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헤어디자인 기능대회 살롱업스타일 작품을 응용한 업스타일의 적합성이 창의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오형자 圓光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는 미용 서비스 시장의 개방으로 인하여 외국브랜드 미용 기업들이 유입되고 있으며, 국내의 미용실들도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이들 대형 업소들은 막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현대화된 매장시설과 체계적인 직원관리 및 교육 그리고 전문적인 경영방식의 도입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해 80%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영세한 업소에서는 원장 한사람의 기술과 경험에 의존하는 경영방식과 직원들의 부족으로 갈수록 영업환경이 어려워지고 있다. 미용기술은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3∼5년의 숙련기간이 필요하지만 그 기간을 채우지 못 하고 상사와의 관계, 교육미흡, 임금수준, 승진 등의 이유로 빈번한 이직을 하게 됨으로써 그에 따라 헤어숍을 전전하게 되고 이는 곧 경영성과로 연계되어 경영악화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많은 미용인들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인교습 또는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미용 경영기법과 미용기술 향상교육을 받는 동시에 자신의 향상된 기술과 예술성 창작성을 표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살롱업스타일 작품을 분석하여 산업현장의 고객에게 시술하는 업스타일에 적구에서는 헤어디자인 기능경기대회 출제 종목 중 2012년∼2017년도까지의 살용함으로서 응용의 적합성과 창의성을 파악하여 헤어숍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2017년 10월 20일~10월 30일까지 온라인 조사를 통해 헤어숍을 운영하는 남․여 헤어미용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배포하여 40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한 26부를 제외한 총 374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20.0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용된 업스타일의 적합성의 차원들은 창의성차원들과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음이 밝혀졌고, 적합성과 창의성 모두 경영성과와 정(+)의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특히, 적합성의 하위요인인 적절성(0.601, p<.01)과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인성(0.508, p<.01)이 경영성과와 깊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기능대회 살롱업스타일의 적합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적합성은 창의성에 미치는 적합성의 요인별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적절성은 효능감(β=.417, t=7.471, p<.001), 인성(β=.289, t=4.821, p<.001), 창의적 사고기술(β=.257, t=4.288, p<.001) 순으로 통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화성은 창의적 사고기술(β=.170, t=2.821, p<.01)에 통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미지는 창의적 사고기술(β=-.123, t=-2.132, p<.05)에 통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능대회 살롱업스타일을 응용한 업스타일의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경영성과에 미치는 적합성의 요인별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적절성은 경영성과(β=.586, t=11.569, p<.001)에 통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화성, 이미지 차원은 경영성과(p>.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능대회 살롱업스타일을 응용한 업스타일의 창의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경영성과에 미치는 창의성의 요인별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창의적인사고기술은 경영성과(β=.049, t=.951, p<.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성차원은 경영성과(β=.343, t=6.291,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효능감차원은 경영성과(β=.320, t=6,617,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능대회 살롱업스타일을 응용한 업스타일의 창의성이 상호작용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결과, 기능대회 살롱업스타일을 응용한 업스타일의 적합성과 창의성이 상호작용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적합성과 창의성의 변인에 따라 집단을 고, 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적합성의 변인에 따라 고, 저 집단으로 나누기 위해 전체 응답자의 적합성의 전체 평균(3.72점)을 기준으로 5점∼3.72점을 고 집단으로, 1점∼3.71점을 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의 비율을 살펴보면 고 집단 53.2%(199명), 저 집단 46.8%(175명)으로 파악되었다. 창의성의 변인에 따라 고, 저 집단으로 나누기 위해 전체 응답자의 적합성의 전체 평균(3.70)을 기준으로 5점∼3.70점을 고 집단으로, 1점∼3.69 점을 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의 비율을 살펴보면 고 집단 51.1%(191명), 저 집단 48.9%(183명)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살롱서비스 시술품목인 업스타일을 기능대회 살롱업스타일을 응용했을 때 적합성이 실제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어 산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기능대회 작품을 년도 별로 분석한 결과를 응용하여 새로운 업스타일로 제작하여 산업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제작연구는 실제 살롱을 경영하는 미용사들에게 창조적 제안이 될 수 있으며, 디자인 기법들의 적용방법과 응용의 다양성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새로운 업스타일 창안에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Due to the opened beauty service market in Korea, many foreign beauty brands are advancing to the market, and domestic beauty parlors are being enlarged. These businesses are in rapid growth based on their huge capital, modernized store facilitate, systematic employee management, training and professional management. However, most of the small businesses which occupy 80% of the industry are dealing with hardship due to lack of employees and management depending on technique and experience of one