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지역 석관묘유적의 특징과 성격

        오대양(Oh, Dae-Yang)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이 글에서는 북한지역 석관묘유적을 대상으로 구조와 형식특징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각 형식별 석관묘제의 변화상을 4단계로 나누어 살핀 후 요동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이 지역 석관묘제의 출현과 그 시대적 배경을 추론하였다.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북한지역 석관묘의 출현과 확산과정은 동시기 유행된 고인돌 및 요동지역과 연계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대동강유역에서는 기원전 13세기 전후(1단계) 얇은 판석 여러 개를 세워 만든 탁자형 고인돌이 축조되는데 주변에서는 구조와 출토유물이 유사한 석관묘가 확인된다. 동일한 현상이 요동 남부지역에서는 적어도 기원전 16세기부터 관찰되며, 두 지역 석재무덤의 출토유물 또한 계통성이 확인되어 해안지역을 따라 서북한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추정할 수 있겠다. 이후 제2 3단계(기원전 9~6세기)에는 석관묘와 고인돌의 수량이 점차 증가하고 묘실의 구조적 특징이 보다 유사해지면서, 두묘제의 특징이 결합된 새로운 묘제, 즉 석관형 석곽묘(Ⅰ형)가 출현한다. 또한 이 시기의 고인돌 중에는 정연한 형태의 단일 적석묘역을 가지며 받침돌이 두껍고 대형화 된 것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고인돌 주변으로 소규모의 석관묘가 분포하는 특징은 두 묘제의 관계를 이해 할 수 있는 한 자료가 될 수 있겠다. 제4단계(기원전 5~3세기)에는 고인돌과 석관묘의 수량이 점차 감소하며, 소멸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혼축형 석관묘가 확인된다. 또한 석곽 내부에 석관대신 목관이 조성된 Ⅱ형 석곽묘가 출현하는데 모두 세형동검기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중 평양 신성동 석곽묘에서는 심양 정가와자 목곽묘 출토품과 유사한 다뉴조문경 및 비파형동검이 출토되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요컨대, 미송리문화가 소멸되는 4단계에 진입하면 서북한 전체에서 새로운 문화의 국면으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review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the forms of stone-lined tombs in the North Korea regions. It also classified the change patterns of stone-lined tomb system into 4 Phases by form and inferred the emergence of stone-lined tomb system in the region and background of the time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Liaodong region.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Emergence of stone-lined tombs in the North Korea regions and their expansion process should be studied in connection with dolmens that were widespread at that time and Liaodong regions. In the basin of Daedong River around 13th century B.C.(Phase1), table-type dolmens were built by standing up several thin flag stones, around which we found stone-lined tombs that are similar to those dolmens intermsof structure and there lics buried. Same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southern part of Liaodong beginning from 16th century B.C. at the earliest. As the close connections were found between the relics excavated in the stone tombs of the two regions, it was assumed that they were expanded to the west of the North Korea regions along the coastal areas. Since then, the numbers of stone-lined tombs and dolmens gradually increased in the Phase 2 and 3 (9th~6th century B.C.)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amber of the dead became more similar, new type of tomb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wo tomb systems, that is the stone-lined tombs (I-type) emerged. In addition, among the dolmens of the times, arranged and unified red stone-lined tombs with thick and large pedestal emerged. Around the dolmens, small-sized tombs were distributed and such characteristics can be evidence materials with which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two tomb systems. In the Phase 4 (5th~4thCenturyB.C.), then umber of dolmens and stone-lined tomb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combined types of stone-lined tomb swere found, which show s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extinction. Also, there emerged II-type stone-lined tomb sof which coffin was made of wooden rather than stone. From the tombs, fine-shape bronze swords were found. Among them, there were rough-patterned mirror sandlute-shaped bronzes words found in the stone-line tomb in Sinseong-dong, Pyeongyang. The yare similar to there lics excavated in the wooden-lined tomb in Zhengjiawazi, Shenyang. In short, entering in to the Phase 4 when the Misongri Culture wasexting uished, it began the period of new culture in the whole west region of North Korea.

