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점관점 사례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오영림(Yong-Rim Oh),정선미(Sun-Mi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정신요양시설 종사자가 강점관점을 반영한 사례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사례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례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권한강화를 기반으로 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정신요양시설 2곳의 종사자 30명으로 기관별 15명이 할당되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은 월1회, 3시간씩 총 13회기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사례관리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식(사회적 거리감,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과 종사자의 역량(소진, 임파워먼트)이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식 관련하여 사례관리 교육에 참여한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클라이언트와의 사회적 거리감이 줄어들었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태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역량과 관련하여 소진이 감소되었으며, 임파워먼트가 향상된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신요양시설 종사자를 위한 사례관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에 대한 후속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cas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employees in the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to reflect strength perspective and analyze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 employees working in the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15 each), and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verified with those participants. The total 13 sessions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offered: three hours per session, and one session a month. The perception on clients(social distance, attitude towards mentally disorder people) and workers’ competence(burnout, empowerment) were used as the measuring too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education. For data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t-test were u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employees in the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case management education and clients decreased in relation with perception on clients, and attitude score towards clients improved. It was also verified that burnout decreased, and that empowerment improved in relation with the competence of the employees in the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보수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연구

        정선미(Sun-Mi Jung),오영림(Yong-Rim Oh)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8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직무 담당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업무에서의 소진 정도와 자기 효능감을 살펴보고 전문성 증진을 위한 보수교육과정의 기초연구를 하기 위함이다. 아동청소년 업무 담당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73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징, 주요업무 분야에 대한 인식도와 실제수행정도, 업무관련 심리적 상태, 분야별 보수 교육 요구 정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필요 인식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업무는 개인상담과 부모교육 및 코칭 업무가 각각 평균 4.43점이었다. 다음으로 사례 수퍼비전 및 회의가 평균 4.36점, 집단 상담 및 프로그램 업무가 평균 4.25점, 사례 발굴 및 등록관리 업무가 평균 4.12점, 지역사회연계 업무가 평균 3.73점,예방 및 홍보가 평균 3.65, 조사업무가 평균 3.53, 실습 수련교육 및 수퍼비전이 평균 3.49, 행정 업무가 평균 3.28점 순이었다. 세부 주제별 교육 요구 정도를 살펴보면, 아동 정신병리, 청소년 정신병리, 부모상담 이론 및 기법 배우기, 위기개입 방법 배우기가 평균 4.4점으로 가장 시급한 전문교육 주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높게 응답된 교육 주제는 부모교육 이론 및 기법 배우기가 평균 4.3점, 심리적 행동적 문제의 진단과 평가, 아동청소년 초기상담 시 척도 활용방법, 개인상담 이론 및 기법 배우기, 발달심리학 주제가 각각 평균 4.2점,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발달진단평가, 초기상담기법 배우기, 청소년상담이론 및 기법 배우기, 가족상담 이론 및 기법배우기, 개인상담 이론 및 기법배우기, 트라우마 이해 및 대응교육, 질환에 따른 약물관련 교육이 각각 평균 4.1점, 발달진단평가, 부부 가족평가 도구 배우기, 아동 이상심리학이 각각 평균 4.0점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교과목에 대한 기준과 체계적인 보수교육과정을 위한 기초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urnout and self-efficacy in the task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char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conduct basic research on in-service education for improving their experti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73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char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o analyze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wareness and actual performance in major work areas, job-related psychological status, and needs for in-service education in each area. In terms of need awareness, personal counseling, parent education, and coaching (4.43 on average) scored highest, followed by case supervision and meeting (4.36), group counseling and programs (4.25), case finding and registration management (4.12), community-based tasks (3.73), prevention and publicity (3.65), research (3.53), practical training and supervision (3.49), and administration (3.28). As for the needs for education in each theme, the most urgent themes of professional education were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learning parent counseling theories and techniques, and learning how to intervene in risks (4.4 on average), followed by learning parent counseling theories and techniques (4.3),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 diagnosis and assessment, how to use a scale in early counseling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learning personal counseling theories and techniques,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4.2), psychometry utilization, development diagnosis and assessment, learning early counseling techniques, learning adolescent counseling theories and techniques, learning family counseling theories and techniques, learning personal counseling theories and techniques, trauma understanding and coping education, and education on medication based on disease (4.1), and development diagnosis and assessment, learning how to use marital and family inventories, and abnormal child psychology (4.0).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criteria for the subjects of in-service education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 model for systematic in-service education standardization were presented.

      • 전문대학교 재학생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지혜(Ji-Hye Yun),정선미(Sun-Mi Jung),오영림(Yong-Rim Oh)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8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 재학생의 사회적응을 성인으로서 개인에게 주어진 사회적 의무와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는 개인의 힘을 기르는 것 으로 개념화하여 개인의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수준, 가족체계, 학교 환경과 같은 요인들과의 관계를 확인해봄으로써 전문대학생의 사회적응 정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문대학교에 1학기 이상 등록한 20세 이상 재학생 9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일반적 사항과 독립변인에 포함되는 개인요인(자아 탄력성, 진로결정수준), 가족요인(가족건강성), 학교요인(학교환경) 그리고 종속변인에 속하는 사회적응능력(대인관계성, 적응성, 충동성, 책임성)으로 구성된 척도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요인별 특성으로 가족요인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자아탄력성, 학교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인 사회적응능력은 평균 3.24점이었으며, 하위척도 중에서는 적응성, 책임성, 대인관계, 충동성 순이었다. 개인, 가정, 학교 요인과 전문대학교 재학생의 사회적응과의 상관관계는 진로결정수준과 사회적응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였으며, 학교환경과 진로결정수준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β=0.249, p<.05), 진로결정수준(β=0.251, p<.05)이 대인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며, 자아탄력성(β=0.263, p<.05), 진로결정수준(β=0.366, p<.01)이 적응성에 영향을 미쳤다. 진로결정수준(β=0.447, p<.01)은 충동성에, 자아탄력성(β=0.233, p<.05)과 가족건강성(β=0.229, p<.05)은 책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생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정책 마련을 제안함으로써 전문대학생들의 사회적응과 삶의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socia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s their own efforts to develop social obligation given to individuals as adults and power to be socially independent,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ir social adjustment and such factors as ego-resilience, level of career decision, family system, and school environment, and determine the level of their social adjust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91 students who are now in college(aged ≥20) and had been registered at college for at least one term at the time of the survey. To explore the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for socia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sonal factors (ego-resilience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the family factor (family strengths), and the school factor (school environment),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social adjustment cap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daptability, impulsivity, and responsibility),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ere rated on a scal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need to develop curriculums and policies for improving social adjustment capability of college students was suggested, and the plan for improving their social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wa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