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덩굴류 공예유물의 종 동정

        오정애(Jung-Ae Oh),박원규(Won-Kyu Park),정성호(Song-Ho Chong) 한국가구학회 2011 한국가구학회지 Vol.22 No.2

        Wood-anatomical studies on vines, one of the main materials for fork craftworks used in the past,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ose for tre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species of vines in order to preserve the vinery craftwork relics. In this study, the species of 31 samples (30 traditional baskets and one sculpture relic) obtained from Korea were identified. Twenty-two baskets among 30 baskets were identified as Cocculus trilobus DC, a perennial vine which has flexible xylem and thick fibers in phloem. The other baskets were identified as Lespedeza spp., a shrub with tough xylem. The sculpture part was Actinidia arguta Planch., a perennial vine with chambered piths.

      • KCI등재

        노거수 수령 추정을 위한 지역별 연륜연대기 구축 및 활용

        오정애 ( Jung-ae Oh ),서정욱 ( Jeong-wook Seo ),김병로 ( Byung-ro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7 목재공학 Vol.45 No.1

        본 연구는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노거수 수령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충청북도 괴산군(CBGS), 전라남도 구례군(JNGR), 경상북도 울진군(GBUJ)이며, 수종은 각 지역의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와 소나무로 하였다. CBGS, JNGR, GBUJ에서 채취한 느티나무는 각각 12, 8, 6본이며, 소나무는 각각 10, 3, 9본이다. 시료(생장편)는 생장추(직경 5.2 mm)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정확한 연륜측정을 위해 느티나무는 활주식 마이크로톰으로 횡단면을 절삭하였으며, 소나무는 사포를 이용하여 횡단면을 연마하였다. 연륜폭은 이용하여 0.01 mm 정확도로 측정하였다. 느티나무의 경우 CBGS와 GBUJ에서 203 (1813∼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작성되었으며, JNGR에서는 175 (1841∼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소나무의 경우 CBGS, JNGR, GBUJ에서 각각 154(1862∼2015)년, 175 (1841∼2015)년, 250 (1776∼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느티나무와 소나무의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를 상호 비교한 결과 대부분 낮은 t 값과 Glk 값을 보여 대표연륜연대기 상호간 일치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50년 평균 기온과 강수량 분포도를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와 비교한 결과,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 패턴은 온도보다 강수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한 정확한 수령추정을 위해선 강수량이 고려된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가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more precisely estimating the age of big old trees using dendrochronological method. Gesan-gun in Chungbuk (CBGS), Gurye-gun in Jeonnam (JNGR) and Uljin-gun in Gyeongbuk (GBUJ) were study areas and Zelkova serrata (ZS) and Pinus densiflora (PD) selected as protected trees therein were used as experimental tree species. The increment cores were extracted from 12, 8, and 6 ZSs and 10, 3, and 9 PDs in CBGS, JNGR, and GBUJ, respectively, using an increment borer (ø 5.2 mm).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tree-ring boundary, the surface in the transverse section was cut for ZS using a sliding microtome and sanded for PD using a sand paper. Ring widths were measured in the resolution of 0.01 mm.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s, 203-year long (1813-2015) ZS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and 175-year long (1841-2015) ZS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y for JNGR was also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case of PD, 154-, 175-, and 250-year long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for CBGS, JNGR, and GBUJ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respectively. In the comparisons between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they showed low t-values and Glks. According to the comparisons of the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with 50-year (1950∼2000)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istribution maps, the annual variations of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seem to be determined by not temperature but precipitation. For such cross-dating therefore more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have to be established at the least based on the distribution map for precipitation.

      • KCI등재

        종로 청진 12~16지구 출토 나막신의 수종분석

        오정애(Jung-Ae Oh),박정민(Jung Min Park),김병로(Byung-Ro Kim) 한국가구학회 2015 한국가구학회지 Vol.2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wood species for 51 excavated wooden shoes in the 12~16 Chungjin district of Jongno. Wood species of 31 Pinus sp., 12 Torreya nucifera S. et Z., 4 Ginkgo biloba L., 2 Salix sp., 1 Kalopanax pictus (Thunb.) Nakai. and 1 Morus sp. were identified. Wood used for wooden shoes was a species that can be mainly obtained easily around. Among them, Torreya nucifera S. et Z. grows in warm temperate zone of Korea, which shows that interregional cooperation has occurred.

      • KCI등재후보

        융릉 정자각 및 비각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

        오정애(Jung-Ae Oh),박원규(Won-Kyu Park) 한국가구학회 2010 한국가구학회지 Vol.21 No.5

        Yungneung is the royal tomb of King Jangjo (the Crown Prince Sado, 1735~1762) and his wife, Hyegyeonggung-the Lady Hong (1735~1815). King Jangjo was the second son of the 21st King Yeongjo of the Joseon Dynasty. The tomb of King Jangjo was originally established at Yangju near Seoul in 1762 and moved to Whaseong near Suwon in 1789. We examined tree-ring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Jeongjagak, the ceremonial hall and Bigak, the tombstone house of Yungneung. We obtained tree-ring dates of 54 wood elements. The dates of bark rings were A.D. 1785, 1786, and 1787 with completed latewoods. These tree-ring dates were well matched with the historically recorded date of two buildings, A.D. 1789 when two or three year-storage after cutting logs was conside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nt buildings of Yungneung was built when the royal tomb of King Jangjo was moved from Yangju to Suwon. A historical record about the construction of Yungneung, 'Hyeonyungwon-eugye' confirmed the majority of woods was moved from 'Manrichang', an official storage office in Seoul through Han river and Yellow Sea to Suwon.

