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오명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생활스트레스를 예언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결과변인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도 2개 지역의 40-50대의 시부모와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 297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의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하위 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년기 여성은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즉,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주부생활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주부생활스트레스와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평가적 지지를 제외한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주부생활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부정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주부생활스트레스와 부정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년기 여성이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 및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정서적, 평가적, 정보적, 물질적 사회적 지지를 보다 많이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 및 적응과의 관계

        오명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유아의 기질 차이와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형(온정성, 통제성)에 따른 집단간에는 유아의 기질차원(적응성, 활동성, 생리적 규칙성, 반응성, 정서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형(온정성, 통제성)에 따른 집단간에는 유아의 적응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시내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는 3, 4, 5세의 유아 247명과 그들의 어머니들이었다.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천희영(1993)이 Thomas와 Chess(1977)에 의해 개발된 PTQ와 Carey와 McDevitt(1978)가 개발한 RITQ 및 어머니와의 면접에서 수집된 것을 참고로 하여, 만3세에서 7세까지의 우리나라 유아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연구용 기질 평정 척도> 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천희영(1993)이 제작한 <어머니 양육태도 척도> 를 사용하였다. <어머니 양육태도 척도> 는 Slater와 Power의 PDI, Block의 CRPR, Schaefer의 MBRI, 정계숙의 KPAAT, 그리고 조성연이 국내 연구에서 양육태도와 관련된 문항들을 재정리하여 사용한 도구 등으로부터 67개를 선정하여 아동학 전공교수 4인의 안면 타당도 검사를 거쳐 선별된 문항을 예비조사를 통하여 재구성되었다. 유아의 적응을 평가하기 위해 Thompson이 개발한 국립 교육연구재단의 학교적응검사 도구를 Hughes등이 축소, 개작하여 만든 것을 원영미(1990)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과정을 거쳤다. 먼저 어머니 양육태도 유형(온정성 상·하, 통제성 상·하)에 따른 기질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변인 변량분석(MANOVA)을 하였고, 양육 태도 유형에 따른 기질차원(적응성, 활동성, 생리적 규칙성, 반응성, 정서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ANOVA)을 하였다. 또한 어머니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적응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ANOYA)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태도의 두 차원 (온정성, 통제성)에 따라 온정성 상·하 집단과 통제성 상·하 집단으로 분류한 후 기질차원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집단 간에는 기질의 차원 중 적응성, 활동성, 생리적 규칙성을 제외한 반응성과 정서성에서 의의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반응성에서는 온정성 상위집단이 온정겅성 하위집단보다 반응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온정성과 통제성의 상호작응 효과도 있었다. 또한 정서성에서는 온정성 상위집단이 온정성 하위 집단보다 정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제성 하위집단이 통제성 상위집단 보다 정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의 두 차원 (온정성, 통제성)에 따라 온정성 상·하 집단과 통제성 상·하 집단으로 분류한 후 적응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adjustment to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temperament aocording to thei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47 preschoolers in K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temparament, Chun Heeyoung's TRS(Temperament Rating Scale, 1991) was used, to which children's mothers responded. Chun's MBRI(Materm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1992) and Adjustment to School Scale made by Hughes, Pinkerton, and Plewis(1979) were used to measure child-rearing attitudes of the subjects' mothers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behavior. The latter scale was checked up by the subjects' pre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Difference i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ildren's tempera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reaction and emotionality, but not in adaptability, activity, and rhythmicity. The group of children of the mothers who scored higher in the warm-caring attitude also scored higher in reaction indes than those of the mothers who scored lower in the warm-caring attitude. They scored higher in emotionality index, too. However, the group of children of the mothers who scored lower in control-type attitude acquired higher score in emotionality index than those of the mothers who scored higher in control-type attitude. 2. Difference i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ject adjustment.