      • KCI등재

        송국리형 묘제 연구의 최근 동향과 쟁점

        오대양(Oh, Dae-Yang) 고려사학회 2021 한국사학보 Vol.- No.82

        이글은 송국리형 묘제 연구의 최근 동향과 쟁점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전기단계 묘제와의 연속성 문제, 그중에서도 고인돌문화와의 상관성 문제를 중심으로, 그러한 논의들의 주요 현안 및 결론에 이르게 되는 과정 등을 종합적으로 살폈다. 이와 함께 향후의 연구과제 및 이를 위한 방향성 제시 등 몇 가지를 검토하였는데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송국리형 묘제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았던 초창기의 연구에서는 고인돌과 송국리형 묘제가 공반되는 사례가 드물어 양자를 배타적으로 보는 인식이 강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지속적인 자료의 축적을 통해 송국리문화와 고인돌은 일정한 지역성을 띠면서 상호간에 영향관계에 있다는 사실이 차츰 드러나고 있다. 둘째, 최근의 연구와 같이 송국리형 묘제가 형성 및 확산되는 과정에는 석관묘・석개토광묘・옹관묘 등의 전형적인 세트관계 외에도 보다 다양한 요소가 복합된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금강하류지역에 한정되어 전형성을 보이는 송국리형 묘제의 패턴은 ‘송국리문화의 묘제’중 하나일 뿐, 그 자체가 송국리문화 전체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는 지적이 관련 연구자들에게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그렇기에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고인돌과의 관계성 문제와 함께 여타 전기단계 묘제들과의 보다 포괄적인 측면에서의 관계성 고찰 역시 남겨진 과제가 된다. 셋째, 고인돌의 덮개돌과 달리 석관묘의 개석은 외부에 노출될 목적이 부여되지 않는다. 그러한 맥락에서 송국리 1호 석관묘의 개석이 한 장의 커다란 판석재로 구성된 점, 그리고 그 상면에 다수의 성혈이 새겨져 있는 점 등은 여러모로 보아 덮개돌(고인돌)의 규격과 기능(노출)을 차용한 듯한 인상을 준다. 유력자의 무덤을 조성함에 있어 상호 이질적인 두묘제의 유사한 상장풍습을 공유하거나 제 요소가 복합된 현상은 여러 가지 면에서 시사점을 준다. 그렇기에 두묘제의 요소가 복합되어 있는 송국리1호 석관묘의 기능과 성격에 대한 문제 역시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이는 결국 석관묘가 중심이 되는 송국리형 묘제의 출현 및 형성과정에 있어 전기 단계의 묘제, 그중에서도 고인돌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문제로 다시 회귀된다. 또한 송국리 1호 석관묘의 시간적 위치를 재점검함은 물론 그 조영집단의 성격문제, 나아가 송국리유적내 전기와 중기집단의 연속성 문제를 아울러 고찰할 수 있다. This study reviews recent trends and controversial issues of the studies of Songgukri-style tombs. Focusing on the continuity with the tombs in the earlier stage, especially for the correlation issues with dolmen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major issues comprehensively and the whole process to reach to conclusions. This study also reviewed several aspects such as further research tasks and suggestions for research direction to pursue. The major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stage of research when the concepts of Songgukri-style tombs were not clear, there were few cases in which dolmen and Songgukri-style tombs were accompanied. For this reason, there were strong tendencies to recognize both exclusively. However, through the steady accumulation of materials since the 1990s, it has been gradually revealed that there were influential relations mutually between Songgukri culture and dolmens showing specific locality. Seco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elements were mixed in the process to form and expand Songgukri-style tombs, rather than typical set relationships such as stone-lined tombs, stone-lined tomb, pit-type tombs with a stone lid, and jar-coffin tomb. In particula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typical patterns of Songgukri-style tombs which were restricted to the downstream region of Geumgang River are just “one of the tombs of Songgukri culture” and it does not represent the whole Songgukri culture. Many relevant researchers agreed about this point of view. Therefore, investigations on its relationship with dolmens, which was studied intensively in this study, are the research tasks to pursue along with studies of relationship with other tombs in early times in more comprehensive aspect. Third, the stone lid of stone-lined tombs, unlike the stone lids of dolmens, had no purpose to be exposed outside. In that sense, the stone lid of the Songgukri stone-lined tomb #1 gave an impression that it adopted the size of the stone lid of dolmen and function (exposure) in the aspects that it consists of a single big panel stone and there were many holes on the surface of the top. It was noted that similar funeral conventions were shared in such different tombs and various elements were mixed there, which provides a lot of suggestions. Therefore, issues on the functions and nature of the Songgukri stone-lined tomb #1, which had mixed elements of two tombs, would be an important research task. Such issue returns to the topic of the relationship with tombs in early times, especially for with dolmens when studying the emergence and formation process of Songgukri-style tombs, which were mostly stone-lined tombs. In addition, further studies can review the times of the Songgukri stone-lined tomb #1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group that built the tombs, and the continuity issue of early and middle-stage tombs in the relic site of Songgukri.

