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비스러닝 한국어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 미국 대학의 초급 수업을 중심으로 -

        오미진 경희사이버대학교대학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examples of design, opera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 learning Korean courses at T University in the U.S. based on service learning theory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learning. Judging from previous case studies combining servic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in the field were insufficient, and mixed studies provided inadequate research. Based on data, the needs of learners, and community needs, classes were planned, opera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P.A.R.E and the discipline-based service learning model. The results of the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es have a positive and mutually beneficial effect on teachers, local communities, and Korean learners. The instructor was able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lass objectives through self-evaluation. Local cooperative organizations were satisfied and positively evaluated the service activities of beginner Korean learners. As for the learners’ evaluation results of the service learning Korean subject, the mean values ​​of all scales increased post-survey indicating meaningful results. Likewi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ers’ overall lecture experience, most of the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in the categories of linguistics, affect, and service. However, negative emotions such as fear and worry about trying new things were also described. The instructor was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learners' experiences in detail through self-reflection analysi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n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he self-assessment of learners’ Korean abilities, pre-and post-video analysis of children’s book reading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learner’s self-assessment on Korean proficiency, the learners recognized that Korean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skills were improved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In addition, the reading speed of Korean text was fast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s Korean pronunciation errors decreased, learners’ reading accuracy increased.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of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es, ‘critical thinking’, ‘career and teamwork’, ‘civic responsibility’, ‘global understanding and citizenship’, ‘academic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uccess’,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motivation’, ‘in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student ‘satisfaction’. The mean values ​​of the questionnaire categories in ‘critical thinking’, ‘civic responsibility’, ‘global understanding and citizenship’, ‘academic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uccess’, ‘confidence’, ‘motivation’, ‘in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ere pre-tested. It was found that service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 However, positive results could not be drawn because the average value of the questionnaire categories in ‘leadership’ and ‘cooperation’ among ‘career and collaboration’ fel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questionnaire for ‘self-regulation efficacy’ decreas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ason that ‘reading poetry’ and ‘reading fairy tales’ were conducted as individual activities, so there were few opportunities to get along with others. In addition, although learners can adapt well to new environments in which they perform service learning activities, self-efficacy was lower in the post-test in terms of performing work using the information learned at the university or utilizing their talents or skills. When instructing service learning Korean language courses in the future, methods that can enhance learners’ ‘leadership’, ‘cooperation’, and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and reflected on. Fourth, A self-reflection paper was qualitatively analyzed to study the changes in learners’ thinking regarding service learning. Learners found themselves growing through self-reflection reports after ‘reading poetry’, ‘reading children’s books’, and ‘teaching Korean’ as service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self-reflection report of the learner, the instructor came to understand the learner better, and it was helpful to know the process of students’ academic growth. Learners positively evaluated the ‘reading poetry’ activities. They said that reading and vocabulary in Korean were expanded, which helped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Likewise, Korean learners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pronunciation errors and problems by going through the feedback process with the instructor during children’s book reading practice. The learner also became better at Korean speaking. Korean learners said that ‘reading a children's book’ was a very frightening and challenging