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부 위장관 질환군별 영향 요인 및 소화기 증상에 관한 비교 연구

        오두남(Doo-Nam Oh)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 위장관 질환군별로 영향 요인과 소화기 증상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03년 10월부터 2004년 10월동안 서울소재 일개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하여 건강검진을 시행한 20-79세 수진자들의 Helicobactor Pylori 및 위내시경 결과와 건강문진표 전산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 자료 중에서 중복 사례와 제외 기준에 해당된 건수를 제외한 최종 2,708건을 x<SUP>2</SUP> 검정 및 ANOVA test로 분석하였다. 상부 위장관 질환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성별, 연령, 직업, 생활습관 요인으로 흡연, 음주, 병태생리적 요인으로 H. pylori 감염여부, 심리적 요인으로 스트레스 등이 있었다. 상부 위장관 질환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소화기 증상은, “위에 음식물이 남아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공복 시에나 식후에 속이 쓰리다”, “신물이 자주 넘어 온다”는 항목이었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상부 위장관 질환별 특성 파악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상부 위장관 질환과 관련된 건강증진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influencing factors and subjective digestive symptoms among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 groups.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results of Helicobactor Pylori test, gastrofibroscopic findings, and the electronic data of medical questionnaires on individuals at the age of 20 to 79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in Seoul from October, 2003 to October, 2004. 2,708 cases are analysed for final with x<SUP>2</SUP> test and ANOVA test.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sex, age and occupation, the living habits factors of smoking and drinking, the pathophysiological factor of H. pylori infection, and the psychological factor of stres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digestive symptoms of the feeling of something remained in the stomach, the burning feeling right after eating or at the empty state of stomach and the frequent reflux of watery acid from the stomach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data in finding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disease and will be applied as basic materials to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methods for health promotion relating to the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

        오두남(Oh, Doonam),박미정(Park, Mijeong) 한국보건간호학회 2018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32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rearing attitude and aggression according to gender.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surve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the 1st to 20th of November 2017, and questionnaires from 266 college stu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using a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ith the PASW/WIN 20.0 program. Results: In male students, self-esteem had perfec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acceptance-rearing attitude and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rejection-rearing attitude and aggression. In female students, self-esteem did not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rearing attitude and aggression. Conclusion: To reduce college students" aggression, it is necessary to build effective strategies to redefin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develop a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considering gender.

      • KCI등재

        재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과 영향요인의 차이

        오두남(Doo-Nam Oh),김선호(Seonho Kim),정미영(Miyoung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가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노인 신체활동 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자료는 보건복지가족부 주관으로 실시되는 전국적 조사인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자료에 결측값이 없는 12,322명이었다. 연구결과 29.9%의 남성 노인과 46.4%의 여성 노인이 신체 비활동군으로 분류되었다. 남성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OR=1.44, p<.001), 교육수준(OR=1.17, p=.026), 거주지역(OR=1.19, p=.016), 주관적 건강(OR=2.18, p<.001), 만성질환 유무(OR=1.23, p=.020), 통증유무(OR=1.24, p=.011), ADL(OR=1.86, p<.001), 낙상두려움(OR=1.26, p=.003), 우울(OR=1.78, p<.001)이었고, 여성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OR=1.54, p<.001), 주관적 건강(OR=1.63, p<.001), 통증 유무(OR=1.45, p<.001), 낙상경험 유무(OR=1.24, p=.001), ADL(OR=1.72, p<.001), 우울(OR=1.46, p<.001)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가 노인의 성별 특성에 부합하는 신체활동 전략 및 프로그램 계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factors affecting on physical activity level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The data was analyzed on 12,322 older adults, aged 65 or above, from the 2008 National Elderly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9.9% of older men and 46.4% of older women were classified as physically inactivity. Second, age(OR=1.44, p<.001), education(OR=1.17, p=.026), location of residence(OR=1.19, p=.016), perceived health status(OR=2.18, p<.001), chronic disease(OR=1.23, p=.020), pain(OR=1.24, p=.011), ADL(OR=1.86, p<.001), fear of fall(OR=1.26, p=.003), depression(OR=1.78, p<.001) predicte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older men. Age(OR=1.54, p<.001), perceived health status(OR=1.63, p<.001), pain(OR=1.45, p<.001), falling experience(OR=1.24, p=.001), ADL(OR=1.72, p<.001), depression(OR=1.46, p<.001) predicte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older women.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helpful to develop effectiv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 KCI등재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대사증후군과 우울의 관계

