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대윤(沈大允) 형기생성론(形氣生成論)의 역학적 구조

        최정준 ( Choi Jeongjun ),오동하 ( Oh Dongha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8 율곡학연구 Vol.36 No.-

        본고에서는 심대윤의 형기생성론(形氣生成論)에 관한 역학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만물이 형기(形氣)로 구성되었다고 할 때 형기의 생성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는 존재와 인식에 관한 중요한 문제이다. 심대윤 이론에 있어서 기와 형의 생성은 기(氣) 본체론을 전제로 태극→양의→사상으로 분화되는 ‘일생이(一生二)’라는 역학에서의 괘획(卦畵) 생성구조를 토대로 하고 있다. 태극생양의(太極生兩儀) : 태극에서 양기가 생한 후 양기의 굴(屈)과 신(伸)이 상배(相配)하여 음기가 생한다.[生氣] 음기가 양기와 상합(相合)하여 음양의 기를 완성한다[成氣]. 양의생사상(兩儀生四象) : 음과 양이 상합하여 기[成氣]를 이루면, 음과 양에 각각 음양이 내재된다. 이렇게 음기와 양기에 내재된 각각의 음과 양이 상배를 통해 형(形)을 생[生形]한다. 이렇게 생한 형[生形]이 기[成氣]와 상합하여 형이 이루어지게 된다[成形]. 기와 형 모두 상배와 상합을 통한 생기(生氣)→성기(成氣)→생형(生形)→성형(成形)으로 ‘생’과 ‘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구조이다. 심대윤은 어떤 것[物]을 생하기 위해서는 어떤 둘[二者]이 상배하고 어떤 것[物]을 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둘[二者]이 상합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형기생성의 과정에는 또한 심대윤이 만화의 관건이라 한 선후천구조가 일관한다. 태극→양의→사상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선천→후천→선후천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구성하여 종횡적 차원에서 파악하였다. 종적으로는 양이 생하는 선천의 과정[氣之先天], 음양[형기]이 분화하는 후천의 과정[氣之後天], 분화되었던 음양의 형기가 사상에서 교합하여 만물이 이루어진다는 시간적인 차원에서의 선후천구조이다. 횡적 구조는 형기가 생성된 이후 선천인 기 차원의 사상과 후천인 형 차원의 사행이 합하여 하나가 된다는 공간적인 차원에서의 선후천구조이다. 결론적으로 심대윤의 형기생성론은 일생이법(一生二法)에 기초한 역학적 선후천 구조로 짜여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We studied on The structure of Sim, Dae-yun(沈大允)’s Hyeong-Ki(形氣)’s generation and formation(生成). His Hyeong-Ki(形氣)’s theory of generation and formation(生成) is based on I-Ching. There is a principle so called ‘One generates two(一生二)’ In I-Ching. Sim, Dae-yun used it in his Hyeong-Ki(形氣)’s generation and formation(生成) theory as a structure. Tae-Geuk(太極) generates(生) Yang-Eeu(兩儀) : After Tae-Geuk(太極) generates(生) Yang-Ki(陽氣), Yang-Ki(陽氣)’s bend and stretch(屈伸) make a pair(配), and it generates(生) EeumKi(陰氣).[生氣] EeumKi(陰氣) and YangKi(陽氣) combine to form Ki(氣).[成氣] Yang-Eeu(兩儀) generates(生) Sa-Sang(四象) : After EeumKi(陰氣) and YangKi(陽氣) combine to form Ki(氣), Eeum-Yang(陰陽) in EeumKi(陰氣) and YangKi(陽氣) make a pair(配). and it generates(生) Hyeong(形). [生形] Hyeong(形) and KI(氣) combine(合) to form Hyeong(形)[成形] The structure of Sim, Dae-yun’s Hyeong-Ki undergo a generation and formation(生成) process. Hyeong-Ki’s generation and formation(生成) needs making a pair(配) and combine(合) essentially. There is a structure of Seon-Hu-Cheon(先後天) in Hyeong-Ki’s generation and formation. Seonu-Cheon(先天) is vertical structure and Hu-Cheon(後天) is a horizontal structure. Tae-Geuk·Yang-Eeu·Sa-Sang Correspond with Seonu-Cheon· Hu-Cheon(後天)·Seon-Hu-Cheon. In conclusion Sim, Dae-yun’s Hyeong-Ki’s generation and formation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Seon-Hu-Cheon and ‘One generates two’ In I-Ching.

      • KCI등재

        경관생태학적 특성이 조류출현에 미치는 영향 -낙동강 하구를 대상으로-

        김범수 ( Bum Soo Kim ),여운상 ( Unsang Yeo ),오동하 ( Dongha Oh ),성기준 ( Kijune Su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3