activity emotionally, but it was a very helpful activity for learning Korean. In the ‘Teach Hangul’ activity, the learner did his/her best by focusing o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e learners described in the self-reflection report that they enjoye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ctivity,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improved through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ctivity. Also, in order to teach Korean well, learners ha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by reviewing and deepening what they had learned. The learner played the role of a service provider in the classroom, discovering a link between what he or she actually knows and the service experience. In the process from the 1st to the 4th teaching Korean sessions, Korean learners found themselves growing as presenter, leader, and language learner. Korean learners gained confidence as they prepared more diligently in class to teach well. The Korean learners said that they were motivated by watching the process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Hangul. The learners became aware of his/her own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and as service recipients did their best to meet their needs, their awareness of service improved and their civic responsibility improved. Learners have grown a global awareness of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by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class through a foreign language. The learners said that the Hangul teaching experience was great and that they needed it to grow as future members of society. The students said that they wanted to take more service learning courses in the future as a different approach to improve learning beyond what they had in the past. The results of this cause analysis provided data for future course improvement. Key word: service-learning, service-LEARNING, service-learning course, service, community service, Korean language, university, reflection, mixed methods research, case study, learning outcome, learning effects. 본 연구는 미국 T 대학 현장의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의 설계, 운영, 평가의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 결과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서비스러닝과 한국어에 접목한 사례 연구가 미진하였으며 연구 방법 면에서 혼합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P.A.R.E 수업 모형과 학문 기반 수업 모델을 기초로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 평가하였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에 대한 학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경력과 협동’,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과 ‘자신감’, ‘자기 효능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를 설문하였다. 더불어 한국어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동화책 읽기 비디오 분석을 하였다. 학습자의 서비스러닝에 대한 사고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 성찰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 평가를 통해 추후 서비스러닝 한국어 수업 운영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의 운영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은 교수자, 지역사회, 학습자에게 상호 호혜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는 수업 운영에 대한 자가 평가를 통해 교육의 목표와 운영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지역기관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서비스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만족하였다.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에 대한 학습자 평과 결과는 사후 평균값이 모두 상승하여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학습자의 강의 전반에 대한 경험을 다빈도어로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 학습자는 언어적, 정의적, 서비스 측면의 범주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시도에 대한 두려움, 걱정 등의 부정적인 감정도 기술하였다. 교수자는 자기성찰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교과목 개선을 위한 자료가 되었다. 둘째, 서비스러닝 한국어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동화책 읽기 비디오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결과 학습자는 한국어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능력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학습자의 동화책 읽기 비디오 분석 결과 사전보다 사후에 텍스트 읽기 속도가 빨라졌고 발음 오류가 줄면서 읽기 정확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셋째, 학습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경력과 협동’,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자기 효능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학습자는 서비스러닝은 소중한 경험이며 서비스러닝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했으며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등록을 후회하지 않았다. 다양한 서비스러닝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믿으며 성취감을 느꼈다. 한국어 공부와 서비스러닝을 공부하고 있다는 사실을 좋아하고 계속하고 싶어 하였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서비스러닝 교과목 수강을 권하겠다고 하였다. 한편, ‘비판적 사고’,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상승하여 서비스러닝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비스러닝의 변인인 ‘경력과 협동’과 개인 변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의 평균 척도 값은 하락하였는데 ‘경력과 협동’ 문항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회에 기여하고 경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의 척도 평균 척도 값의 결과는 사전 4.09, 사후 4.19로 상승하여 ‘경력’에는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리더십이 강하다.’(사전 3.52, 사후 3.45), ‘조원과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린다.’