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기술교육의 역사와 교육적 의미 탐색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4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s (DPRK) technical education has changed with the times. DPRK, which advocated socialist education after liberation from Japan, puts a lot of effort into technology education projects because it needed engineers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the "working-learning education system" paved the way for comprehensive technical education. It also sought to combine general and technical educ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factory university in 1960 and the Technology Obligatory Education System in 1967. Since then, however, technical education has been divided into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and vocational technical education, aiming for expertise of ‘training practical talent.’ During Kim Jong-un's period, with the emergence of advanced technical middle school and the adoption of the Occup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ct, vocational technical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was strengthened. It can be confirmed that DPRK's technical education means expansion of practical knowledge and aims for a personality education perspective through connection with the humanities. In addition, given the narrowing of the gap with the Republic of Korea's education system, it is likely to be an important topic in the field of edu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북한의 기술교육은 시대에 따라 그 성격을 달리 해왔다. 해방 이후 사회주의교육을 표방한 북한은 전후 복구 시기 기술자들이 필요했기 때문에 기술교육 사업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그리고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 체계’가 도입되면서 종합기술교육으로서의 기틀을 다진다. 또한 1960년 공장대학의 창설, 1967년 기술의무교육제를 통해 일반교육과 기술교육의 결합을 꾀했다. 그러나 이후 과학기술교육과 직업기술교육으로 그 개념이 구분되면서 ‘실천형 인재 양성’이라는 전문성을 지향하고 있다. 김정은 시기, 교육 제도 개선에 의해 기술고급중학교가 등장하고, 직업기술교육법이 채택되면서 중등교육에서의 직업기술교육이 강화된다. 이러한 북한 기술교육의 흐름은 실천 지식의 확장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인문학과의 연결성을 통한 인성교육적 관점을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남한의 교육제도와의 간극이 좁아지는 모습을 볼 때, 향후 한반도 교육 분야의 중요한 화두가 될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남북 교류ㆍ협력 시기 통일교육의 새로운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통일교육원의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4

        In 2018, the two Koreas held three inter-Korean summits. The two Koreas entered the era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y forming a single team i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South Korean troupe performing in Pyongyang,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nd the disarmament of the joint security zone. But Unification Education still remains in a state of educational delay based on security. Therefore,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meaning and limitations th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has and look for a new direction of practice. So, I did critical action research.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peace studies and peace education was demanded. For this practice,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antagonist, convert to the concept of 'human security,' value orientation of coexistence rather than competition, accurate review of facts. In the futur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aim for 'unification of people' that can solve the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based on peace studies. 2018년, 남북은 세 차례에 걸친 정상회담과 더불어 평창 동계올림픽 단일팀 결성,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 이산가족상봉행사, 공동경비구역 무장해제 등의 사업을 진행하며 남북 교류ㆍ협력의 시대로 진입했다. 그러나 통일 미래세대를 기르는 통일교육은 여전히 안보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지체 현상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통일교육원의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은 어떠한 의미와 한계점을 가지는지 검토하고, 남북ㆍ교류 협력시기의 통일교육의 새로운 실천 방향을 비판적 실행연구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평화학 및 평화교육 기반의 통일교육이 요청됨을 밝혔으며, 그 실천을 위해 적대자상 해체, ‘인간안보’ 개념으로의 전환, 경쟁이 아닌 공존의 가치 지향, 사실관계의 명확한 검토 등이 수반됐다. 향후 통일교육은 평화학을 기반으로 남북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의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평화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현황과 과제: KCI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2