      • KCI등재

        요동지역 석관묘문화의 특징과 전개양상 검토

        오대양(Oh, Dae-Yang)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6

        본고에서는 요동지역 석관묘유적의 분포와 형식특징, 단계별 변화상 등을 분석하여 이 지역 석관묘문화의 특징과 전개양상의 대략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향후 주변지역 석관묘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그 변천과정과 상호 연관성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목적이 있음을 밝혀두며,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최근 요동지역 석관묘의 기원문제에 관하여 요북지역의 마성자문화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기로 편년되는 일부의 유적에서는 요남지역의 문화요소가 공반되는 관계로 이지역 석관묘문화의 출현과 형성과정은 요남지역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먼저 가장 빠른 연대를 보이는 요남지역의 Ⅰ형 석관묘는 동일유적내에서 고인돌과 공존하는데, 출토유물 성격상 양자는 동일한 계통의 사람들이 남긴 묘제로 볼 수 있다. 요남지역의 석관묘는 지속된 연대에 비해 발견된 숫자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점, 또한 상부구조가 이미 파괴되었을 경우 고인돌과의 구분이 모호한 점 등 몇 가지 측면에서, 고인돌에 부속되거나 혹은 그 하부구조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요남지역의 Ⅰ형 석관묘는 고인돌에 부속되는 하위유형의 묘제로 존재하였다가, 고인돌문화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 중 마성자문화와의 교류를 통해 요북지역에까지 파급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외에 요북지역에서 확인되는 나머지 3가지 형식의 석관묘는 기본적으로 마성자문화에 기반하여 출현하였음을 논증하였다. 하지만 제Ⅱ형식과 Ⅳ형식 석관묘는 제Ⅰ형식과의 연관성이 충분히 고려되는 만큼 요동지역의 석관묘문화는 마성자문화를 바탕으로 요남지역의 문화요소가 상호 복합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겠다. This study analyzed stone-lined tombs in Liaodong focusing on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forms, and changes by stage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stone-lined tomb culture in this region and outlines of their development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 basic research to identify the transition process and correlations with stone-lined tomb culture of neighborhood region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Regarding the origin of stone-lined tombs in Liaodong, Machengzi culture has been paid attention recently. However, because they were associated in some parts of cultural aspects of Lianan area, the emergence and forming process of stone-lined tomb culture in Liaodong should be reviewed in connection with Lianan area. First of all, some of I-type stone-lined tombs in Lianan area, which was the earliest in terms of era, coexisted with dolmens. Based on the properties of relics found, it is assumed that both types of tombs were for the people of same lineage. In some aspects including that the stone-lined tombs in Lianan area were found relatively few compared with the period of life, and that the distinction from dolmen would be ambiguous if the upper structure was damag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tone-lined tombs belonged to substructure of the dolmen or were affiliated with dolmen.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I-type stone-lined tombs in Lianan area existed as the sub-structure attached to dolmen, and they were spread to Liabei region through exchange with Machengzi culture in the process that dolmen culture was expanded to nearby regions. It was proved that other three-type stone-lined tombs found in Liabei were emerged based on Machengzi culture. However, as I-type had sufficient connection with type-II and type-IV stone-lined tombs, it was assumed that stone-lined tombs in Liaodong developed in complex forms mixed with the cultural elements of Lianan area based on Machengzi culture.

