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화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현황과 과제: KCI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and Tasks of Qualitative Inquiry in Peace Education: Focusing on KCI Published Pap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58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000s, research on peace educatio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owever, qualitative inquiry, which has grown in quantity, is very insignificant. However, unlike the visible quantitative growth, qualitative inquiry is very insignificant. Quali...

      In the 2000s, research on peace educatio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owever, qualitative inquiry, which has grown in quantity, is very insignificant. However, unlike the visible quantitative growth, qualitative inquiry is very insignificant. Qualitative inquiry is a research methodology requested in the field of peace education because it can portray the field in more detail and capture the dynamic meanings that occur within it.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the qualitative inquiry of peace education were reviewed. Twenty-seven studies were conducted with action research, field study, interview utilization study, case study, and other studies. The main themes were peace education class research, school violence research, and foreign case studies. The future challenges of qualit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peac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peace education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Second, a detailed review of qualitative inquiry methodologies is needed. Third, a researcher's reflective study is requested. Fourth, the challenge of qualitative writing is needed in various attemp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들어 평화교육 관련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양적으로 성장한 가시적 모습과는 달리 질적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질적연구는 현장을 보다 세밀하게 그려내고, ...

      2000년대 들어 평화교육 관련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양적으로 성장한 가시적 모습과는 달리 질적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질적연구는 현장을 보다 세밀하게 그려내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역동적인 의미들을 포착할 수 있기에 평화교육 분야에서 요청되는 연구방법론이다. 따라서 평화교육 질적연구의 현황과 향후 과제를 검토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27편의 연구는 실행연구, 현장연구, 인터뷰 활용 연구, 사례연구 기타연구 등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주제는 평화교육 수업 연구, 학교폭력 관련 연구, 외국의 사례연구 등이었다. 평화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평화교육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질적연구방법론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자의 성찰적 연구가 요청된다. 넷째, 다양한 재현의 시도로써 질적 글쓰기의 도전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가영, "회복적 정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사안처리 실태 및 개선 방안: A지역의 FGI 분석과 J중학교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교육법학회 31 (31): 41-72, 2019

      2 정진, "회복적 생활교육 학급운영 가이드북" 피스빌딩 2016

      3 김문귀, "회복적 경찰활동에 관한 연구 - 회복적 경찰활동 관련 위법성 및 책임 문제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8 (8): 251-279, 2020

      4 심보영, "회복적 경찰활동 운영 성과와 향후 과제" 한국피해자학회 28 (28): 213-238, 2020

      5 이승협, "회복적 경찰활동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대학 19 (19): 211-242, 2019

      6 임재연, "화해 진행자가 경험한 학교폭력 피해․가해학생의 화해와 회복의 요인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33 (33): 509-535, 2019

      7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8 Hill, C, "합의적 질적 연구 – 사회과학 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 학지사 2016

      9 박보영, "한국의 평화교육 연구사: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11 : 17-196, 2005

      10 강순원, "한국 평화교육의 비판적 검토: 유네스코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63-194, 2020

      1 이가영, "회복적 정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사안처리 실태 및 개선 방안: A지역의 FGI 분석과 J중학교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교육법학회 31 (31): 41-72, 2019

      2 정진, "회복적 생활교육 학급운영 가이드북" 피스빌딩 2016

      3 김문귀, "회복적 경찰활동에 관한 연구 - 회복적 경찰활동 관련 위법성 및 책임 문제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8 (8): 251-279, 2020

      4 심보영, "회복적 경찰활동 운영 성과와 향후 과제" 한국피해자학회 28 (28): 213-238, 2020

      5 이승협, "회복적 경찰활동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대학 19 (19): 211-242, 2019

      6 임재연, "화해 진행자가 경험한 학교폭력 피해․가해학생의 화해와 회복의 요인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33 (33): 509-535, 2019

      7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8 Hill, C, "합의적 질적 연구 – 사회과학 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 학지사 2016

      9 박보영, "한국의 평화교육 연구사: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11 : 17-196, 2005