        In the 2000s, research on peace educatio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owever, qualitative inquiry, which has grown in quantity, is very insignificant. However, unlike the visible quantitative growth, qualitative inquiry is very insignificant. Qualitative inquiry is a research methodology requested in the field of peace education because it can portray the field in more detail and capture the dynamic meanings that occur within it.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the qualitative inquiry of peace education were reviewed. Twenty-seven studies were conducted with action research, field study, interview utilization study, case study, and other studies. The main themes were peace education class research, school violence research, and foreign case studies. The future challenges of qualit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peac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peace education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Second, a detailed review of qualitative inquiry methodologies is needed. Third, a researcher's reflective study is requested. Fourth, the challenge of qualitative writing is needed in various attempts. 2000년대 들어 평화교육 관련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양적으로 성장한 가시적 모습과는 달리 질적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질적연구는 현장을 보다 세밀하게 그려내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역동적인 의미들을 포착할 수 있기에 평화교육 분야에서 요청되는 연구방법론이다. 따라서 평화교육 질적연구의 현황과 향후 과제를 검토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27편의 연구는 실행연구, 현장연구, 인터뷰 활용 연구, 사례연구 기타연구 등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주제는 평화교육 수업 연구, 학교폭력 관련 연구, 외국의 사례연구 등이었다. 평화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평화교육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질적연구방법론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자의 성찰적 연구가 요청된다. 넷째, 다양한 재현의 시도로써 질적 글쓰기의 도전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전후 복구 시기 북한 사회주의교육의 인격교육적 함의: 경험집을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ist education in North Korea is constructed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saramdaum education. Education in North Korea at this time is often assessed in the form of people's mobilization to stabilize the system.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education from the people's perspective. For the study,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primary data published at that time. It examines the educational policy and how it is understood by the people who accept i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and parents' aspirations, along wit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lan to overhaul the educational system, have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building the educational foundation. In addition, continuous re-education of teachers were carried out through correspondence education, and monotechnical education was implemented, which is the basis of the 'learning system at work.'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which charity and autonomy are increased, changing from self-centered to others-centered. It is also a philosophy of saramdaum education to cultivate human beings who can get out of competition. The saramdaum education is a major educational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the comparative review and reflection on inter-Korean education.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이 연구는 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사회주의교육이 어떻게 건설되는가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규명한 후 인격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기의 북한 교육은 체제 안정을 위한 인민 동원의 형태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는 다르게 인민의 시각에서 교육을 바라보고자 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당시에 출간된 1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을 분석하는 데, 교육 정책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인민이 어떻게 만남을 가졌는가에 중점을 둔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북한 당국의 계획과 더불어 교원과 학부모의 열망은 교육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통신교육을 통해 끊임없는 교원 재교육을 실시했고,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 체계의 기반이 되는 단과적 기술교육이 시행되었다. 이는 애타성과 자율성이 함양되고, 자기 중심적에서 타인 중심적으로 변화되어 가는 인격발달의 과정과 맞닿아 있다. 또한 경쟁에서 벗어날 줄 아는 인간을 길러내고자 하는 인격교육의 철학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사람다움’에 관심을 두는 인격교육적 논의는 남북 교육을 비교 검토하고 성찰하는 주요한 교육철학적 배경이 될 수 있기에,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전시관 기반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탐색: 민주인권기념관을 중심으로

        오덕열,김은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2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cultivate the values, attitudes, norms, knowledge, and capabilities that citizens should have in a democratic society has been steadily carried out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With the opening of the Democray and Human Rights Memorial Hall, Korea Democracy Foundation, which has laid the found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attempting to challenge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exhibition hall. The direc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n education connected exhibition that embodies history and presentity together, not just a space to commemorate a specific object or a special period, is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teaching a specific event call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t should have the goal of realizing better democracy in everyday life by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the history and processes that have achieved democracy. Second, it should aim for scalability as an education connected exhibition. Third, it should be not a lecture-oriented education, but an education in which learners themselves explore democracy and human rights. Fourth, a safe space for discussion should be provided regardless of political posi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al cooperation structure with various institutions that are striving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가치, 태도, 규범, 지식 및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은 한국사회의 역사 속에서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그동안 민주시민교육의 근간을 마련해 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인권기념관 개관을 계기로 전시관 기반의 민주시민교육으로의 도전을 꾀하고 있다. 특정 대상이나 특별한 기간만을 기념하는 공간이 아니라 역사와 현재성을 함께 구현하는 전시 연계 교육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이 나아갈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인권기념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민주화운동’이라는 특정한 사건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성취해 나갔던 역사와 과정들을 기억하고 기념함으로써, 일상 속에서 더 나은 민주주의를 실현하려는 목표를 지녀야 한다. 둘째, 전시 연계 교육으로서의 확장성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강의가 중심이 되는 일방향적인 교육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탐구해 나가는 교육방법론적인 제고가 요청된다. 넷째, 정치적 입장과 관계없이 공론의 장이 펼쳐지는 안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여러 기관들과 교육적 협력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평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연구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1