(사전 4.30, 사후 4.15)라는 문항에서 서비스러닝이 ‘리더십’, ‘협동적인 태도’의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시 읽기’, ‘동화 읽기’가 개인 활동으로 진행되어 타인과 어울릴 기회가 적은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추후 협동 학습을 신장할 수 있는 서비스러닝 활동을 고려하여 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조절 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서비스러닝 활동을 수행하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는 문항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대학에서 배운 내용이나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라는 문항은 사전 4.30에서 사후 4.17로 척도 평균값이 하락하였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활동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재능이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라는 문항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 4.20에서 사후 4.17로 하락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는 대학에서 배운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거나 자신의 재능이나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자기 효능감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 시 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을 높일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서비스러닝 활동에 반영하여야 할 부분이다. 넷째, 학습자는 서비스러닝 활동으로 ‘시 읽기’, ‘동화책 읽기’, ‘한글 지도’ 활동 후 자기성찰을 통하여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의 자기 성찰지를 분석하며 학습자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으며 학업적 성장 과정을 알 수 있어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는 ‘시 읽기’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읽기 능력과 어휘가 확장되어 한국어 능력이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동화책 읽기 연습 과정 중 교수자와의 피드백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발음 오류, 문제점에 대해 인지할 수 있게 되었고 말하기를 더욱 잘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정의적인 측면에서 동화책 읽기 경험이 신기하고 재미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떨린다’, ‘두렵고 겁이 난다’라는 부정적인 정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즉, 한국어 학습자들은 정서적으로 ‘동화책 읽기’가 매우 두렵고 도전적인 활동이었지만 학습에는 매우 도움이 되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학습자는 동화책 읽기 활동 후 ‘만족감’,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동기’가 생겼고 서비스러닝의 의도를 이해한다고 하였다. ‘한글 지도’ 활동에서 학습자는 교수-학습 상황에 집중하며 최선을 다했는데 학습자는 한글 지도 활동은 기쁘고 즐거웠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한글 지도 활동을 통해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글을 잘 가르치기 위해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심화하면서 한국어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고 기술하였다. 학습자는 교실 내 학습의 수혜자에서 실행자의 역할을 하며 실제로 아는 지식과 봉사 경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해 나갔다. 1 차시 수업에서 4 차시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자는 발표자, 지도자, 학습자의 관점에서 여러모로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학습자는 잘 가르치기 위해 수업을 더 열심히 준비하면서 자신감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학습자는 고등학생이 한글을 습득하는 과정을 보며 동기가 부여되었다고 하였다. 학습자 자신이 지역사회에 미칠 수 있는 자신의 영향력을 인지하게 되었고 서비스 수혜자가 필요한 부분을 충족하려고 최선을 다하면서 시민의식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는 ‘한국어’라는 외국어를 매개로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여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글로벌 의식이 성장하였다. 학습자들은 한글 지도 경험은 미래의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훌륭한 경험이었고 기존에 해 왔던 학습의 고정 관념을 벗어나 학습을 향상하기 위한 다른 접근의 시도로 앞으로 서비스러닝 교과목을 더 수강하고 싶다고 하였다. 이상 본 연구에서 미국 대학 현장의 한국어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설계와 운영, 평가의 방법과 학습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서비스러닝 한국어는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학습 효과 중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상승하여 서비스러닝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경력과 협동’과 ‘자기조절 효능감’의 평균 척도 값이 하락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원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개선 방안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임을 알게 되었다. 서비스러닝 활동 후 학습자가 작성한 자기 성찰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서비스러닝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 한국 민중미술에 나타난 행동주의 공공미술 : 1980년대~2000년대의 걸개그림·벽화·사회참여적 작업을 중심으로

        오미진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행동주의 공공미술은 1980년대 사회 변혁을 요구하는 투쟁 현장에서 탄생한 민중미술의 발전과 함께 시작하였다. 초기 행동주의 공공미술은 미술의 사회참여와 정치적 민주화를 지향한 전시, 미술교육활동 등을 통해 나타났다. 그러나 1987년 6월 항쟁과 7, 8, 9월 노동자 대투쟁을 거치면서 예술가들이 노동자나 농민들의 투쟁 현장에 들어가 그들과 긴밀히 연대하여 투쟁에 필요한 걸개그림, 벽화, 포스터, 전단 등을 제작하는 작품 활동을 전개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1980년대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와 두렁, 1987년 6월 항쟁을 기점으로 각종 사회운동, 학생운동 등 투쟁 공간 속에서 미술을 통한 행동주의 공공미술을 실천에 옮긴 사례를 고찰하여 그 의미를 분석한 것에 있다. 특히, 현장 지원에 앞장서서 학생들과 함께 제작한 걸개그림, 그리고 젊은 미술가들이 중심이 되어 자신의 집이나 작업실 담장에 그린 벽화운동을 행동주의 공공미술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더불어 학생 미술가들이 학교 담장이나 건물 옆면 등 보다 확장된 범위로 전개한 벽화운동의 의미를 파악한다. 그리고 1980년대 후반-90년대 초 여성노동운동 현장에서 활동한 그림패 둥지와 노동미술위원회의 걸개그림과 그들이 펼친 각종 활동을 살펴본다. 1990년대는 구소련의 해체에 따른 개혁․개방 분위기가 조성되고, 문민정부의 등장과 함께 남북 긴장의 완화 등 국내외 정세가 변화함에 따라 시위나 집회가 줄어들었다. 이때 민중미술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고, 이후 행동주의 공공미술의 성격도 또한 변모하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사회․정치적 문제에 직면한 현장에서 공간을 점거하는 오아시스 프로젝트와 미군기지 확장이전 방침에 따라 삶의 터전을 빼앗기게 된 마을 주민들의 삶에 스며들고자 한 대추리 현장예술 또한 행동주의 공공미술의 사례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미술가들이 사회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대중과 소통의 기능을 확보하고자 했던 행동주의 공공미술의 내용과 그들의 활동이 가지는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행동주의 공공미술에 대한 평가와 전망을 제시한다. 