      • 쥬얼리 글루를 활용한 공예 집단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오명자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쥬얼리 글루를 활용한 공예 집단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A지역의 청소년 문화의 집(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에 재학 중인 중학생 1, 2학년 남, 여 학생 대상을 주 2회 180분 동안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10회기를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프로그램 전과 후로 실험집단과 마찬가지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능력, 자아자존감 설문에만 응답하도록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쥬얼리 글루 공예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취약계층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통제집단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가정과는 달리 통제집단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상승하였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에서 두 집단은 실험 전과 후에 변화가 없었다.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실험집단은 변화가 없었으나, 오히려 통제집단이 어려운 과제를 사전보다 사후에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쥬얼리 글루 공예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취약계층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의 변화 차이에서도, 가정과는 달리 실험집단은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에서 프로그램 전과 후에 변화가 없었으나, 통제집단은 사전보다 사후에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쥬얼리 글루 공예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없었다. 쥬얼리 글루 공예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초기에는 소극적인 모습들이 회기수가 지날수록 적극적인 태도와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고, 감정표현이 증가하였으며, 언어 행동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요컨데, 쥬얼리 글루 공예 집단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단지, 쥬얼리 글루 공예프로그램이 자기조절능력에서의 비효율적 자기조절 수준을 증가시키지 않고 유지시킨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참가자의 행동에서는 작업 행동, 언어 사용 및 기분에서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공예 매체로 쥬얼리 글루를 활용하여 취약계층 청소년을 동시에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raft group program using jewelry glue on the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bility, and self-esteem of the vulnerable teenagers. Participants conducted 10 sessions of 180-minutes session twice a week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1st and 2nd grade boys and girls who are attending the Youth Cultural Center (Youth After-School Academy) located in a district of Gyeonggi-do Provinc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0 session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responded only to the questionnaires on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bility, and self-esteem a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f-efficacy of the vulnerable teenag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raft group program using the jewelry glue and the self-efficacy of the control group teenagers, contrary to it's assumption, the self-efficacy of the control group teenagers increased.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fficacy, the two groups did not chang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lso,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change in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ontrol group prefers the difficult task after the fact rather than before.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 vulnerable teenagers who participated in craft group program using the jewelry glue, contrary to it's assumption,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self-regulating and volitional suppression style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lf-regulating and volitional suppression style later than before.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raft group program using jewelry glue. Tee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craft group program using jewelry glue were initially passive, but showed positive attitudes and concentrations as the number of sessions increased. In conclusion, the effects on the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bility and self-esteem through the craft group program using jewelry glue to the vulnerable teenager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craft group program using jewelry glue seems to have played role in maintaining self-regulation without increasing the level of inefficient self-regulation. Changes in work behavior, language use, and mood could be observed in the participant's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vulnerable teenagers were verified using jewelry glue through new craft medium simultaneously.

      • NGO탐구반 사례 연구를 통한 중학생의 사회참여 의식 변화

        오명자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junior high students how they change their consciousness about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participating in NGO Research Club. This research introduces how NGO Research Club was performed as a club activity in Junior High School in Jeon-ju.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uld give you (or schools or teachers) an idea about offering students a chance to have a social participation experience education which could lead them to a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service and to an altruistic volunteer activity. There are two main subjects in this study. The one is to examine how the NGO Research Club and social participation experience education are conducted and the other is to find out how much students were influenced about their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ir gender, religion, grades, motive of participation, types of characteristics, existence of social participation experience education, structure of small group, and the value of students. Researcher participated in students' activity and interviewed the participating students, based on these two main subjects. Also, researcher had students to take the survey and to write out their opinions to examine their change in consciousness about the social participation. As a reference, researcher had non participating students who had the sam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ame gender to take the survey. SPSS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process all the collected data. Only the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results were taken in this research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ting students. Through all the proces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NGO Research Club activity which is connected to the local community group offered a good opportunity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work and the importance of NGO, and to recognize the valu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altruistic volunteer activity. Second, students explored the local community groups in Jeon-ju. They had a chance to experience as future NGO activists through finding out the problems and putting the solving methods into the practice. Third, it was clear that preparation and training beforehand and reconsideration about the activity afterward were the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d students' desire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Fourth, we (teachers or school) were able to provide a new volunteer program that was different from the formal one which was just for fulfilling the hour requirement. Also, the center of club activity organization was moved from teachers to students. It led students to choose the activity voluntarily. Fifth, through NGO Research Club activity, the gender, grades, existence of the social participation experience education, structure of small group influenced to students' value, characteristics,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tinuous desire to participate in local community activity. Sixth, a thorough discuss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y groups and th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the cooperation of the director and other teachers, and the encouragement for the students should be emphasized in the club activity administration.