main hairdresser. Beauty technique requires 3∼5 years of training to be a designer, but the employees frequently turnover due to relationship with boss, insufficient education, wage, promotion problems which leads directly to business performance and result in bad business. In such difficult conditions, many beauticians receive training and beauty management method individually or at various training institutes and try to display one's improved technology and artistic creativity at the same time. Thus this study analyzed salon up style pieces from 2012 to 2017 among the subjects of hair design skill contest, applied it to up style for customers at the field, apprehended the suitability and creativity of application to confirm the influence of style to hair parlor's business performance.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From October 20 to 30, 017, the study distributed 400 copies of survey targeting both male and female hair beauty industry workers owning beauty parlor via online, recovered all 400 copies and used total 374 copies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26 copies with insincere response. SPSS for windows 20.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uitability of applied up style 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reativity, and both suitability and creativi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business performance. Especially, the relevance(0.601, p<.01), the subcategory of suitability and personality(0.508, p<.01), the subcategory of creativity were in serious correlation with business performance.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influence of suitability of skill contest salon up style, when examining the influence of each elements of suitability to creativity, first, the relevance did not have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in order of efficacy(β=.417, t=7.471, p<.001), personality(β=.289, t=4.821, p<.001), creative thinking(β=.257, t=4.288, p<.001). Next, harmony did not have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e thinking(β=.170, t=2.821, p<.01). Finally, image did not have statistically negative influence creative thinking(β=-.123, t=-2.132, p<.05).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up style applying skill contest salon up style to business performance, and specifically examining the influence of elements of suitability to business performance, first, the relevance had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β=.586, t=11.569, p<.001) while harmony and image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p>.05).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ach element of creativity of up style applying skill contest salon up style to business performance, first, the creative thinking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β=.049, t=.951, p<.05), while personality had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β=.343, t=6.291, p<.001). Next, as for the efficacy, it had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β=.320, t=6.617, p<.001). Fif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reativity of up style applying skill contest salon up style, to apprehend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of suitability and creativity of up style applying skill contest salon up style to business performance, first, the study classified group in to variables of suitability and creativity into high, middle and low group. To classify groups by the variables of suitability, the study classified the entire responders based on the average point of suitability(3.72) and separated into high group(5∼3.72), low group(1∼3.71). As for the proportion of each group the high group was 53.2%(199) and low group was 46.8%(175). To separate the group into high and low by creativity variables, the study classified the entire responders based on the average point of suitability(3.70) and separated into high group(5∼3.70), low group(1∼3.69). As for the proportion of each group the high group was 51.1%(191) and low group was 48.9%(183). Thus, the study result suggested that up style, the salon service goods can be used in actual industry by affecting actual business performance when applying skill contest up salon up style. Also, by applying the analysis result of skill contest subjects by year, it could be applied to industrial field as a new up style. Such design studies will be creative suggestion to beauticians running actual salons, and by providing diversity of applying various design methods, it contributed to creating new up style for the future.