        Due to the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the issue of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becoming an important concern of society. As a result, education on peaceful unification is demanded, but it is still far from the limit of establishing peace as a result of unifi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Peaceful factors should be observed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has the following points. First, learners should utilize their own methods of education. Second, the attitude of looking at conflict from the perspective of 'harmony' is necessary. Third, we need to view North Korean society in an integrated way. Fourth, a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based on peaceful sensitivity is needed. Based on these factors, three unification education activities were approached as an action research. As a result, learners have expanded their thinking about unification and peace, and improved their peace sensibility to understand others.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aim at cultivating a peace sensibility that internalizes peace as 'process'. The educational efforts of learning through reflection should continue. 남북 관계의 변화로 인해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문제는 사회의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평화통일교육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지만, 교육현장에서는 평화를 통일의 결과물로 설정하는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은 ‘과정’ 속에서 평화적 요소가 관찰되어야 한다.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은 첫째, 학습자가 스스로 찾아가는 교육방법으로의 제고, 둘째, 갈등을 ‘해결’이 아닌 ‘조화’의 관점으로 바라보려는 접근, 셋째, 북한 사회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려는 시각, 넷째, 평화감수성에 기반 한 다문화교육적 관점 등의 지향성을 가진다. 이를 토대로 실천한 세 가지 통일교육 활동들은 학습자들에게 통일과 평화에 대한 사고의 지평을 넓혀주었으며, 타자와 더불어 살기 위한 평화감수성 함양에 도움을 주었다. 향후 통일교육은 ‘과정’으로서의 평화를 내면화하는 평화감수성 함양에 목적을 두고 성찰을 통한 배움이라는 교육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뉴노멀 시대 평화ㆍ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1

        The Moon Jae-in government is showing the reflection of the principles of peace education as an educational philosophy while implementing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government. However, du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face-to-face classes were not properly operated, and online education centered on video classes was conducted. However, due to the non-communicative structure, it encountered a limitation that it was difficult to conduct education-lik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real-time video lectures. To do so, first of all, the principles of peace education must be studied under a new media platform. Second, the implications of peace capability in real-time video lectures must be improved. Third, it is necessary to independently set the direction toward onlin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not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As such, the chang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represent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platform, is a great reason to seek directions and tasks for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문재인 정부는 이전 정부와 차별화된 평화ㆍ통일교육을 시행하면서 교육철학으로서 평화교육의 원리가 반영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에 따른 교육 환경의 변화로 인해 대면 수업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으며, 영상 수업 중심의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비소통적인 구조로 인해 교육다운 교육이 수행되기 어렵다는 한계에 부딪쳤다. 따라서 실시간 화상강의를 통한 평화ㆍ통일교육의 검토가 필요하다. 우선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 하에서 평화교육의 원리가 탐구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실시간 화상 강의에서의 평화역량의 함의를 제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면 수업의 대체제가 아닌 온라인 평화ㆍ통일교육으로의 방향을 독자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렇듯 미디어 플랫폼의 발전으로 대변되는 학습 환경의 변화는 향후 평화ㆍ통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모색해야 하는 큰 이유가 된다.

      • KCI등재

        문동환의 삶을 통해 본 교육 실천의 의미 탐색: 인물탐구를 통한 자전적 연구를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2