      • 그림책을 활용한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명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그림책을 활용한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지도성, 도 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그림책을 활용한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타인의도조망수용능력, 타인사고조망수용능력,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 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2개 학급 만4세 유아 58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0년 4월 9일부터 7월 2일까지 12주 동안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12편의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은 주 1회 소집단을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하였다. 토의한 내용은 현장노트에 기록하고, 유아들의 토의내용을 녹음하고 사진촬영ㆍ비디오 촬영을 하였으며, 유아와 교사와의 비형식적인 면담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서 김영옥(2003)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는 Hudson, Formam과 Brion(1982)의 연구를 기초로 신현옥(1996)이 수정ㆍ보완한 조망수용능력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 등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인지조망수용인 타인의도조망수용능력과 타인사고조망수용능력, 감정조망수용인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도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용한 교수 - 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small group discussion applying picture books on prosocial behavior an perspective-tak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depending on objectives as below. 1. What is the impact of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cluding leadership, offering help, communication and initiative consideration, attempting access, sharing, empathy,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2. What influence can be expected from children's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taking abilities of others' intention perspective, others' thought perspective, others' affective perspective? Fifty-eight of under four-year-old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from private kindergarten classrooms over Kyeongki-do as subject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ce a week based on the small group discussion as to twelve different picture books over 12 weeks(April 9 - July 2, 2010). Details of the debate were taken immediately on the fieldnote and children's comments during not only the meeting but also informal conversations between teachers and experimental students were recorded as well as pictured. Data were collected via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PBSYC) which is developed by Kim, Young-ok(2003) to analyz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the instrument of Sin Hyeon-ok(1996) which is based on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inventory by Hudson, Forman & Brion (1982) was modified, supplemented, and applied in order to clarify the young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y. To examine research material,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dow 17.0 was used. Paired sample, T-test was another inspection tool for the purpose of calculating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pre-test the post-test as well as comparing test results between subjects.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present study: Our result indicated that firstly,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impacted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volving leadership, offering help, communication and initiative consideration, attempting access, sharing, empathy, and emotional self-control. Secondly, the research was demonstrated that young children's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effected on children's taking abilities' of other's intention perspective, other's thought perspec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 got effected. These results show that group discussion utilizing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stimulates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they will be applied to childhood education in the forseeable future.

      • 유아기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의 관련 변인 : 공격성,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및 교사-유아관계를 중심으로