      • 얼굴 유형에 따른 업스타일 이미지 형태적 특성 연구

        오형자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degree of volume of parting suitable for image production close to a standard image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face when doing an up-style by identify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p-style image by face shape. This study classified face shape into five, and intended to analyze harmony and preference of up-style according to face shape, analyze images, and to identify difference in harmony, preference,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fference in image perception, and face shape close to standard shap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350 adults in North Jeolla Province from Apr 15 to May 5, 2020. Out of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331 questionnaires excluding 19 questionnaires that are deemed insufficient for analysi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harmony of up-style by face shape, SR2 and OR2 suit standard and oblong face shape and CA1 and RA1 are the up-style that look the best on round and square face shape. It was identified that IL1 looks best on inverted triangle shape.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harmony of up-style by face sha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 was shown in the position part of every face shape, standard face shape and square face shape showed 99 %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SR2 F-value=6.607, p<.01 and RL1 F-value=8.700, p<.01 each, and round face shape and inverted triangle face shape showed 99 %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CL1 F-value=7.862, p<.001 and IL1 F-value=10.642, p<.001 each. Also, it was identified that oblong face shape shows 95 %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4.703, p<.05 in OL1. Thirdly, for image preference of form of volume by parting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ference of up-style type by face shape, SR2 was 4.17(±.96) in standard type, preference of round shape was CR13.92(±.91), oblong shape was RA1 3.82(±1.09), inverted triangle shape was IL1 3.75(±1.03), and preference of oblong shape was the highest of OR2 3.98(±.89).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up-style by face sha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 was shown in the position part of every face shape, standard face shape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F-value=7.182, p<.01 in SL1 and round face shape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F-value=10.287, p<.001 in CL1. For square face shape, RA1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6.683, p<.01 and inverted triangle face shape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9.748, p<.001 in IL1. Also, oblong face shape showed 95%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3.635, p<.05 in OL1.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images of face shape according to up-style types, feminine image(4.08±.94) showed the highest result for SR2 in standard shape and feminine image(3.88±.91) was the highest for CR1 image in round shape. In square face shape, feminine image(3.91±.98) was the highest for RA1 and feminine image(3.81±.94) was the highest for IR2 image in inverted triangle shape. In oblong shape, feminine image(3.95±.92) showed the highest result for OR2 image. Six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image evaluation of up-style by face sha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rst choice of SC1 of standard type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SL1 was sophisticated, the first choice of SR2 1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SA1 was feminine, and most of them were found to be most significant in their position. In round shape, the first choice of CC1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CL1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CR1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CA1 was elegance, and it h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In oblong shape, the first choice of RC2 was elegance, the first choice of RL1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RR2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RA1 was feminine, and it h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positions. In inverted triangle shape, the first choice of IC2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IL1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IR2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IA1 was feminine, and it has identified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parting direction are different. In oblong shape, the first choice of OC1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OR2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OL1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OA1 was feminine, and most of them were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in their position. Seventhly,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nalysis on up-style shape close to the standard type, CR1 of 160 people(48.3%) was the highest for round shape, RA1 of 158 people(47.7%) was the highest for square shape, IR2 of 160 people(48.3%) was the highest for inverted triangle shape, and OR2 of 168 people(50.8%) was the highest