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ENE, 관람객-예술가의 양방향 소통을 증진시키는 비대면 OTT 플랫폼 설계

        김도이(Doi Kim),강예솔(Yesol Kang),김은아(Euna Kim),오정현(Jeonghyeon Oh),이여름(Yeoreum Lee)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COVID-19 의 장기화로 대면 서비스가 중심이던 문화예술 및 공연예술계는 매출이 급감하고 휴폐업을 하는 등 커다란 위기가 찾아왔다. 이러한 충격 속에 비대면 서비스들이 주목받으며 콘텐츠를 세계로 유통하는 OTT(over-the-top media service) 플랫폼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했다. 세계 공연예술계에도 비대면 공연 문화가 확산되며, 한국 역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비대면 공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작품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소통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 유입의 문제를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 공연 서비스와 관람객-예술가의 양방향 소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연예술 OTT 플랫폼인 ‘SCENE’을 설계하였다. 이 서비스는 설문조사와 사용성 테스트, 인터뷰를 통해 개선사항을 수집하였고, 사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반복적 디자인 과정을 거쳤다.

      • KCI등재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 중요도-수행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연 ( Ji-yeon Lee ),권나영 ( Na Young Kwon ),강지혜 ( Jihye Kang ),오정현 ( Jeonghyeon Oh ),이은배 ( Eunbae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학교혁신의 구체적인 내용과 전략을 설정하기에 앞서 지금까지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공교육 혁신의 현황과 과제, 일반학교로의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기 위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의 학교혁신에 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적용하여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 교원전문성, 교육과정 및 평가, 학교문화, 공간 및 테크놀로지의 5대 학교혁신 영역별로 비교해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 혁신학교에서 학교혁신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혁신과제들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차이가 가장 두드러진 영역은 학교운영과 학교문화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모든 학교급에서 행정적 지원과 교사협의를 위한 시·공간적 여건 조성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연수, 수업공개 및 협의와 연구결과 및 실천 활동 공유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교육과정 및 평가 영역의 중요도와 수행도가 다른 영역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일반학교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간 및 테크놀로지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수업규모로 진행되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하고 가변적인 공간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모든 학교급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한 학교혁신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미래 교육혁신의 방향을 설정하고 학교급과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추진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Korean public school system to determine the goal and strategies for school innovation in preparation for rapidly changing future. We compared 1350 innovative pilot school and regula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five areas(govern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and assessment, school culture, and space/technology) using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rom innovative pilot schools reported higher importance-performance perceptions in all areas of innovation than regular schools teachers. Second, pilot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ir school governance and culture as high importance-performance, while regular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m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thus priorities should be placed on creating democratic organizational systems and participatory culture. Third, all teachers perceived facilitating time and space for voluntary collaboration was more necessary than compulsory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lassroom observation. Fourth, curriculum and assessment appeared to be perceived high importance-performance, particularly more in regular schools. Finally, adjustable classrooms conducive to accommodating a variety of activities and capacities are desired by all school types and grades.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providing directions and guidance for public school innov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