      • 국산목재 이용 확대를 위한 지역목재 이용제품 지정제도 운영

        오정애 ( Jung-ae Oh ),주석재 ( Seok-jae Joo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지면서 탄소배출량 저감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빠른 경제성장을 하면서 화석연료와 콘크리트 등 비재생자원에 크게 의존해왔다. 그로 인해 세계 7위의 온실 가스 배출 국가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30년까지 전망치 대비 37%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정하였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성을 지닌 목재의 이용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국내에서 생산되는 목재를 사용하는 것은 수입산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이산화탄소를 절감할 수 있다. 우리 나라는 풍부한 산림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목재 이용은 미흡하다. 2019년 전체 목재 소비량은 2767만㎥ 이지만 목재자급률은 16.7%로 대부분은 수입산 목재를 사용한다. 정부 정책에서는 국산재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임업진흥원에서는 지역목재 이용제품 지정제도를 올해 처음 운영하였다. 이 제도는 지역내에서 생산된 목재를 최종제품의 60% 이상을 사용한 제품을 확인하고 지정하는 것으로 운영을 위해「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제14조를 준용하였다. 지역목재 원료의 벌채, 유통단계 등의 서류검토 후, 지역목재를 구분하여 관리하는지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한다. 지역목재를 사용한 이력이 확인되면 지정서와 인증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앞으로 제도 활성화를 위해 조달청 등록, 각 지자체와 연계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 소장 목가구의 수종 및 연륜연대분석

        김요정(Yo-Jung Kim),이광희(Kwang-Hee Lee),오정애(Jung-Ae Oh),김수철(Soo-Chul Kim) 한국가구학회 2014 한국가구학회지 Vol.25 No.4

        We present the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Korean wooden furnitur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Six of fourteen were successfully dated. Rice Chest (구 2225) was dated A.D. 1805 +. Others dated were Rice Chest (신수 9479; A.D. 1819), Rice Chest (신수 9475; A.D. 1826 ± 10), Ganghwa-Chest with a flap door (구 2341; A.D. 1842 ± 10), Ganghwa-Chest with a flap door (구 3124; A.D. 1859 ± 10), Chest with a flap door (신수 15731; A.D. 1865 ± 10). Most of existing cabinets were made in 1800s. Rice Chest (신수 9479) was the earliest piece of furniture in the collections of National Museum. The furniture is usually composed one species. The major species was Pinus densiflora.

      • KCI등재후보

        전라도지역 조선후기 목조불상의 수종

        박원규(Won-Kyu Park),오정애(Jung-Ae Oh),김요정(Yojung Kim),김상규(Sang-Kyu Kim),박서영(Suh-Young Park),손병화(Byung-Hwa Son),최선일(Sunil Choi) 한국가구학회 2010 한국가구학회지 Vol.2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ecies of 17 wooden Buddhist statu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17th and 18th century) in Jeollado,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The bodies of statues were made of Ginkgo (Gingko biloba L.: 88%) and alder (Alnus spp.: 12%). The hands of statues were alder(64%), willow (Salix spp.: 27%) and Ginkgo(9%). The bottoms of hollow bodies were covered all with Japanese red-pine (Pinus densiflora S. et Z., 'sonamu') panels. The main species of statue body, Ginkgo tree was known to be introduced to Korea from China with Buddhism. The results indicated that Ginkgo trees of Korea in the 17th century had already become large and rich enough to be used for most of statues. Ginkgo wood has low shrinkage and even texture, which are crucial for carving sculptures. Alder and willow woods used for statue hands have fine and firm textures. The pedestals for these statues were also made of red pine wood. Red pine woods have rather high shrinkage and low hardness, but it is versatile woods strong enough to support heavy statues.