한국 민중미술에 나타난 행동주의 공공미술은 현장 조직과 지속적인 연대를 이루지 못했고, 작가 개인의 생계와 창작 문제 같은 어려움이 따르면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이후 정치적 투쟁 공간은 줄어들었지만, 그 범위가 정치, 사회, 환경, 여성, 다문화 문제 등으로 확장되어 현재까지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앞으로도 사회적 쟁점의 현장에 개입하여 예술적 실천을 모색하는 행동주의 공공미술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1980-90년대 초 민중미술과 2000년대 이후 사회참여적 미술에서 공동체와 공론장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미술운동을 행동주의 공공미술의 관점으로 분석한 이 연구의 의미는 이러한 예술적 실천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 초등학생의 불안과 별-파도 그림 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오미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M.A.Thesis On the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responses to Star-Wave Test Oh, Mi Jin Department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Gab Suk·Lee Mi 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xiety and response to star-wave Test(SWT), and thus evaluate the star-wave Test(SWT) effectiveness as a tool to measure the degree of anxiety. Subjects were 258 5th and 6th grad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oo-sung gu and Dong gu in Daegu,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4th, 2010 till February 11th, 2010. Measurement tools included personal environmental-cause questionnaire, SAIC, and SWT. SPSSWIN 18.0 was used to analyze data; this helped in figuring ou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s indicating characteristic responses to the star-wave pictures. Cross-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characteristic responses to the star-wave Test depending on the subjects' genders and whether they had anxiety disorders or no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 responses revealed that most subjects' drawing style was pictoral style (38.4%), most subjects' overall spacial organization was incongruous (65.5%), most subjects' vertical organization showed emphasis on space between the sky and the sea, and most subjects' horizontal organization displayed combined emphasis (43.8%). As for most subjects' depictions of waves, most subjects' dynamic wave depictions were full of movement (95.3%), most subjects' non-dynamic wave depictions were unstable (56.4%), and other aspects of wave depictions were continuous (62.6%). Also, most subjects' star depictions were fixed for dynamic depictions (92.1%), stable for non-dynamic depictions (54.2%), and continuous for other star drawings (72.5%). The number of stars that most subjects drew were less than 10 (65.9%), and stars were drawn in all areas (76.3%). In addition, in most cases subjects didn't draw beaches, coastlines, rocks, islands, cliffs, lighthouses, thunderstorms, thunder or lightening, whereas most drew the moon and ships, and the overall drawing method was mostly continuous (50.0%). Second, examining the elementary students' characteristic responses to the star-wave pictures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ine factors, including style (χ2=13.026. p< .05), overall organizational structure (χ2=11.812, p< .01), vertical structure (χ2=27.247. p< .001), non-dynamic wave depiction (χ2=8.687. p< .05), non-dynamic star depiction (χ2=25.205. p< .001), positions of stars (χ2=10.027. p< .05), beaches or coastlines (χ2=4.349. p< .05), thunder and lightening (χ2=4.583. p< .05), and ships (χ2=4.293. p< .05). Third, comparison of characteristic responses to star-wave pictures between the anxious group and the non-anxious grou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x areas including style (χ2=29.663. p< .001), overall organizational structure (χ2=4.056. p< .05), vertical structure (χ2=14.225 . p< .05), beaches and coastlines (χ2=4.962. p< .05), thunder and lightening (χ2=19.004. p< .001), and overall drawing method (χ2=8.225. p< .05). The above research results have proven that the SWT is a valid tool for assessing children's anxiety disorder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used a systematic sampling method to extract samples in order to accurately compute results of characteristic responses to the test. Also, it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proven that the SWT is a valid tool for evaluating anxiety disrode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 Words :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xiety, Star-Wave Test 국문초록 초등학생의 불안과 별-파도 그림 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오 미 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미술치료학과 미술치료전공 지도교수 김 갑 숙·이 미 옥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불안과 별-파도 그림 반응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별-파도 그림검사가 불안을 측정하는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3개교에 재학 중인 5학년과 6학년 258명이며 자료 수집기간은 2010년 2월 4일부터 2월 11일 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개인적 환경변인 질문지와 소아상태불안척도(SAIC), 별-파도그림 검사(SW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초등학생의 별-파도 그림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별-파도 그림 반응특성과 불안 집단과 비불안 집단에 따른 별-파도 그림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별-파도그림 반응특성을 알아본 결과 그림의 양식에서는 회화적 양식(38.4%), 전체공간구조는 부조화(65.5%), 수직구조에서는 하늘과 바다사이에 강조된 공간(31.0%), 수평구조에서는 복합적 강조(43.8%), 파도필적 동적에서는 움직임이 있는 필적(95.3%), 파도필적 정적에서는 불안정적인 필적(56.4%), 기타 파도필적에서는 이어진 필적(62.6%)의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별 필적 동적에서는 고정되어있는 필적(92.1%), 별필적 정적에서는 안정적인 필적(54.2%), 기타 별 그림 필적에서는 이어진 필적(72.5%)이 별의 수는 10개 이하(65.9%), 별 위치는 전체(76.3%)가 많았다. 