      • KCI등재

        금강하류지역 석관묘제의 구조와 성격 : 청동기시대 묘제의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예비적 검토

        오대양(Oh Dae-Yang)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6

        주지하다시피, 금강하류지역 청동시기대의 중심 묘제는 복판식의 석관묘이다. 2000년대 초반 이와 공존하는 석개토광묘, 옹관묘 등이 소위 송국리형묘제로 설정된 이래, 최근에는 고인돌 역시 그러한 묘제 범위 속에서 이해되고 있다. 이처럼 각기 상이한 종류의 묘제형식에서 공유되는 몇 가지 속성들을 간추려 보면 송국리문화의 중신권역인 금강하류에서만 관찰되는 지역적 특수성과 문화권 전체에서 확인되는 보편성 등으로 구분된다. 그것은 각 묘제의 부장품 구성과도 연동되어 당시 사회의 매장풍습이나 묘제적 전통에 관여되었을 정신문화적 세계관, 즉 그들이 신앙하였을 종교적 가치관의 일면을 제한적이나마 추론케 한다. 본고에서는 고인돌과 석관묘의 매장주체부가 유사해지는 현상 그리고 지역 문화권 전체에서 보편적으로 확인되는 무덤 상부의 석개적 구조 등을 송국리형묘제의 주요 특징으로 파악하여, 그러한 묘제적 전통이 성립되는 과정에서의 사회적 의미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As you noted, the main tomb system in the Bronze Age in the downstream region of the Geumgang River was the stone-lined tomb with multiple panels. Since the 2000s, pit-type tombs with a stone lid, jar-coffin tombs, etc., have been classified as the Songkukri-style tomb system. Recently, dolmens are recognized to belong to such a tomb system. Summarizing a few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hared for each different tomb system, they can be classified as regional particularities observed in the downstream region of the Geumgang River, a central zone of Songgukri Culture, and universal features found in the entire cultural zones. The tomb systems were also connected to the structure of burials in each system based on which we can restrictively assume some parts of mental and cultural beliefs of people, that is, religious sense of value that they believed in. This study is a preliminary review for a network analysis of the tomb systems in the Bronze Age. It noted two things a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onggukri-style tomb system: the similarities of the buried subjects in dolmens and stone-lined tombs and the stone-lid structure of the top of the tombs, the latter of which was commonly found in the entire regional culture zones.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social significance in the formation process of such tomb traditions.