        오명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기 또래관계를 사회측정적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사회적 선호도와 사회적 영향력의 두 개념으로 확장하여 탐색하고,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 소재 6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07명(남아 151명, 여아 156명)이다.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Coie와 Dodge(1988)의 사회측정적 인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개인변인으로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Crick과 Grotpeter(1995)의 연구에서 사용한 교사 보고용 설문지를, 자아존중감은 Harter와 Pike(1984)의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을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연구진(2014)이 번안⋅수정한 아동용 자아존중감 질문지를 사용하여 개별 면접하였다. 공감능력은 Auyeung 등(2009)이 개발한 아동용 EQ 척도인 EQ-C(Children's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를 고희갑(2014)이 번안⋅수정한 교사 보고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교사-유아관계는 Pianta(2001)의 유아-교사 관계 척도(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를 정대현(2006)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교사가 평정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경향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측정 변인들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t검정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 교사-유아 관계가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에 미치는 설명력을 규명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관계에서 사회적 선호도가 높은 인기아 집단과 사회적 영향력이 높은 양면아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분포 양상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선호도가 높은 인기아는 15.3%이고 사회적 영향력이 높은 양면아는 4.89%이었다. 인기아와 양면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기아는 공감능력이 높고 교사와의 관계에서 친밀감 수준이 높았으며, 양면아는 공격성이 높고 교사와 갈등 수준이 높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과 공격성,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선호도가 높은 유아는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감정과 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공감능력이 뛰어나고 공격성의 정도가 낮았다. 반면에 사회적 영향력이 높은 유아는 공감능력이 부족하고 공격성의 수준이 높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과 교사-유아관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선호도가 높은 유아는 교사와 친밀한 관계를 맺으며 갈등 수준이 낮은 반면에, 사회적 영향력이 높은 유아는 교사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하는 정도가 높았다. 넷째, 유아의 공격성,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이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에 설명력이 높은 변인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선호도에 투입된 변인들 중 공감능력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고 사회적 영향력에 투입된 변인들 중 관계적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즉, 정서적으로 공감능력이 뛰어나고 사회적 반응을 잘하는 유아일수록 또래집단에서 선호도가 높고 또래관계에서 관계적 및 신체적 공격성을 많이 보이는 유아일수록 사회적 영향력이 높았다. 다섯째,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에 설명력이 높은 변인을 살펴본 결과, 갈등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선호도가 높은 유아는 교사와 친밀한 관계를 맺으며 갈등수준이 낮은 반면에, 사회적 영향력이 높은 유아는 교사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하는 정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선호도 및 사회적 영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분석하고 규명함으로써 영⋅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기 또래관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고, 또래와 교사관계에서 부적응 문제를 보이는 유아들을 위한 중재 및 개입 방안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은퇴한 노인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및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오명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한 노인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및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성인애착을 독립변인, 의사소통을 매개변인, 자아탄력성을 조절변인, 그리고 결혼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광역시(부산, 인천, 광주) 지역의 55-70세의 은퇴한 남녀 노인 총 505명(남: 245명, 여: 260명)이며, 연구척도로는 성인애착척도, 의사소통척도, 자아탄력성척도, 결혼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으로는 성인애착,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결혼만족도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및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측정변수 간 상관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은퇴한 노인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이 매개변수로 기능하지 않는다는 점을 의미한다. 셋째,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자아탄력성이 높은 은퇴한 노인은 자아탄력성이 낮은 은퇴한 노인에 비해 결혼만족도가 더 높으며, 특히 성인애착이 낮더라도 자아탄력성이 높은 은퇴한 노인의 경우 낮은 성인애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아탄력성은 은퇴한 노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조절변인으로 노년기의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치료적 변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위의 연구결과는 은퇴한 노인의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자아탄력성을 촉진하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은퇴한 노인을 위한 교육 및 상담개입에 있어서 유용한 전략을 제공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retired elderly people,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The subjects for the this study were 505 retired elderly(male: 245, female: 260) from Metropolitan area(Seoul, Gyeonggi, Busan, Incheon, Kwangju). The 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 the Communication Scale, Ego-resiliency Scale, and the Quality Marriage Index were administered. The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ose variables among the adult attachment, communication, ego-resilience and marital satisfaction, SEM was used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a two-step technique using SEM analysis of Ping was used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ose variables among adult attachment, communication, ego-resilience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communication was not a significant mediator variable for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ird, ego-resilience was a significant moderator variable for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at is, those with high ego-resilience experienced high adult attachment and much marital satisfaction, and those with low ego-resilience experienced low adult attachment and less marital satisfaction. So it could be said that ego-resilience played a moderating role in reliev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retired elderly whose adult attachment were high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ego-resili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ego-resilience could be as an effective variable in increasing retired elderly's marital satisfaction and could be emphasized as a therapeutic variable in the counseling for the elders. The result of this study, especi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elderly's ego-resilience suggest guidelines for elders' counseling strategies in helping their enhancing marital satisfaction. Finall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es.