해변이나 해안, 바위·섬·절벽, 등대, 비·구름, 천둥·벼락은 있는 것보다 없는 경우, 달과 배는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전체적인 필적수법은 연속되어 있는 것(50.0%)이 많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별-파도 그림 반응특성을 알아본 결과 그양식(χ2=13.026. p< .05), 전체공간구조(χ2=11.812, p< .01), 수직구조(χ2=27.247. p< .001), 파도 필적 정적(χ2=8.687. p< .05), 별 필적 정적(χ2=25.205. p< .001)과 별 위치(χ2=10.027. p< .05), 해변이나 해안(χ2=4.349. p< .05), 천둥, 벼락(χ2=4.583. p< .05), 배(χ2=4.293. p< .05) 등 9개의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불안 집단과 비불안 집단에 따른 별-파도 그림 반응특성을 알아본 결과는 양식(χ2=29.663. p< .001), 전체공간구조(χ2=4.056. p< .05), 수직구조(χ2=14.225 . p< .05), 해변이나 해안(χ2=4.962. p< .05), 천둥·벼락(χ2=19.004. p< .001), 전체 필적 수법(χ2=8.225. p< .05) 등 6개의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별-파도그림이 아동의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불안 아동과 비불안 아동의 별-파도 그림 검사의 반응특성의 보다 정확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표집방법을 활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별-파도 그림 검사가 초등학생의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주택임차인 보호제도와 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오미진 제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would be difficult at the present moment to predict exactly what problems may arise in the future. However,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regulation of public order so that the risk of causing unreasonable consequences can be minimized. Since Housing Lease System is something that is being newly developed, a thorough examination of past problems can lead to a future Housing Lease System that is more rational and accords with substantial justice. In using of others▽ real estate, it is actually impossible for a tenant to make a contract with a landlord in equal status. And even after the contract, a tenant▽s right of lease was still in unstable condition, which leaded to raise the problem of tenant protection. So it was definitely necessary to develop the protection measure for the problem. Therefore,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as enacted on Mar. 5, 1981, to protect the housing tenant▽s the basic right to live and the stability of housing life and started to provide the protection for tenants in social political prospect. In modern society, an aspect of the national housing life often changes depending on the change of social affairs. So,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as enacted responding to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since then, it has been improved many problems presented by amending twelve times. However, there are still lots of things left to be desired. The house lease system has been generated and evolved into a peculiar law that can not be found in the example of foreign practices or legislations.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stable residing lives for commonality, and has the feature of special law and social law from the viewpoint of the civil law. The Ministry of Justice is trying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plans that can effectively secure the rapid recovery of security as part of plans to settle this social dispute?CEnactment Proposal for the Introduction of Security Insurance System for the Returning of the Deposit Money and Improvement of Civil Law System issued by Office of Legal Counsel within the Ministry of Justice. I explained about the main contents of Housing Lease System and dealt with the important contents of Housing Lease System and suggested especiall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opposition factor, Lease registration command system and Camouflage Lessee in Housing Lease System.

      • 영․호남 클러스터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 분석 : -중등생물 교육내용 중심으로-

        오미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amined their criteria in selecting gifted students,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s by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in science attached to six universities.(Sunchon University, Gyeongsang University, Kyungnam University, Pusan University, Chonbuk University, Changwon Univers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veloping direction and principle of the programs were not clearly established in a lot of education centents of the programs were focused on science, but the special programs such as mo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scientists, the programs for patents, etc were insufficient. Second, Multi-step teaching system-basic course, advanced course and mentor system-may be effective to enhance the ability of the gifted and evaluate them continuously. In the most of education centers, the mentor systems were designed to teach the highly advanced knowledge.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produce the creative products by cooperating with the professor. Third, In the most of education centers, there were not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relevant to the gifted in science. etc. Based on this study, it suggested the revitalizes for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un science of the six universities.