      • KCI등재

        한강본류유역 고인돌유적의 성격

        오대양(Oh, Dae-Yang) 백산학회 2008 白山學報 Vol.- No.79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묘제로서 다른 유적보다도 그 모습이 쉽게 눈에 띠어 일찍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현재까지의 조사에 의하면 한강본류유역에는 총 362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한강하구일대의 서해안지역과 인접한 곳에 집중된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강변에 인접한 지역보다는 각각의 대ㆍ소하천을 중심으로 크게 5개의 밀집군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류에서 상류로 올라갈수록 고인돌 수와 밀집 정도는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제Ⅰ밀집군의 고인돌 축조인들은 직경 25㎞ 정도의 생활영역을 가진다. 당시 사회는 농경을 기반으로 한 사회였으며, 고인돌이 축조되어진 중심연대는 기원전 10~8세기 정도로 추정된다. 또한 내부적으로 계층적 구조가 성립된 단계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되는 고인돌이 존재하며, 이 단계에는 밀집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배계층이 등장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제Ⅱ밀집군의 고인돌 축조인들은 직경 22㎞ 정도의 생활영역을 가진다. 이곳은 위치상 서해안지역과 근접해 있어 인접한 강화지역 및 한강하구의 Ⅰ밀집군과의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인돌을 비롯한 관련유적에서 찾아지는 유물 역시 Ⅰ밀집군과 유사성을 보여 서로 비슷한 생활환경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경안천유역에 해당되는 제Ⅲ밀집군의 고인돌 축조인들은 직경 15㎞ 정도의 생활 영역을 가진다. Ⅲ밀집군에서는ⅠㆍⅡ밀집군과 마찬가지로 무덤이외의 상징적인 기능을 가진 대형의 탁자식 고인돌이 존재하여 내부적으로 계층적 구조가 성립된 단계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제 Ⅳ밀집군과 Ⅴ밀집군에서는 아직까지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고인돌유적이 없어 구체적인 성격은 알 수 없다. 다만 탁자식 고인돌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좁은 범위 내에 개석식 고인돌이 수기씩 모여 있는 점으로 미루어 비교적 소규모의 집단이 모여 살았던 것으로 생각 해볼 수 있겠다. 이와 같이 한강본류역의 고인돌문화는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점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지형적ㆍ환경적 여건을 비롯한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에 따른 것으로 생각되며, 고인돌 축조집단간의 사회발전정도를 나타내 주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The Dolmen is the representative tomb type of the Bronze Age. As the appearance is more notable than other relics, it has attracted the interest of many peopl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so far, there are a total of 362 dolmen scattered in the areas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They are mainly clustered in the western riverbank area near the estuary of the Han River. Also, five big clusters of dolmen were formed in the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small and large sized rivers, rather than in areas close to the riverside. Progress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river to the upper part, the number of dolmen and density decrease. First, the living scope of the dolmen of Cluster Group I were built 25㎞ in diameter. The society at that time was based on farming and the main period is suspected to be 10-8 B.C. In that period, there were dolmens that were built at the stage where an hierarchicalstructure was established. In this stage, it is assumed that a special rank appeared that could exert power over the whole Cluster Group. Second, the living scope of the dolmen of Cluster Group Ⅱ diameter measured 22km. Since it was close to the western coastal area geographically, we can consider the correlation with nearby Ganghwa Region and Cluster Group I of the estuary region of the Han River. The relics found at the relic site including dolmen also showed similar properties to those of Cluster Group I, from which it is considered that they had a similar living environment. Third, the living scope of the dolmen of Cluster Group Ⅲ, subject to Kyungan Brook, measured 15km. in diameter. In Cluster Group Ⅲ, a large-sized table-type dolmen which has a symbolic function other than that of a grave exists, much like Cluster Groups Ⅰ and Ⅱ. The society in this stage reached the level of tribal society where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was formed internally. As for Cluster Groups Ⅳ and Ⅴ, there has been no excavation survey of the dolmen. Hence, specific properties are not identified. One thing we could learn from the fact that dense relics of the Grip-type dolmen were found in a narrow scope while there were noTable-type dolmens. It indicates that small groups of people gathered to live here. As for the dolmen culture in the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distributed region of the dolmen. It is believed that such difference came from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gion in which dolmen were located as well as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and it represents the degree of social development between the dolmen builder groups.