      • 최근 5년간 수종감정 결과로 보는 국내 유통 수종 현황 분석

        박소연 ( So Yeon Park ),오정애 ( Jung Ae Oh ),김서령 ( Seo Ryeong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한국임업진흥원에서는 목재 수종감정 서비스를 연간 1,500건 정도 실시하고 있다. 2016년부터 2020년 까지 최근 5년간 한국임업진흥원의 목재의 수종감정 결과를 통해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목재의 수종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5년간 분석건수는 총 9,480건으로 ’16, ’17, ’18, ’19, ’20년도 순으로 2,139건, 2,278건, 2,351건, 1,330건, 1,382건으로 ’19년도 이후로 수종감정 시험의뢰가 감소하였다. 침엽수는 소나무 류(14.2%)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이후로 낙엽송 류(5.6%), Hemlock(5.1%), Douglas fir 류(4.7%), Radiata pine 류(2.2%)가 주요 유통 수종인 것으로 보여졌다. 이 중 Southern yellow pine 류는 ’20년 9건으로 ’16년 대비 80%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활엽수는 주로 데크재에 사용되는 수종으로 동남아시아 수종은 Merbau 류(8.1%), Malas 류(6.4%), Kumea 류(3.1%), Apitong 류(2.1%), Bangkirai 류(1.8%), 중남미 수종은 Ipe 류(4.9%), Masaranduba 류(1.9%), Basralocus 류(1.5%)이 주요 수종으로 확인되었다. 유럽, 북아메리카에서 주로 수입되는 아까시나무 류는 ’16년 대비 167% 증가한 56건으로 수입이 증가한 추세였으나 오세아니아에서 수입되는 Karri 류, Jarrah 류는 ’20년 총 13건으로 ’16년 대비 84%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16년 이후 수종분석 결과 신규 수종의 유입은 적었으며 전체적인 시험의뢰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경기 부진,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목재수요의 감소, 수급의 어려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지며 특정 수종의 증가는 어린이 놀이시설 등 친환경 목재에 대한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는 국내 유통되는 수종 현황을 파악한 기초자료로서, 향후 목재수급 통계 등과의 연계분석을 통하여 고도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국내 목재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 전시-P-112 > 최근 3년간 수종감정 결과를 통한 국내유통 수종현황조사

        김서령 ( Kim Seo-ryeong ),오정애 ( Oh Jung-ae ),박혜민 ( Park Hye-min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한국임업진흥원에서는 매년 2000건 이상 목재 수종감정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수종감정 결과의 추이 분석을 통해 국내 주요 유통 수종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전체 분석 수종 중 주요 수종의 비율을 통해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남아시아 목재는 `16, `17, `18년도에 전체 분석 수종 중 19.9%, 18.9%, 29.6%의 추이를 보였으며, 주요 유통 수종은 Malas류(8.5%, 5.9%, 8.5%), Merbau류(7.2%, 8.2%, 12.9%), Manilkara류(2.7%, 3.0%, 5.4%), Bangkirai류(1.5%, 1.8%, 1.9%)이었다. 중남미 목재는 6.9%, 7.6%, 12.7%의 비율로 Ipe류(4.6%, 5.1%, 7.4%), Masaranduba류(1.7%, 1.8%, 3.0), Basralocus류(0.6%, 0.8%, 2.3%)의 3종이 주요 유통 수종이었다. 침엽수의 경우 각 3년간 29.4%, 32.8%, 20.4%의 비율을 보였고 소나무류(15.3%, 14.5%, 7.3%), 낙엽송류(4.8%, 6.0% 5.3%), Douglas fir류(4.6% 5.0%, 4.1%), Hemlock류 (4.6% 7.3%, 3.7%)가 주요 유통 수종이었다. 침엽수는 `16년도에 비해 `17년도에 소폭 상승하였으나 `18년도에 대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중남미 목재는 해마다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Basralocus류가 `16, `17년 1%미만에서 `18년에 2.3%까지 증가하였다. 침엽수에 이어 상위권의 비율을 차지하던 동남아시아 목재는 지속적인 상승세와 더불어 ‘18년도에 Merbau류와 Manilkara류의 높은 증가세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최근 3년간 의뢰된 수종 결과를 통해 국내 유통 수종의 현황을 파악해보았다. 신규수종의 유입은 적었으나 기존의 주요 유통 수종들의 비율이 크게 조정되었음을 확인 수 있었다.

      • KCI등재

        서울시 381호 노면전차 목재 부재의 수종 식별

        김수철 ( Soo Chul Kim ),오정애 ( Jung Ae Oh ) 한국목재공학회 2011 목재공학 Vol.39 No.1

        본 연구에서는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인수한 전차 381호에 사용된 목재 부재의 수종 식별을 실시하였다. 전차 381호는 두 대 남은 전차 중의 하나로 서울시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따라서 전차의 역사를 지키기 위해 복원하고 손상이 가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차의 보존처리 시 동일한 수종의 목재로 교체하기 위해 외부와 내부에 쓰인 목재의 종류를 알아보고자 내부 6점, 외부 l점 총 7점에 대한 수종 식별을 실시한 결과 미송류(douglas-fir, Pseudotsuga)2점, 나왕류(lauan. Shorea) 2점, 외래산 소나무(ponderosa group, Pinus) 1점, 잎갈나무류(larch, Larix) l점, 상수리나무류(cerris group, Quercus) 1점으로 식별되었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wood species used in manufacturing Streetcar No. 381 from Seoul Museum of History. This Streetcar No. 381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as one of the 2 streetcars remained in Seoul. It is important to preserve this streetcar through restoration and to maintain without any damage or degradation. The information on species of wood members should be needed for its original restoration. Thus, 6 interior and 1 exterior wood members were sampled and identified microscopically. Among the 7 wood members identified, 2 were found to be douglas-fir(Pseudotsuga), 2 lauan(Shorea), 1 exotic hard pine of ponderosa group(Pinus), 1 larch(Larix), and I oak of cerris group(Quercu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