for oblong shape. Eigh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of up-style by face shape, a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according to parting direction was the highest in every face shape. Ninthly,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nalysis on a cor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up-style close to the standard shape by face shape,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verted triangle shape and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nd oblong shape has been identifie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s well. It was identified that inverted triangle shape and oblong shape have a correlation with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lso, round shape and oblong shape did not show general characteristic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 Ten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of up-style and face shape image by face shape,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according to each type of up-style in all face types. In standard shape,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of r=.695, p<.01 appeared in SC1 and has been identified to have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atural image i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CL1 was the highest in round shape of r=.772, p<.01, and it was identified that harmony has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ophisticated image and preference level with female image. It was the highest in oblong shape of r=.780, p<.01, and it was identified that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have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female image. Inverted triangular shape was the highest as r=.754, p<.01 in IC2, and it was identified that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have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llectual image. Oblong shape was the highest as r=.712, p<.01 in OL1, and harmony had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llectual image and preference level with sophisticated image. Therefore, this study produced results by identifying face shapes of wome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nalyzing harmony, preference level, and differences in images of up-styl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each face shape could be a standard image and suggested that it can be used in actual industrial sites.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many fields required by various up-style designs by giving objectivity to image research through interaction of face shape and up-style and using morphological properties of up-style to hairdressers, and expects research on design to be developed further. 본 연구는 얼굴 유형에 따른 업스타일 이미지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업스타일을 할 경우 얼굴의 단점을 보완하여 표준형에 가까운 이미지 연출에 적합한 가르마의 방향성과 볼륨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얼굴 유형은 다섯 가지로 나누었으며 얼굴 유형에 따른 업스타일형태의 어울림과 선호도, 이미지를 분석하고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어울림과 선호도, 이미지 지각의 차이와 표준형에 가까운 얼굴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20년 4월 15일부터 5월 5일까지 전북 지역의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총 350부의 설문지 중 분석에 사용되기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1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31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을 분석한 결과, 표준형과 장방형 얼굴에서 각각 SR2, OR2가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둥근형과 사각형은 CA1, RA1이 가장 잘 어울리는 업스타일 형태로 나타났다. 역삼각형은 IL1가 가장 잘 어울리는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얼굴형의 직책부분에서 가장 높은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표준형 얼굴형에서는 SR2 F-value=6.607, p<.01, 사각형 RL1 F-value=8.700, p<.01로 신뢰수준 99%의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둥근형 CL1 F-value=7.862, p<.001, 역삼각형 IL1 F-value=10.642, p<.001로 신뢰수준 99.9%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방형 얼굴형에서도 OL1에서 F-value=4.703, p<.05로 신뢰수준 95%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선호도 분석 결과, 가르마별 볼륨의 형태의 이미지 선호도는 표준형에서 SR2가 4.17(±.96), 둥근형의 선호도 또한 CR13.92(±.91), 사각형의 선호도는 RA1 3.82(±1.09), 역삼각형의 선호도는 IL1 3.75(±1.03), 장방형의 선호도는 OR2 3.98(±.89)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얼굴형의 직책부분에서 가장 높은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표준형 얼굴형에서는 SL1에서 F-value=7.182, p<.01로 신뢰수준 99%의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둥근형 얼굴형에서도 CL1에서 F-value=10.287, p<.001로 신뢰수준 99.9 %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각형 얼굴형에서는 RA1에서 F-value=6.683, p<.01로 신뢰수준 99%의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역삼각형 얼굴형에서는 IL1에서 F-value=9.748, p<.001로 신뢰수준 99.9 %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방형 얼굴형에서도 OL1에서 F-value=3.635, p<.05로 신뢰수준 95 %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업스타일 형태에 따른 얼굴형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표준형에서 SR2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4.08±.94)가 가장 결과를 나타났으며, 둥근형에서 CR1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3.88±.91)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사각형에서는 RA1는 여성스런 이미지(3.91±.98)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으며, 역삼각형에서 IR2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3.81±.94)가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장방형에서는 OR2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3.95±.92)가 