      • KCI등재

        대련지역 초기적석총유적의 현황과 특징

        오대양(Oh Dae yang) 백산학회 2016 白山學報 Vol.- No.105

        본고에서는 홍산문화와 대련지역 초기적석총유적의 현황 및 특징을 분석하여 그 연관성문제를 검토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홍산문화에서는 적석묘에서 적석총으로의 구조적 변화가 확인되며 이들의 공통점은 대부분 지하에 토광식 혹은 석관식의 매장주체부(묘곽)을 둔다는 점이다. 또한 후기단계의 적석총은 모두 3층 이상의 다층 구조이며, 출토유물은 모두 옥기만 부장되고, 묘역 상부의 변계를 따라 둘러진 원통형기(無底筒形器)가 특징적이다. 대련지역의 초기적석총 역시 대부분 다실묘가 복합된 구조이지만, 홍산문화와 같이 중심묘와 부속묘의 차등적 관계는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적석부의 외부형태는 모두 단층식이며, 그 내부에 배치된 매장주제부는 모두 지표상에 위치한 점과 토기위주의 부장양상 등에서 홍산문화와 차이가 있다. 만약 두 지역의 묘제가 서로 계승관계에 있다면 홍산 후기유형과 대련지역 초기단계 사이의 상호 교차점을 찾아야 할 것인데 아직까지는 그 뚜렷한 자료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덧붙여 이처럼 광범위한 시·공간적 범위내에 분포한 묘제들을 단순히 구조적 유사성만으로 그 계승성을 논하는 점에도 의문이 든다. 선사시대 유사한 생활환경을 가졌던 사람들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석재를 적당히 가공하여 무덤을 쓰는 전통은 반드시 전파나 영향관계로 설명할 필요는 없다고 여겨진다. 당시의 제한된 도구와 기술수준을 생각한다면 이러한 무덤들의 변화상은 상호 교류가 없을 지라도 얼마든지 유사한 패턴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조와 재질이 유사한 무덤의 존재만으로 계승성과 기원문제 등을 논하는 것은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analyzed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stone-pile tombs in Dalian and investigated connections with Hongshan culture.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uctural changes were found in Hongshan culture in stone-pile tombs in terms of number of coffin rooms from single one(Jeokseok-myo) to multiple one (Jeokseok-chong). The common thing is that they had style or stone-lined style coffin room(s) in the basement. All stone-pile tombs in the latter period were of multi-tier structure over three-story, and only jade ware were found as grave relics. Another characteristic is cylinder-shape ware without bottom that surrounded along the borderline of the upper part of the tomb. Most early stone-pile tombs in Dalian region had combined structure with multiple rooms, but we could not confirm any differ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tomb and affiliated tombs as in Hongshan culture. The exterior form of stone-pile part is all single-tier style, and the coffin rooms located inside is different from Hongshan culture in that they were all located on the ground surface and the main buried relics are earthen ware. If there were succes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omb styles in two regions, there must be intersecting points between the latter Hongshan patterns and early phase of Dalian region. Nonetheless, no clear materials are found yet. There are also some questions raised in the aspect that discussion on succession can be made focusing on the 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the tomb styles distributed in broad time and spatial scope. People of similar living environment in the prehistoric age used stones for tombs as they could get stones easily. However, such tradition is not necessarily explained by spreading or influential relationship. Considering the limited tools and technology level at that time, the changing pattern of such tombs could be developed in similar pattern without interactions. Therefore, we have to be more cautious in discussing succession and origins of the tombs just focusing on of similar structure and materials.