        오두남(Doonam Oh),김선호(Seonh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거주노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및 개별 위험요인과 우울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자료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중 검진조사 내용이 부실한 자료를 제외한 3,755명이었다. 대사증후군 및 개별 위험인자와 우울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가노인의 대사증후군은 우울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95%Confidence Interval [CI]=0.980-1.569),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혈증(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과 우울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Odds raio[OR]=1.26, 95%Confidence Interval [CI]=1.002-1.584). 여성노인의 경우 대사증후군(OR=1.36, 95%CI=1.029-1.792), 혈당상승(OR=1.41, 95%CI=1.070-1.851), 저HDL-콜레스테롤혈증(OR=1.21, 95%CI=1.078-1.746)과 우울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반면, 남성노인의 경우 대사증후군 및 개별 위험인자와 우울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여성노인의 경우 대사증후군과 우울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었으나, 남성노인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MetS), its component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 analyzed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Ⅴ) 2010-2012.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of 3,755 Korean elderly, aged 65 years and older. A modified version of the criteria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was used to define MetS.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questionnaire of the KNHANES- Ⅴ.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erformed the association between MetS, its components and depression. MetS was not statistically associated depressive symptoms, but low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was statistically associated depressive symptoms(Odds raio[OR]=1.26, 95%Confidence Interval [CI]=1.002-1.584) in older adults. Among elderly women, MetS(OR=1.36, 95%CI=1.029-1.792), elevated fasting glucose(OR=1.41, 95%CI=1.070-1.851), low HDL-C(OR=1.21, 95%CI=1.078-1.746)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depressive symptoms. In conclusion, present study showed an association between Me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community dwelling elderly women but not in men.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체중조절행동 영향요인

        오두남(Doo-Nam Oh),김은만(Eun-Man Kim),김선호(Seonh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체중조절행동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청소년의 체중조절을 위한 교육과 상담의 기초자료를 생성하기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자료는 2011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지난 30일 동안 체중조절을 시도한 적이 있는 중고등학생 37,472명이었다. 연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건강한 체중조절행동(운동, 적절한 식이), 부적절한 체중조절행동(단식, 원푸드 다이어트)과 극단적인 체중조절행동(설사약, 처방받지 않은 약, 식사 후 구토)을 더 많이 하였다. 남녀학생 모두에서 비만할수록 건강한 체중조절행동과 부적절한 체중조절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극단적 체중조절행동 중 의사가 처방하지 않은 약 복용은 남학생의 경우 저체중군에서 여학생의 경우 비만군에서 높았다. 건강한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 학년, 가족풍요도, 어머니 교육수준, 주관적 체형, 비만도였다. 부적절한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 학년, 지역, 아버지 교육 수준, 주관적 체형이었고, 극단적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 학년, 주관적 체형, 비만도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에게 부적절한 체중조절해동의 폐해에 대한 교육과 지속적으로 적절한 식이와 운동을 격려하는 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and correlates of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Korea. We analyzed data on 37,472 adolescents aged 12-18 years from the 2011 7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 the prevalence rate of healthy, unhealthy and extreme weight control behavio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Second, in both genders, healthy and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were more common among obese adolescents than non-obese adolescents. But, use of diet pills were not prescription by doctor was more common in underweight boys and obese girls than others. Third, gender, school, family affluence scale, mothers education level, body shape perception(BSP), weight status predicted prevalence rate of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Gender, school, region, fathers education level, BSP predicted prevalence rate of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Gender, school, BSP, weight status predicted prevalence rate of extreme weight control behavior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s to design appropriate prevention program that can induce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 KCI등재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 경험

        오두남(Oh, Doo Nam),엄영란(Um, Young-Rhan),김춘미(Kim, Chunmi),주세진(Ju, Sejin),최정현(Choi, Jung Hyun),박명숙(Park, Myung Sook) 한국간호교육학회 2016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p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In-depth interview was done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on 32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practic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Results: Core category of cop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was ‘trying to be a meaningful presence’ while clinical practice. Students’ coping strategies were ‘overcoming inexperience’, ‘receiving the recognition from the clinical instructors’, and ‘governing mind and body’. Helping components for their coping behaviors were ‘support from people’, ‘personal experience before clinical practice’, ‘dynamics with partners’. Through the coping experi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nursing students became mature and confirmed their identities as student nurses. Conclusio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practice tried to be a meaningful presence.