      10 강순원, "한국 평화교육의 비판적 검토: 유네스코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63-194, 2020

      11 이동기, "한국 세계시민교육이 나아갈 길을 묻다" 살림터 157-177, 2020

      12 김다원, "한국 국제이해교육 이행 현장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44-95, 2017

      13 황홍렬, "학교폭력으로부터 평화로운 학교 만들기를 위한 교회의 선교과제: 좋은교사운동의 회복적 생활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선교신학회 (49) : 433-474, 2018

      14 박정욱,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9-99, 2019

      15 서정기, "학교폭력 이후 해결과정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5 (15): 134-163, 2012

      16 홍봉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회복적 정의 실천모형 적용에서의 학교사회복지사의 실행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5) : 303-337, 2016

      17 강순원, "필리핀의 평화교육과 평화과정: 민다나오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19 (19): 203-225, 2009

      18 서보혁, "평화학과 평화운동" 모시는 사람들 2016

      19 이동희, "평화통일 운동, 교회에서 먼저 시작됐다"

      20 Galtung, J, "평화적 수단에의한 평화" 들녘 2000

      21 정주진, "평화를 보는 눈" 개마고원 2015

      22 조정아, "평화교육의 실태와 쟁점: 통일교육과의 접점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9

      23 정영수, "평화교육의 과제와 전망" 31 (31): 173-193, 1993

      24 오덕열, "평화교육으로의 재구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6 (16): 33-65, 2021

      25 정지수, "평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0년~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한국인격교육학회 14 (14): 65-86, 2020

      26 정지수, "평화교육 실천가들의 내러티브를 통한 평화교육의 의미 탐색"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4 (14): 97-137, 2019

      27 오덕열, "평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연구" 한국인격교육학회 13 (13): 75-107, 2019

      28 강순원, "평화ㆍ인권ㆍ교육" 한울 2000

      29 이슬기, "평화․통일교육의 방향 모색: 탈분단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5) : 83-102, 2019

      30 박성용, "평화 실천을 위한 사회적 기획: 네트워크형 시민평화대학의 가능성을 향하여" 아름대운재단 2015

      31 오인탁, "통일준비" 오름 129-168, 1997

      32 유형철, "초등학교 학교폭력업무 담당 교사의 인식 및 경험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5 (25): 177-198, 2018

      33 송명현, "초·중등학교 통일 교육과정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20, 2016

      34 김미경, "청소년을 위한 비폭력대화" 우리학교 2013

      35 김영천, "질적연구에서의 글쓰기: 문학적 표현양식들의 이해"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6 (56): 187-222, 2008

      36 이상우, "질적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549-603, 2017

      37 김영천, "질적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299-297, 2017

      38 전가일, "질적연구, 계획에서 글쓰기까지" 학이시습 2021

      39 배은주, "질적 연구의 최근 동향과 그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11 (11): 1-27, 2008

      40 조용환, "질적 연구의 글쓰기 작업" 한국교육인류학회 3-29, 2019

      41 Eisner, E, "질적 연구와 교육" 학이당 2004

      42 Cresswell, J, "질적 연구방법론 – 다 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3

      43 조용환, "질적 연구논문의 작성과 평가" 서울대학교 교수학습센터 글쓰기교실 2011

      44 곽영순,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2009

      45 고은경, "지역 기반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실천 사례: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의 활동 경험" 글로벌교육연구학회 8 (8): 33-57, 2016

      46 박순용,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치의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5-79, 2010

      47 손석영, "자기 연구(Self-study)를 통한 역사 교사의 교사 교육과정 성찰 -‘평화통일’에 관한 한국 현대사 수업과 수행평가 결과 간 괴리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와교육학회 (31) : 63-101, 2020

      48 조정호, "인격교육 연구방법 소고: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인격교육학회 4 (4): 47-65, 2010

      49 손수민, "유아 통일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보육학회 19 (19): 129-144, 2019