      • 요서와 요동지역 적석총문화의 상관성 검토

        오대양(Oh Dae-Yang)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2 No.-

        이 글은 요서와 요동지역 적석총문화의 상관성을 검토한 것이다. 만약 두 지역 적석총유적이 문화적 상관성이나 상호 계승관계에 있다면, 적어도 요서지역 초기의 것과 요동지역 후기유적 사이에 그러한 증거가 확인되어야 한다. 하지만 석재를 활용하여 묘실을 조성하고, 그 주변에 일정량의 석재를 쌓아 적석형의 분구를 두었다는 공통점 이외에 유적의 분포와 입지관계 및 출토유물 등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간취된다. 현대의 고고학에서는 단순히 유사한 형태와 기능을 가졌다고 해서, 서로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시간적 편차가 큰 유물 · 유적을 일방적인 전파나, 영향관계로 설명하지 않는다. 그것이 유사성을 띠게 되는 배경에는 수많은 가정과 경우의 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양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요서지역의 경우 묘실이 대부분 지하에 조성된 것과 반대로 요동지역의 것은 모두 지상에 배치된다는 점이다. 또한 무덤이 자리한 곳의 입지양상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무덤이 자리한 곳의 주변환경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을 조영하였을 사람들의 자연관, 내세관, 신앙관 및 생활환경과 관련되었기 때문이다. 유적의 환경이나 위치를 달리하였다는 사실은 두 집단의 내세 · 신앙관과 함께 자연을 대하는 방식이나 생활습관이 달랐음을 내포 할 수 있다. 이처럼 묘실의 위치와 입지관계에서 드러난 사실은 두 지역 적석총문화인들의 내세 · 신앙관이나 생활습관이 서로 달랐음을 말해 주고 있다. 출토유물 역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물론 지역과 시간을 달리하여 축조된 관계로 부장품의 변화상이 발생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하지만 홍산문화의 유물은 분명 당지의 선행문화인 조보구나 흥륭와문화와 어느 정도의 상관성이 인정된다. 요동지역 출토품 역시 당지의 선행문화인 소주산 상 · 중 · 하층 문화와 일정부분 상관성이 간취된다. 만약 요서와 요동 두 지역 적석총문화인들의 상관성을 논하고자 한다면 적어도 요서의 후기 부장품과 요동의 초기 것 간에 유사성 내지는 영향관계가 입증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요서지역 신석기시대, 그중에서도 홍산문화의 적석총유적은 요동지역의 것과 연속성이나 계승관계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기 힘들 듯하다. This paper reviews the cultural correlation between the cairns in the Liaoxi and Liaodong regions. If the cairn relics in two regions have cultural correlation or succession relations with each other, there should be some pieces of evidence between those in the early times of the Liaoxi region and latter times of the Liaodong region. However, except for the common things that they utilized stones to make a tomb chamber and built a cairn-type mound by piling a certain amount of stones around the chamb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relics and the buried relics therein. In modern archeology, the relics excavated in different regions are not interpreted to have had unilateral propagation or influential relationship just because they had similar forms or functions, as there are numerous assumptions and numbers of cases in their background of similaritie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the location of the chamber: most of the chambers were in the underground in the Liaoxi region. On the contrary, those were on the ground in the Liaodong region. Also, the locational aspect was quite differen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tomb is quite important cause it is related to the view of nature, the next life, religion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people that created the tomb.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 and location of the relics were different means that their view of next life, religion, the way of living or the way to treat nature might have been different. The different location of the chambers tells that people of cairn culture in two regions had different views of next life, religion, or the way of living. The relics found there were quite different too. It is natural that there are changes in buried relics due to different building times and regions of the tombs. However, it is acknowledged that there are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relics of Hongshan Culture and its precedent cultures which were Zhaobaogou Culture or Xinglongwa culture. The relics excavated in the Liaodong region had some correlation with the upper/middle/lower class culture of XiaoZhuShan culture, the precedent culture in the region. Talking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irn cultures in the two regions, Liaoxi and Liaodong, there should be at least the similarity or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buried relics of the latter times of Liaoxi and early times of Liaodong. In conclusion, it is hard to link the neolithic age in the Liaoxi region, especially cairn relics in Hongshan Culture among them, with the Liaodong region, in terms of continuity or succession relation.

      • KCI등재

        산동(山東) 용산문화(龍山文化)의 묘제(墓制)와 장속특징(葬俗特徵) 검토(檢討)

        오대양 ( Oh Dae Yang ) 중국사학회 2017 中國史硏究 Vol.111 No.-

        Longshan Culture in Shandong was the culture of late Stone Age developed in lower Yellow River valley areas. It was known for the first time in 1928 when ruins of Chengziya were discovered. The most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is culture can be summarized as large-sized settlement community relics surrounded by bulwark, emergence of tomb system rated by rank, and top-level grave relics discovered in the tombs such as grinded black earthenware. Previous studies on tomb system of Longshan Culture in Shandong were mainly utiliz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to identify so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at time. Therefore, they relatively were insufficient in studying inherent features of the tombs reflected in the ritual service at tomb, includ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ombs, layout, burial customs and style, characteristics of funeral services, etc. Starting from such critical mind on the issues,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herent tomb system, general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tomb system of Longshan Culture, and furthermore, summariz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nd types of the tomb system by region. Since studies related to Longshan Culture have not sufficiently introduced to Korean academic circles, this paper summarized research status and performances on the related relics that have been conducted so far relatively in detail. Then, it patternized tomb systems by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confirmed in the relics, differentiated burial customs in various forms reflected in each ritual system and burial methods, and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funeral customs by region. Performing such work, it will be able to utilize this study as the materials to analyze 1) connectivity and relation with prior and posterior culture in the relevant regions and 2)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our ancient culture that comprised Liao River region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ultures of the same time in surrounding regions.