      • KCI등재

        Functional Health Status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Pattern of General and Vulnerable Older People in Community

        Doonam Oh(오두남),Hyoseon Jeong(정효선),Jeonghae Hwang(황정해)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최근 고령 사회에서는 지역사회중심의료로의 전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일반 노인과 취약계층 노인 각각에 대해 기능중심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및 요구 인식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6년 11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 일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노인의 건강기능 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를 파악하였다. 취약계층 노인은 일반 노인보다 인지기능, 영양, 통증, 낙상 등에서 기능적 건강상태 저하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 영양과 같은 기능적 건강문제를 경험한 일반 노인은 취약계층보다 유의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취약계층 노인은 통증 건강문제 영역에 있어서는 일반 노인보다 의료서비스 이용의 필요성을 더 유의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공공 서비스 확대의 방향과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 일반 노인과 취약계층 노인 간에는 차별화된 정책이 설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취약계층의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해서는 경제적 장벽으로 인해 필요한 의료이용의 장애가 초래되지 않도록 공공의료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functional health status and medical service experience and needs between general and vulnerable older people in community.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The data obtained through direct visit survey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6.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study was older people over 65 years old, the final study subjects were 444 older people residing in one district of Seoul.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ir functional health areas and medical service experiences, and the necessity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in accordance to the social class. In the experience of abnormality in functional health, the vulnerable older people had higher experience in cognitive function, nutrition, hydration, pain, and falling than the general older people. The rate of experience of using medical service to solve the cognitive function problem for general older people was 31.9%, higher than that of the vulnerable older people. In contrast, the medical service utilization needs of the vulnerable older people in the pain management catego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older people. In setting policy of public medical service programs for general and vulnerable older people in community may be differentially developed based o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medical accessibility of the vulnerable older people, public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to overcome obstacles to medical use due to economic barriers.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미정(Mijeong Park),오두남(Doonam Oh)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6년 6월 1일부터 10일까지 C와 S시에 소재한 2곳의 대학에 재학 중인 22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의사소통 기술은 점수가능범위 1~5점 중 2.13점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지각된 가정경제 수준과 여가활동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의사소통 기술은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대인관계 만족도에 대한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지각된 가정경제 수준 및 여가활동 여부의 설명력은 26.7%였으며, 의사소통 기술은 대인관계 만족도를 18.4%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넷째,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성별, 학업 성취도, 지각된 가족경제 수준 및 여가활동 여부의 설명력은 33.0%였으며, 의사소통 기술은 주관적 행복감을 0.3%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만족도 및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의사소통 관련 교육이 주요 중재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of college students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22 students attending two universities located in C and S cities between June 1 and June 10, 2016, and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be 2.13 out of 1~5 point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perceived home economy level, and leisure activities. Second, communication skill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Third, in relation to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sex, grade,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family economic level and leisure activity was 26.7%, and communication skills further explained 18.4%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Fourth, in relation to subjective happiness, the explanatory power of subjectiv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family economic level and leisure activity was 33.0%, and communication skills further explained only 0.3% of subjective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cation-related education can be used as a major intervention strategy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와 치매예방행위에 관한 연구

        박미정(MiJeong Park),오두남(Doonam Oh),문혜경(Heakyung Mo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 및 치매예방행위의 정도, 그리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10월 1일부터 9일까지 국내의 40~60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20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자료는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중 52.7%가 치매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단지 5.9%만이 치매와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둘째, 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에 비해 치매 발병에 대한 두려움은 높았으나, 질병극복에 대한 자신감, 일상생활 유지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가족 및 주변인의 도움에 대한 기대감, 국가의 의료 및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은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치매예방행위를 실천할수록 질병극복에 대한 자신감, 일상생활 유지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가족 및 주변인의 도움에 대한 기대감, 국가의 의료 및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으며, 치료비의 부담감이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질환으로만 생각하였던 치매에 대해 중장년층의 인식 변화와 조기예방을 위한 사회적 제도 마련 및 교육, 홍보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개인적, 사회적 노력은 치매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 · 경제적인 문제를 감소시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o examine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s an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in middle aged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oth sides. In this study, between October 1st and 9th, 2017,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iddle aged people in their 40s~60s in Korea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Finally, 22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52.7% of the subjects were interested in prevention of dementia, but only 5.9% of them had experience of receiving education related to dementia. Second, fear of dementia was higher than cancer, cerebrovascular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but confidence in coping with the disease, expectation of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the daily life, expectation of the help of the family and the surrounding people, expectation of the national medical and economic support were significantly lower. Third, as th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were implemented, the confidence in overcoming the disease, the expectation of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the daily life, the expectation of the help of the family and the surrounding people, the expectation of the medical and economic support of the country increased and the burden of the treatment cost was lowered.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this personal and social effor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by reducing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caused by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