        철새도래지로서 기능을 유지하며 지속가능하게 낙동강 하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류서식지의특성을 고려한 토지이용 및 하구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의 조류서식지를 갈대, 갯벌, 경작지, 담수개방수면, 사주, 수변림, 새섬매자기, 수로, 인공물, 초지, 해수·기수개방수면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총 11개의 유형으로 분류한 후 12개 조사권역으로 구분하여 서식지 및 경관 특성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하구의 주요 조류 서식지 중 갯벌, 인공물, 경작지, 갈대 등 4개의 유형이 전체 육역 면적의약 80%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인공물과 경작지의 비율이 높아 대상 지역이 인간의 간섭을 많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서식지를 구성하는 패치수와 밀도는 서낙동강, 삼락둔치, 맥도강, 대저수문 등에서 크게나타나 이들 지역에서 서식지 파편화가 많이 진행되어 있었다. 관찰된 조류의 총 종수와 개체수는 조사면적과 서식지를 구성하고 있는 서식지의 유형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서식지 관리에 있어서 충분한 면적의 확보 특히 새섬매자기 서식지의 보존이 중요하며, 개발 등으로 인한 서식지 감소 시 낙동강하구를 찾는 조류 개체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가 철새서식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서식지의 보존 정책이 먼저 수반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If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to be sustainable, land use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consider bird habitat requirements, especially given that the area serves as an important migratory bird sanctuary. In this study, bird habitats foun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classified into 11 different types including Phragmites australiss, mud flat, farmland, open surface in freshwater, sand bar, riparian forest, Scirpus planiculmis, waterway, construction, grasslands, and open surface in sea or brackish wa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abitat properties, and landscape indices, a total of 12 study sites were analyzed. Mud flat, construction, farmland, and P. australis account for 80% of the total land area. The high area ratio of construction and farmland to other types of habitat revealed a high amount of historical human activity and intervention in the area. Both patch numbers as well as patch density were high in West Nakdong River, Samrak Waterfront, Maekdo River, and Daejeo Floodgate, with these areas showing the greatest fragmentation as well. Total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ea and the number of habitat types. Findings suggest that protecting the habitat area, especially in S. planiculmi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bird habitat management and that future development could result in habitat loss, having a profoundly adverse impact on bird popul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total area should be carefully protected by land use regulation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Nakdong River estuary maintains its functional integrity as a migratory bird sanctuary.

      • 낙동강하류 생태공원의 조류 현황

        이예찬(Yechan Lee),여운상(Unsang Yeo),오동하(Dongha Oh),성기준(Kijune Sung) 한국생태공학회 2021 한국생태공학회지 Vol.8 No.1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is the largest habitat for migratory birds in Korea, and it is an area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due to its wide tidal flats and wetlands with high biodiversity and abundant fishery resources. However, many changes are taking place, such as the destruction of migratory bird habitats due to urban expansion and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role and impact of ecological parks are analyz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birds in the Nakdong Estuary Ecological Park, and furthermore,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data for ecological management. Migratory birds visiting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use the ecological park, but the birds found in the ecological park had a high proportion of resident birds. Also, the species richness index and biodiversity index (species diversity) were lower in the ecological park compared to the Nakdong River estuary.

      • KCI등재

        간이평가법을 이용한 지진재현주기별 부산광역시 액상화 재해 평가

        임현지 ( Hyunjee Lim ),정래윤 ( Rae-yoon Jeong ),오동하 ( Dongha Oh ),강혜진 ( Hyejin Kang ),손문 ( Moon Son ) 대한지질공학회 2020 지질공학 Vol.30 No.4

        과거의 많은 지진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액상화 현상은 부등침하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 건물 파괴, 지반함몰과 같은 심각한 피해를 유발한다. 연구지역인 부산광역시 인근에는 지진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층들이 분포하며 양산단층, 동래단층, 일광단층이 도심지를 통과하고 있다. 또한 최근 발생한 경주, 포항, 일본 구마모토 지진의 영향권 내에 위치하며, 도시 내 넓은 단층곡을 따라서 두꺼운 제4기 미고결 충적층이 발달하고 해안 지역에는 해빈 퇴적물과 함께 매립지가 넓게 분포한다. 따라서 부산광역시 인근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할 경우 도심지 내에 액상화로 인한 큰 피해가 예상되어, 도시 전 지역을 대상으로 지진재현주기별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진재현주기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존재하나 낙동강 하구평야지대와 부산만, 수영만, 송정역 일대에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짧은 지진재현주기일수록 부지주기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결과가 도출된 반면, 재현주기가 길어질수록 부지주기에 관계없이 그 결과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As can be seen in many earthquakes, liquefaction causes differential settlement, which sometimes produces serious damages such as building destruction and ground subsidence. There are many possible active faults near the Busan city and the Yangsan, Dongrae, and Ilgwang faults among them pass through the city. The Busan city is also located within the influence of recent earthquakes, which occurred in the Gyeongju, Pohang, and Kumamoto (Japan). Along the wide fault valleys in the city, the Quaternary unconsolidated alluvial sediments are thickly accumulated, and the reclaimed lands with beach sediment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area. A large earthquake near or in the Busan city is thus expected to cause major damage due to liquefaction in urban areas. This study conducted an assessment of the liquefaction hazard according to seismic recurrence intervals across the Busan city. As a result, al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degree depending on seismic recurrence intervals, it is predicted that the liquefaction potential is very high in the areas of the Nakdonggang Estuary, Busan Bay, Suyeong Bay, and Songjeong Station.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shorter the seismic recurrence interval, the greater difference the liquefaction potential depending on site periods.

      • KCI등재

        낙동강 하구 관리를 위한 조류종의 선정

        김범수 ( Bum Soo Kim ),여운상 ( Unsang Yeo ),오동하 ( Dongha Oh ),성기준 ( Kijune Sung ) 한국환경과학회 2016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5 No.5

        Bird species (B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NRE) were selected to sugges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taking habitats and major threats into consideration. Five BS (Cygnus spp., Calidris alpina, Sterna albifrons, Fulica atra, and Anser fabalis) were selected following analysis of their dominance, national importance, seasonality, taxonomic group, and distribution within the NRE. The BS comprise two winter birds, one summer, one passage bird, and one resident bird. They can also be classified into four taxonomic groups: two under ducks and geese (Anatidae), and one each under gulls (Laridae), shorebirds (Scolopacidae), and diving birds (Rallidae). The results show that BS could be a useful tool in guiding estuary management because their habitats are clearly distinct, and include important areas of the NRE. A reduction of feeding and resting places-such as tidal flats, Scirpus planiculmis habitat, and agricultural farmland-and climate change are major threats to BS, therefore countermeasures to such threat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estuary management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