        My academic foundation, majoring in unification, is education and anthropology of education. However, the life and thoughts of academic mentor Moon Tong-hwan have a great influence on my life, and the encounter with him reminded me of the meaning of education praxis. Therefore, I would like to explore the meaning of education practice through autobiography through people search. Moon Tong-Hwan lived a life establishing the theory and praxis of Christian education. His theory can be summarized as Self-establishment, human liberation, Minjung education, lifesaving, and wandering theolog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oon's life and thoughts through autobiograph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mazing change of life'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education. Second, the Korean trend of Christianity suggests the direction of our education. Third, Korean Unification should be viewed as an important task of nation. Fourth, we should seek theory through practical life. Moon’s idea is also mee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aramdaum education. 통일을 주요한 연구주제로 삼고 있는 나의 학문적 기반은 교육학과 교육인류학이다. 그러나 학문적 스승인 문동환의 생애와 사상은 나의 삶에 큰 영향을 끼쳤고, 그와의 만남은 교육 실천의 의미를 다시금 깨닫게 했다. 그렇기에 인물탐구를 통한 자전적 연구로 교육 실천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문동환은 기독교교육의 학문적 기틀을 다짐과 동시에 교육 실천에 따른 현장성을 함께 정립해오는 삶을 살았다. 그의 기독교교육론은 자아확립, 인간해방, 민중교육, 생명 살림, 떠돌이 신학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문동환의 사상을 자전적 연구로 살펴 본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의 놀라운 변화’의 추구는 교육 실천의 토대가 된다. 둘째, 그리스도교의 한국화는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셋째, 통일을 국가의 중요한 과업으로 보고 있다. 넷째, 실천적인 삶을 통해 이론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동환의 사상은 ‘사람다움’을 추구하는 인격교육의 이론적 토대와도 맞닿아 있다.

      • KCI등재

        평화통일교육의 과제를 통해 본 기독교통일교육의 방향 탐구

        오덕열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3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5

        연구 목적 : 이 연구는 한국에서의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고 평화통일교육의 과제를 검토한 후 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탐구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평화교육은 시민사회로부터 출발한 평화운동 및 교육적 담론이 활성화되며 영역이 확장된 반면, 통일교육은 정부의 통일 및 대북 정책에 따라 계획이 세워져 교육 실천 현장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평화를 염원하는 통일교육의 특성상 두 분야의 접목은 꾸준히 이어져 왔고, 이에 당면한 평화통일교육의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영역의 시대적 흐름을 검토하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평화통일교육의 과제를 기반으로 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 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통일교육은 한반도 평화와 안녕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전쟁과 폭력의 문화에서 평화의 문화로 전환하는데 앞장서는 평화시민 양성을 교육 목표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적대자상의 해체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교수ㆍ학습에 있어 톱다운 방식(top-down)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일상과 연결되는 실천 과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통일교육은 통일이라는 국가적 과업에 목표를 두기 보다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공존할 한반도 내의 평화시민의식을 고양시키는 것이 한반도 평화의 문화 조성에 전진하는 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tasks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historical trend of peace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the tasks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are reviewed. Peace education has expanded with the activation of peace movements and educational discourse starting from civil society, while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planne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unification and North Korea policy and is moving toward the field of education practic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unification education that aspires for peace, the combination of the two fields has continued steadily, and research on peace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The direction and tasks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were proposed based on the tasks of peace unification education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the trend of the times in the two areas to carry out the research purpose. For the sustainability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as a peace education should aim to foster peaceful citizens who take the lead in transitioning from a culture of violence to a culture of peace. To this end, first,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dissolution of the antagonist image. Second, activities that guarantee learners' subjectivity and autonomy should be carried out away from the top-down method in teaching and learning. Third, a curriculum connected to daily life should be formed.

      • KCI등재

        자궁의 의료문화적 위상: 여성 연구자와 남성 연구자의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오덕열,심지원 한국생명윤리학회 2023 생명윤리 Vol.24 No.2

        This paper critically approaches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the uterus in Korean society, discussing it in the context of uterine vaccines, menstruation, and cervical cancer. The two authors, each of different genders, explored the meaning of the uterus based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The female author examined the process of deciding to undergo a hysterectomy due to a uterine condition, while the male author observed his mother, who chose not to have her uterus removed despite having uterine cancer.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with the uterus of the two authors of different genders enabled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This paper examines the medical and cultural status of the uterus through 1) whether naturalness and side effects can be a basis for opposing hysterectomy, 2) menstruation as a substitute for femininity, and 3) the discourse on 'artificial uteri' and the significance of 'cervical cancer vaccines'.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criticizes the perspective of assessing women's normality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terus. The paper argues that the discourse on the uterus should extend beyond its connection to women and femininity, including future discussions on issues such as the rights of disabled people, the removal of uteri from disabled women without their consent, pregnancy and reproduction in transgender men, uterine transplants, and artificial uteri in future soc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