      • KCI등재

        2000년대 북한학계의 단군·고조선연구 현황 검토

        오대양(Oh Dae Yang),조원진(Cho Won Jin)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4

        이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북한학계의 단군·고조선관련 논저목록과 연구경향을 역사학과 고고학 분야로 나누어 정리, 나름의 평가를 덧붙였다. 역사학분야에서는 먼저 실존 인물로서의 단군을 부각시키면서 그 건국의 역사성을 증명하기 위해 문헌자료를 선별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여기에는 고조선을 전통적인 3조선의 인식과 같이 전조선-후조선-만조선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며 각 왕조의 구체적인 연대도 언급되었다. 덧붙여 전조선의 후국으로 있던 부여, 구려, 진은 전·후조선이 교체될 때 각각 분립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조선의 후기 강역이나 서쪽 경계 변화에 있어서는 종전과 크게 차이가 없으나 중심지를 시종일관 평양지역으로 보게 되면서 평양지역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한과의 전쟁을 통해 요동지역의 부수도가 함락되었을 뿐임에도 평양지역의 만조선이 멸망하게 되는 논리적 모순과 『揆園史話』나 『頤齋全書』 등 기존에 활용되지 않던 문헌을 충분한 검토 없이 근거자료로 삼는 등 여러 문제를 보인다. 이러한 역사학분야의 연구경향은 평양지역의 강조, 기원전 30세기라는 건국연대, 건국 초부터 고대국가진입이라는 결론을 전제로 진행되는 점에 한계를 보인다. 이에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2010년 이후부터 2016년까지 역사학분야의 관련논문이 거의 나오지 않는 것은 이 시기 문헌연구의 침체된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고고학 분야에서는 단군릉과 고인돌 등의 무덤자료를 비롯한 대규모의 취락유적과 성곽유적에 대한 발굴성과가 자료집형태로 출간되고 있다. 고고학 분야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가장 큰 문제는 연대적인 문제를 들 수 있다. 기원전 4000년기에 이미 청동기시대에 진입하여 기원전 30세기 초에 고조선이 건국되었다는 주장은 절대연대의 근거가 되는 연대측정치의 수가 적다는 점과 그것을 적용하는 방식에서 논리적으로 허술하다. 무엇보다 고고학적인 연구방법론과 이론을 무시한 채 이미 정해 놓은 결론에 특정 사실을 대입하여 논리를 전개시키는 방식은 현 북한학계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볼 수 있겠다. This study summarized the list of theses on Gojoseon Kingdom and research trend conducted by North Korea’s academia since 2000s by classifying them in terms of historical study and archeology. In the area of historical study, they highlights Dangoon as a real figure and utilize literatures selectively to prove the historical value of founding the kingdom. They explained Gojoseon Kingdom by classifying them into Jeonjoseon, Hujoseon, and Manjoseon, with specific time period of each dynasty. In addition, Buyeo, Guryeo, and Jin which were the marquisate nations of Jeonjoseon, were regarded to have been separated when Jeonjoseon was replaced to Hujoseon. As for the changes in river basin or western border of late times of Gojoseon Kingdom, there was no big difference. However, seeing Pyeongyang as the center of the kingdom in consistent way, they emphasize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Pyeongyang region. Even though vice capital city of Liaoyang region was fell in the war against Han Dynasty, Manjoseon was collapsed in Pyeongyang, which showed logical inconsistency. There are many other problems as well, including selecting evidence without sufficient review of literatures such as Gyuwon Sahwa and Yijae Jeonseo that were not utilized before. Such research trend in historical studies has restrictions including the emphasis on Pyeongyang, founding time of the 30th Century B.C, and the fact that they conduct studies on the assumption that the kingdom started as an ancient n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foundation. Therefore, studies in diverse areas have not been done. Especially from 2010 to 2016, there were few related theses in historical studies, which showed inactive status of literature studies of that time. In archeological area, the research achievements to find massive settlement sites and fortress relics including Dangoon Tomb and dolmens were published in the form of collections. In spite of many performances in archeology, the biggest problem lies in chronicle issue. Their insist that Bronze Age already began in 4000 B.C. and Gojoseon Kingdom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30th century B.C, which was weak in logic in the aspect that there are few number of age measured value which will be the basis for absolute chronicle and the application method. Most of all, they develop logic by fitting specific fact to a set conclusion, ignoring the arche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theories and it is the biggest problems of all that North Korea’s academia faces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