      50 강순원, "영국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평화적 영성과 교육 : Darvell과 Beechgrove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신학사상연구소 (143) : 247-276, 2008

      51 이부미, "연극놀이를 활용한 평화교육 사례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1 (11): 231-264, 2007

      52 김미경, "어린이를 위한 비폭력대화" 우리학교 2015

      53 이성희,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5

      54 박애경, "세계시민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수업 실천: ‘지구촌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121-157, 2017

      55 APCEIU, "세계시민교육 정책 개발을 위한 가이드북" 유네스코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7

      56 서정아, "서클타임 실전 매뉴얼" 비폭력평화물결 2017

      57 Rosenberg, M, "비폭력대화 – 일상에서 쓰는 평화의 언어, 삶의 언어" 한국NVC센터 2016

      58 Rosenberg, M, "비폭력대화 – 인성, 갈등, 화해" 북스타 2016

      59 강순원, "분단의 벽은 학부모들의 통합교육 열망에 의해 무너질 수 있었는가? - 북아일랜드 통합교육운동에서의 학부모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1 (11): 49-80, 2016

      60 권순정,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모색: B중학교 평화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8 (58): 245-273, 2020

      61 박순용, "미래를 여는 교육학" 박영스토 2019

      62 윤택림, "문화와 역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아르케 2004

      63 오덕열, "문재인 정부 통일교육에 관한 평화교육적 고찰: 2019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3 (33): 47-71, 2020

      64 이대훈, "모두가 모두에게 배우는 P.E.A.C.E. 페다고지 평화교육" 피스모모 2016

      65 윤세병, "동아시아사 수업과 평화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47) : 241-280, 2015

      66 차보은,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을 위한 수업방안 탐색: 조선통신사 기억의 장소를 통한 트랜스문화학습"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5 (15): 135-180, 2020

      67 김하연, "도덕과 통일교육 학술 연구 경향 분석" 한국윤리교육학회 (48) : 85-115, 2018

      68 오인탁, "대학과 생명교육" 73 : 64-78, 1995

      69 조인실, "다문화 공감교육 실천 사례 연구 -비폭력대화와 회복적 정의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5) : 89-130, 2017

      70 박명규, "녹색평화란 무엇인가" 아카넷 2013

      71 오덕열, "남북 교류ㆍ협력 시기 통일교육의 새로운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통일교육원의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21 (21): 239-275, 2018

      72 성백,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통일교육연구의 동향분석"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55) : 97-119, 2017

      73 김경은, "기독교 화해사역을 위한 공동체 연구: 북아일랜드 코리밀라 공동체(Corrymeela Community)의화해영성"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89 : 47-75, 2017

      74 이혜란, "국내 통일교육 관련 연구 동향: 2010년-2019년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57-276, 2020

      75 김창근, "교육대학생들의 통일 및 학교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본 대학통일교육의 과제: 2016~2019년「북한과 통일론」의 사례" 한국윤리학회 1 (1): 1-79, 2020

      76 McKernan. J, "교육과정 실행연구" 교육과학사 2015

      77 이종승, "교육, 심리, 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9

      78 염지숙,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2

      79 Mills, G. E,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우리교육 2005

      80 정민주, "교사들의 회복적 생활교육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9 (19): 37-73, 2016

      81 손진, "경찰의 회복적 사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피해자학회 28 (28): 29-60, 2020

      82 황현정, "가치를 다루는 역사수업의 실제와 가능성 - 민주시민 교육을 위한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4) : 213-254, 2016

      83 UNESCO, "UNESCO and education" UNESCO 2011

      84 Merriam, S, "Qualitative Research in Practice" Jossey-Bass 2002

      85 UNESCO, "Policy guidelines on inclusion in education" UNESCO 2009

      86 Bajaj, M, "Encyclopedia of Peace Education" IAP 2008

      87 Reardon, B, "Education for a Culture of Peace in a Gender Perspective" UNESCO 2001

      88 Zehr, H, "Changing Lenses: A New focus for Crime and Justice" Herald Press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66 0.75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