      • 도형의 닮음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석 및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오미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로 학습한 학생들의 도형의 닮음 단원에서 제시하는 개념 및 성질에 대한 오개념과 닮음에 관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교과서 중 17종의 검정 교과서와 익힘책을 분석하였고,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중·상위권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면담을 총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도형의 닮음 단원에 대한 선수학습 내용으로 점대칭도형을 다루지 않는 교과서가 많았다. 닮음 개념의 도입의 경우 확대 또는 축소 개념을 이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도입 방식에 따라 그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용어의 정의에 대하여 살펴보면 닮음비, 삼각형의 닮음조건, 중선,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모든 교과서에서 동일하게 정의하였다. 그러나 닮음의 정의는 확대나 축소하는 활동을 통해 정의한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서술방식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닮음의 위치 및 닮음의 중심은 정의 유형을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삼각형의 닮음조건과 합동조건을 비교하는 내용은 제시 유형에 따라 총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중학교 3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닮음비, 평면도형에서의 닮음의 성질, 입체도형에서의 닮음의 성질에 대해서는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내용으로 이해하고 있었지만 그 밖의 개념 및 성질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도형의 닮음 단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각의 개념 및 성질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과 문제 풀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개념 유형 사이에는 공통적인 것도 있었지만 차이점도 있었으며 이들을 종합하여 도형의 닮음 단원에 관한 오개념 유형을 8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오류를 범하지 않은 학생들은 변환개념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변환개념을 이해하고 닮음에 관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 및 대상을 다르게 하여 도형의 닮음 단원에 관한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이 수학적 성질을 잘못 적용하여 오류를 범한 경우에 대한 연구 및 교사에 의한 교수학적 변환이 학생들의 오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isconception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Section titled ‘Similarity of Figures’ and the misconception manifested during the course of re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imilarity of figures among the students who learned using the textbooks under the 7th revised curriculum. In this study, 17 types of authorized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for the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7th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long with that,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wice with 4 middle/upper level students, who were the 3rd 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using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textbooks showed that many textbooks did not cover the point symmetry figures as part of the proactive learning for the Section, ‘Similarity of Figures’. Although all those textbooks used the concept of magnification or reduction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similarity, the type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ing on the method of introduction of similarity. In relation to the definition of terms, the ratio of similarity, the conditions for the similarity of triangle, median, and centroid of triangle had the same definition in all textbooks. Although there was the commonality that the definition of similarity was made through the magnification or reduction, the defini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method of description, and furthermore, the definition of the position and center of similarity could be divided into five types. The details related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nditions for similarity and the conditions for congruent triangle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depending on the pattern of pres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interview with the four students who were the 3r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the students had the understanding about the ratio of similarity, characteristics of similarity in the plane figures and three-dimensional figures. However, they sometimes did not understand other concepts o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re was commonality between the types of students’ misconception related to the respectiv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Section of the Similarity of Figures and the types of misconception manifested during the course of resolving the problems. However, there was also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above. From a comprehensive standpoint, the types of misconception related to the Section of Similarity of Figures could be divided into 8 types. Students who did not have misconception in this study resolved problems using the concept of transformation. Thus, activities need to be provided, which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transformation and can be applied to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similarity. Moreov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type of students’ misconception with respect to the Section of the Similarity of Figures by changing the regions and subjects. In addition, further study needs to be conducted in relation to the errors arising from the students’ wrong application of mathematical properties, and subsequent studies need to examine the effect that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eachers would have on the formation of misconception of students.