가장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여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 이미지 평가 차이를 분석한 결과, 표준형의 SC1 1순위는 단아한으로 나타났으며 SL1 1순위는 세련된, SR2 1순위는 여성스런, S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직책에서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둥근형에서 CC1 1순위는 단아한, CL1 1순위는 여성스런, CR1 1순위는 여성스런, CA1 1순위는 우아한으로 나타났으며 직책 및 최종학력, 미용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각형에서 RC2 1순위는 단아한, RL1 1순위는 여성스런, RR2 1순위는 여성스런, R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직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각형에서 IC2 1순위는 단아한, IL1 1순위는 여성스런, IR2 1순위는 여성스런, I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가르마방향마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장방형에서 OC1 1순위는 단아한, OR2 1순위는 여성스런, OL1 1순위는 여성스런, O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직책에서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표준형에 가까운 업스타일 형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둥근형은 CR1에서 160명(4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각형은 RA1 158명(47.7%), 역삼각형은 IR2 160명(48.3%), 장방형은 OR2 168명(50.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과 선호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얼굴 유형에서 가르마방향에 따른 어울림과 선호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일반적 특성과 얼굴 유형별 표준형에 가까운 업스타일 형태 연관을 분석한 결과, 역삼각형에서는 미용경력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방형에서도 미용경력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각형과 장방형은 미용경력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둥근형 및 사각형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 선호도와 얼굴형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얼굴 유형에서 각 업스타일 형태에 따른 어울림과 선호도에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준형에서는 SC1에서 r=.695, p<.01로 가장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울림 및 선호도에서 자연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근형에서는 CL1에서 r=.772,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은 세련 이미지, 선호도는 여성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각형에서는 RL1에서 r=.780,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 및 선호도에서 여성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각형에서는 IC2에서 r=.754,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 및 선호도에서 지적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방형에서는 OL1에서 r=.712,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은 지적 이미지, 선호도는 세련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성들의 얼굴형을 파악하여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 선호도, 이미지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각 얼굴형이 표준형의 이미지화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실제 산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얼굴형과 업스타일의 상호작용에 의한 이미지 연구에 객관성을 부여하여 미용사들에게 업스타일 형태적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업스타일 디자인에서 요구하는 많은 분야에서 활용이 되기를 바라며, 디자인 연구의 발전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선진국의 교사 교권보호 정책 연구

        오형자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교육법학적 접근으로 주요 선진국의 교권보호 정책 관련 문헌자료를 통해 교사의 교권에 관한 법리와 판례로 본 법률관계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착수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 주제와 내용에 부합되는 관련 주요 문헌과 헌법, 교육법 등 교육관계법의 해석 자료와 대법원, 고등법원, 지방법원 그리고 국내외 교사의 교육권 관련법의 판례를 중심으로 한 사례자료의 법해석학과 비교교육법학적 접근의 문헌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구체적 연구내용은 첫째, 교사의 교육권으로서 교권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1) 교사의 교육권으로서 교권의 개념 2) 교육권 주체간의 관련구조 모형에서 본 교사의 교권 3) 교사의 교권에 관한 법리 4) 교사의 교권 확립방향 5) 교사의 교권 관련법의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주요 선진국의 교권보호 정책 동향을 비교교육법학적 접근으로 교사의 교권 관련 정책 및 법적 동향에 초점을 두고 1) 미국 2) 영국 3) 독일 4) 핀란드 5) 일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교사의 교권 관련 국내외 판례와 해석으로 1) 교사의 책임에 대한 항변의 가능성과 한계 범위 2) 교사의 수업방법 재량권의 범위 3) 교사의 학생 보호감독 책임 범위 4) 교권침해 소송의 상처와 해법 5) 교사의 학생 의무봉사활동 처리에 대한 법리와 판례를 선정하여 법적 쟁점⇒ 교육권 법리와 판례⇒ 법 해석적 시사점 탐색의 법 적용과 해석 절차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육권으로서 교권에 관한 법리와 판례로 본 법률관계 해석을 통해 교육 주체 간 법적 쟁점 사항에 대한 교원의 올바른 법적지식이 필수요건임을 시사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교육의 핵심 주체로서 교사의 교권수호와 교권입국 초석에 관한 법적 안목과 식견을 갖추기 위한 기본적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어 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 주체 간 법적 쟁점 사항에 대한 교원의 법적 해석능력과 법적 내용과 형식의 실효성에 대한 교육법사회학적 안목은 더욱 요구되어지는 시대적 과제임을 읽을 수 있다. 둘째, 주요 선진국의 교권보호 정책 동향을 통해 볼 때 교사의 교권으로서 교권 보호를 위한 국가 및 지방공공기관 차원에서 적극적 노력에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국제적 안목에서 비교 분석하여 시대변화에 능동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하겠다고 본다. 특히 학생인권 및 학생의 학습권을 중심으로 한 보편적 추세에 부응하여 교사의 학생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법률관계에서 교사의 수업 및 학생지도, 안전교육 등에 대한 의무의 충실한 이행과 교사의 공신력 있는 교육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사의 권리로서 교권은 보장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해야 하겠다. 셋째, 국내외 교권보호 관련 주요 판례를 통해서 볼 때 세계화 다원화 정보화 사회로 통용되는 현대사회에서 우리나라의 교육문화와 사회 역사적 배경의 특수성에 비추어 적용여부를 심도 있게 논의하면서 교육법해석학의 귀중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특히 글로벌 인재 육성의 시대에 부응하는 학생 의무봉사활동에 대한 교육과 교사의 학생들의 변화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에 주목해야 하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향후 비교교육법학적 접근으로 교사, 학부모, 학교 설치자, 국가의 교육권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교육법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우리 교육현실과 현장에 적합하게 적용 및 법해석 문제를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