      •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 학습방안 : 옛 도읍지와 나라들 단원을 중심으로

        오명자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교육과정 중 문화재 관련 학습은 아동들의 흥미도가 가장 떨어지고 지루하다고 생각해서 수업을 하기 싫어하는 단원이다. 어떻게 하면 아동들이 재미있고 활동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을까하는 학습방안으로 연표, 문화재지도, 역사신문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자는 7차 교육과정의 사회과 4학년 2학기 교과서 1단원 중의 󰡐옛 도읍지와 문화재󰡑부분을 제재별로 문화재 탐구모형 학습을 실시하여 아동들의 역사적 사고력과 역사의식 및 학습 흥미도를 분석해 보았다. 첫째 연표 만들기 학습에서 역사교과가 다른 교과와 구별되는, 시간의 흐름을 이해시키고자 아동자신과 가족들의 연표를 작성하게 하였다. 그리고 연표를 만들어 보게 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을 통하여 과거의 일을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이해를 도모하게 하였다. 그래서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는 주체적 인간으로 자라는 데 도움을 주었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다. 둘째, 문화재지도를 만들어 보게 함으로써 문화재자료 수집, 분석, 정리 등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아동들이 살고 있는 지역과 나라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주고, 그 지역의 문화재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워, 문화재 보존에 대한 역사의식을 고취시키는데 학습의 효과를 보았다. 셋째, 단원을 정리하면서 종합적으로 역사신문을 만들어 보았다. 역사신문 만들기를 통하여 추체험적 역사학습의 중요한 목적인 아동의 역사적인 상상력과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기사 작성의 분담과 편집을 통해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발적인 참여와 민주적인 토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협동심을 높이고 아동들의 다양한 능력을 동원하여 종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탐구능력중심의 학습을 하여 역사의 체계적인 이해와 기본 개념의 파악에 도움을 주었다. 위의 세 가지 각 제재별 수업모형으로 아동들에게 학습흥미를 유발시켜 역사적 사고력 신장과 역사의식을 고취시켰으며, 또한 역사를 과거의 외워야할 것이 많은 옛날 이야기가 아닌, 현재의 삶과 관련된 살아있는 이야기라는 것을 알게 하였다. 그리하여 아동들이 문화재 단원 학습을 자기주도적으로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게 학습동기를 확대시켰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앞으로도󰡐옛 도읍지와 문화재󰡑단원에 대한 학습 방안 연구가 지속되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가 지속적으로 계발되기를 기대한다. Units about cultural assets in the Elementary curriculums are the least favored by the students, since they believe they are very dull and boring. As a way to find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 author started a research focused on a chronological table, a cultural asset map, and a historical newspaper. The author analyzed their historical thinking,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learning interests by carrying out the model lesson with a subject matter of the cultural assets,󰡐The Old Seat of Government and Cultural Assets󰡑, which is a part of the first unit of Social Studies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First, the author asked students to draw a chronological table about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so that they could understand the lapse of time. It was also intended that students could learn from a critical understanding toward human being and the society by knowing the past incidents. As a result, it was helpful for them to grow as an independent person by taking responsible for their behavior and to grow their interests in the lesson. Second, the author asked students to draw a cultural asset map so that they could study on their own by collecting, analyzing and organizing the related materials. This lesson could arise historical consciousness about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by instilling a sense of national pride and waking a sense of precious cultural assets. Third, students made a historical newspaper as a way to summarize the unit. It was intended to raise their historical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that was an important goal of experiential history learning. In the meantim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as a member of a team by writing and editing articles for a newspaper. They could also hav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its concept by carrying out a comprehensive learning. Thanks to the three lesson models mentioned above, students took an interest in the history, could raise their historical thinking skills and instill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Also, they understood that history is not old stories to memorize but is vivid stories related to our current life. As a result, they could have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 unit of cultural assets. It is expected that learning methods regarding󰡐The Old Seat of Government and Cultural Assets󰡑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to make good use in the field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