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삶의 의미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오미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삶의 의미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여 학생들의 긍정적인 학교생활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진로정체감,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존재, 전체 대학생활적응과 각 하위요인들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진로정체감과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존재가 전체 대학생활적응과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 지역 4년제 8개 학교의 남, 여 324명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 삶의 의미,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고 SPSS 1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정체감,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존재, 전체 대학생활적응과 각 하위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진로정체감은 전체 대학생활적응과 각각의 하위요인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삶의 의미의 하위 변인인 의미추구와 의미존재는 각각 전체 대학생활적응,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과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개인·정서적응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진로정체감과 삶의 의미의 하위 변인인 의미존재와 의미추구에서 진로정체감과 의미존재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진로정체감과 의미추구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진로정체감과 삶의 의미의 하위 요인이 전체 대학생활적응과 각각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전체 대학생활적응과 그 하위영역인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에서는 진로정체감과 의미추구가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응에서는 의미존재가 영향을 주었고 개인·정서적응에서는 진로정체감이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정체감과 삶의 의미의 하위변인인 의미추구와 의미존재가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에 따른 진로정체감과 삶의 의미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이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의 실제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부양의무자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노원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오미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40년간의 시혜적 단순 보호차원의 생활보호제도로부터 저소득층에 대한 종합적인 복지시책으로서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실시를 통해 최후의 사회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민간연구나 언론의 보도를 통해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부양의무자 기준은 수급자 탈락의 주원인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비판이 잇따르고 있으며,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각지대로 꼽히기도 한다. 부양의무자 기준은 공공부조에서의 보충성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개인의 빈곤을 전적으로 국가가 책임지지 않고, 친족 간의 부양을 요구함으로써 최후의 수단으로서 작용하게끔 하는 것이다. 1601년 엘리자베스 구빈법에서부터 그 시초를 찾아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공공부조와 구 일본의 생활보장제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반면에 근대사회에 들어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가 진전됨에 따라 가족을 중심으로 한 사적 부양체제의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공적 부양의 비중이 크게 확대되어왔다. 그래서 선진 외국의 경우나 일본의 현 생활보장제도에서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하거나 단순순위설로만 적용하고 있다. 현재 지적되고 있는 기초생활보장법의 부양의무자 기준의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부양의무자 범위의 문제이다. 현행 부양의무자 기준은 직계혈족과 그 배우자, 생계를 같이하는 2촌 이내의 혈족으로 되어 있다. 부양의무자 범위는 갈수록 핵가족화 되어가는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가족 구성원간의 절대적 부양의무와 상대적 부양의무에 대한 구분이 없다. 둘째, 부양의무자 소득판정기준의 문제이다.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 판정은 최저생계비의 120%를 기준으로 한다. 최저생계비는 수급자의 1차적인 기준이 되는 것으로, 최저생계비의 120%는 겨우 수급자 기준을 웃도는 것이다. 결국 수급자보다 조금 나은 생활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부양능력 있음이나 미약으로 판정되어 수급자의 생활을 도와주어야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서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인해 탈락된 가구를 대상으로, 탈락 사유를 분석하여 단계적으로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화되거나 범위가 축소되었을 때, 수급자로 보호할 수 있는 가구를 파악하여 사회정서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을 고려한 대안적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기초생활보장 사각지대 해소에 노력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원구의 내부자료를 통해 2003년 노원구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탈락자 중 부양의무자 기준에 의해 탈락된 가구를 파악하여 탈락사유를 분석하였고, 이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부양의무자 기준의 모형을 설계해보았다. 부양의무자 범위의 축소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전히 폐지하는 것으로, 이는 사각지대 해소의 효과는 높으나, 재정적인 부담이 매우 크다. 둘째, 배우자와 직계혈족(출가한 딸 제외)으로 축소하는 것으로, 법적 효과성이나 추가 소요되는 재정의 부담이 그리 크지는 않다. 셋째, 1촌 이내로 축소하는 것으로, 재정적 부담이 매우 적은만큼 그 효과성도 작다. 부양의무자 소득판정기준의 상향 모형은 다음과 같다. 현행 기준인 최저생계비의 120%에서 130%, 150%, 180%로 각각 상향 조정하였다. 법적 효과성과 재정적 부담을 고려하였을 때, 최저생계비의 150%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부양의무자 기준은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한다. 부양의무자 범위는 배우자와 직계혈족(출가한 딸 제외)으로 축소하고, 부양의무자 소득판정기준은 최저생계비의 150%로 완화해야 한다. 이러한 부양의무자 기준의 개선을 통하여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각지대를 해소시키고, 더 나아가 공공부조로서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도시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5대 범죄를 중심으로

        오미진 弘益大學校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Urban crimes, as a violation of the law, emerge as serious social issues, threatening the social order and safety. Despite our ongoing efforts, crimes continue rising and the necessity to seek the new plans in the aspect of the measures after the occurrence of crimes. Thus, to make a safe city from crime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mes in the applicable region, and use it for the base data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urban planning to prevent the crime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rime occurrence is relat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The scope of this study targets 467 Dongs and 31 police precincts, in Seoul.