지지자원 유무에 따른 갈등이 다양하게 일어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엄마대학원생들을 위한 제도적 틀을 단기, 중기, 장기적 차원에서 제언하였다. 먼저 단기적 차원에서는 이미 존재하고 있는 공공시설에 대한 접근성이나 학사 제도에 대한 개선을 추구하도록 하였으며, 중기적 차원에서는 지속적인 논의와 소통이 담보될 수 있도록 학내 공식 조직을 마련하도록 제언하였다. 장기적 차원에서는 보다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접근을 통해 지속가능한 학업-육아 양립 환경구축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끝으로 COVID-19의 확산 속에서 돌봄의 책임을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가 함께 부담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에 대해 부언하였다. As COVID-19 has swept the world, alienation and exclusion of graduate student mothers deepen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burden of care has aggravated, while their existence is not properly recognized. This study presents academic and child-rearing co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 mother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The study found out that before COVID-19, graduate student mothers were typically experiencing hardships such as economic difficulties, lack of absolute time, emotional difficulties, motherhood not affordable of taking care of oneself, and absence of awareness and culture. After COVID-19, as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system became completely online-based, physical and time energy consumption have decreased, while work efficiency increased inducing additional income. However, graduate student mothers became the vulnerable group of people in a disaster, bound by the yoke of ‘motherhood’; time resources available were further reduced, with exacerbated emotional difficulties. Diverse conflicts also occurred depending on supportable resources. The study ends with proposing short, medium, and long-term measures for the future. At the short-term level, seeking improvement regarding the access to the public facilities and academic systems that already exist is suggested; at the medium-term level, an official organization within the school is to be established in order to ensure continuous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t the long-term perspective, the need to construct a sustainable academic-parenting environment through more fundamental and structural approach is emphasized. In addition, amid the spread of COVID-19, extra institutional intervention for the society to bear care responsibility together with an individual is suggested.

      • KCI등재

        노인차별 경험과 자기연령주의(self-ageism)

        김주현(Juhyun Kim),오혜인(Hyein Oh),주경희(Kyonghee Ju)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본 연구는 연령차별을 경험한 노인들이 스스로 부정적 차별 인식을 내면화하는 일련의 과정에 집중하는 연구이다. 노인들이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연령차별의 모습을 규명하고 이같은 차별경험이 ‘자기연령주의(self-ageism)’를 통해서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를탐색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노인들은 명시적 차별 뿐 아니라 암묵적 차별에도 반응하는데 이 과정에서 노인의 고통(빈곤, 질병, 무위, 고독)의 강도가 높고 객관적인 차별상황에 속에서 차별대응에 실패한 기억이 강할수록 더욱 높은수준의 자기연령주의를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연령주의’는 나이에 의한 ‘차별’을 당한 노인들이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내재화함으로써, 현실에서 다양한 거부/분리/멈춤 등의 행동을 통해 삶의 질적 측면에서의 불이익을 감수하는 현상이다. 건강, 제도적지원, 보듬어주는 사람들과 같은 지지적 자원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노인들은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작용/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연령주의를 극복할 여지를 보이지만, 반면 이러한 자원들의 부족으로 스스로 동기부여하지 못하는 노인들의 경우 자기연령주의로 인한 부정적환류에 갇혀버리게 됨으로서 침체되고 위축된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스스로를 동기화(motivation)해서 신체, 인지, 정서, 사회적 반응을 해나가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므로 분석과정에서 특별히 두 가지 부분,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에 주목하며미시적으로는 노인의 동기화와 회복력(resilience)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고, 거시적으로는 전 생애주기와 관련한 복지 및건강서비스 체계 보완,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접근성과 통합성 확대, 인식개선과 차별금지법과 같은 시스템 마련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perception of negative discrimination among elderly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ge discriminati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in their daily lives and to explore the consequences of such discrimination through self-ageis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elderly respond not only to explicit discrimination but also to implicit discrimination. In this process, the stronger the pain of old age (poverty, disease, ignorance, and solitude) and the stronger the memory of failing to respond to discrimin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geism. Self-ageism has internalized the negative image of the elderly, who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by age, resulting in disadvantag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rough various reject/separate/suspension actions in reality. In the presence of supportive resources such as health, institutional support, and caregivers, the elderly have room to overcome self-ageism through more active ways. However elderly people who cannot motivate themselves and they lack these resources, elderly are trapped in negative refluxcaus ed by self-ageism and sustained a depressed and shrinking life. In this state, it is not easy to motivate themselves and make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responses. Therefore, in this analysis, we specifically noted two aspects, contextual conditions and interventional conditions, and proposed programs for synchronizing senior citizens and improving resiliency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and argued for the need to develop systems such as supplementing welfare and health service systems related to the entire life cycle, expanding accessibility and ’age-integration’ through ’Community Care’, awareness improvement and anti-discrimination laws.

      • 20 대 1 인 가구의 식습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모바일 서비스 제언

        박상원(Sangwon Park),혜인(Hyein An),오세원(Sewon Oh),임하진(Hajin Lim)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전체 1 인 가구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20 대 1 인 가구의 식습관 문제의 개선에 집중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 대 1 인 가구의 식습관 문제 개선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 인 가구로 거주 중인 20 대 12 명을 모집하여 식습관 문제 경험과 기존 솔루션에 대한 인식 및 개선 방안을 묻는 반구조적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생활 습관의 불규칙성 및 식생활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 및 여건 부족으로 식습관 개선에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자신의 라이프스타일과 식습관에 맞춘 개인화된 정보에 대한 니즈가 높았으며,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원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