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e analysis, includes Seoul’s 5 major crime rates, and the occurrence rate of murder, robbery, rape, theft, and violent crim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urban environmental elements, which were expected to be the causes of crimes, and the variables for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state of crimes in Seoul,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each police station. Downtown and the subcenter of city with relatively low resident population and relatively high floating population showed high crime rate. Violence showed similar pattern to 5 major crime rates, and murder showed the different patterns of distribution. Robbery and rape showed similar patterns to each other, but it was identified that they were different from other crimes. To examine more precise breeding grounds for cr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Hot Spot area was analyzed by applying Gi *(d) value of spatial autocorre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hot spot area is the area in which the adult entertainments were concentrated and which had high floating population. As a result of the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with respect to the occurrence of crimes, there existed regional differences, and common regional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se collective areas.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se regional differences were caused by spatial autocorrelation propensity, and the spatial dependency and heterogeneity wer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crimes. Also,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rimes the most, a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variables used for the analysis were established by the spatial data, and it was proved that the spatial regression model, which enhanced the reliability of analysis results, by supplementing the spatial problems, was appropriate in this case. As a result of spatial regression analysis, the size of effectiveness of crimes can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Floating population>Parking>Population density>Parks density>Total Property Tax>Adult entertainment>Residential/Commercial facilities>Residential/Industrial facilities>Low-income population". Considering that the density of parks had (-) relation to all the crimes, with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t was identified that the park had the effect for reducing the crime rate. In other words, it was identif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ffection crime rat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crime. Based on above results, it was proved that crime factors were caused by the action of the various par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rime. Also affected by the crime neighborhoods, areas where the crime occurred concentrate could see that. The analysis of the urban crimes like this, will be effective for providing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urban planning which aims to prevent the crimes. 도시범죄는 법률을 위반한 행위로 사회질서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시범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범죄발생 이후의 대책 측면에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범죄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범죄 자체가 지닌 특성뿐만 아니라, 범죄가 발생하는 지역의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죄발생이 지역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에 지역의 범죄발생 특성을 분석하여 범죄예방을 위한 도시계획적 방향 설정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고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시의 467개의 법정동과 서울시 31개의 경찰서 관할 구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종속변수는 서울시 5대 범죄발생률과 유형별 살인, 강도, 강간, 절도, 폭력범죄의 발생률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는 범죄발생의 원인으로 예상되는 도시환경요소들이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의 변수를 선정하였고, 공간분포패턴 분석결과를 통해서 물리적 지역특성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서울시 범죄발생현황을 범죄율로 표준화하여 살펴본 결과, 경찰서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상주인구가 적고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부와 부도심에서 범죄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과 절도범죄율은 5대 범죄율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살인 범죄율은 다른 범죄율과 다른 분포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강도와 강간범죄율은 서로 비슷한 패턴을 보이지만 다른 범죄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좀 더 정확한 범죄발생지와 그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공간분포패턴 분석 중 핫스팟(Hot spot)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범죄다발지역을 분석하였다. Hot spot 지역을 찾는데 사용된 공간자기상관법의 Gi*(d)는 이 값 자체가 z-score가 되며, 각 동별 범죄의 Gi*(d)값이 산출되어 Hot spot 지역을 분석하는데 가장 적절한 연구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범죄다발지역은 대체로 유흥업소가 밀집되어 있고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간과 5대 범죄는 주거 시설이 밀집된 곳이 범죄다발지역으로 나타났다. 범죄발생 현황과 공간분포패턴의 결과와 같이 범죄의 발생은 지역적 편차가 존재하고, 군집지역에는 공통적 지역 특성이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역적 편차는 공간자기상관성을 갖기 때문에 나타나며, 공간적 종속성과 이질성이 범죄발생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역특성이 범죄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범죄발생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어떠한 변수인지 알아보기 위해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변수들은 공간자료에 의해 구축된 것으로, 공간상 발생하는 문제를 보안해서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제고시키는 모형인 공간회귀모형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장 적합함을 일반회귀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입증하였다. 공간회귀분석 결과, 범죄발생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하면 유동인구>주차장수>인구밀도>공원밀도>총재산세>유흥업소수>주거대비상업시설>주거대비공업시설>기초생활수급자수로 나타낼 수 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공원밀도는 모든 범죄에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보아 공원은 범죄발생의 방어기제로 작용하여 범죄율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동인구, 주차장의수, 인구밀도, 유흥업소수, 총재산세는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 되어 이러한 변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범죄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범죄유형에 따라 범죄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특성에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범죄발생요인은 다양한 부분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므로 특정 부분만을 해결하는 것은 범죄예방을 감소시킬 수 없으며, 지역의 특성은 범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분석결과를 통해 입증하였으며,이러한 도시범죄 분석은 범죄예방을 위한 도시계획에 필요한 계량화된 정보제공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